목차
1. 실험의 개요
2. 목적
3. 기구 및 재료
4. 실험방법
5. 유의사항
6. 결과의 계산
2. 목적
3. 기구 및 재료
4. 실험방법
5. 유의사항
6. 결과의 계산
본문내용
통과 시료를
취하면 된다.
2. 액성 한계 시험은 된반죽 상태에서 첫회 시험으로 하여 1회
시험이 끝날 때 마다 물 1∼3㎖ 정도씩 함수량을 증가시켜 가며
시험한다. 반죽된 것이 너무 질어 함수량을 줄여서 시험을 해야
할 때에는 마른 흙을 혼합하는데, 이 때에는 충분히 혼합하여
30분 정도 방치한 다음에 시험을 하도록 한다.
3. 시료에 물을 줄 때에는 전체를 고루 축일 수 있도록 분무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황동 접시를 시료를 깔 때에는 흙 속에 공극이 생겨 틈이 생기지 않도록 누르면서 깐다.
5. 황동 접시를 낙하할 때 시료가 접시에서 떨어져 분리되든가 흘러 내려서는 안된다. 접시에 물기가 있으면 흘러내리므로 마른 걸레로 잘 닦은 다음 시료를 까는 것이 좋다.
6. 정확한 시험을 위해서는 많은 숙련이 요구되므로 시험을 반복,
기능을 익혀야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7. 시험할 때 이상적인 타격 횟수는 10∼40이며, 4∼5회 실시한다.
◎ 결과의 계산
1. 흙의 소요 함수량 WN
WN(%)= { 물의 무게} over {건조기에서 건조된 흙의 무게 }×100
2. 액성한계(WL)
WL=WN(N/25)0.12
◎ 결과의 이용
1. 일반적으로 액성한계 값은 다음에 보이는 것과 같다.
종 류
액성한계(%)
종 류
액성한계(%)
모 래
20
실 트
30
점 토
100
콜로이드
400
2. 액성한계시험의 결과는 소성한계시험의 결과 얻어진 소성지수와 함께 흙의 분류에 이용된다.
3.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와의 차를 소성지수라 한다. 소성지수는 흙의 소성의 정도를 나타낸다.
IP=WL-WP
여기서, IP : 소성지수, WL : 액성한계(%), WP : 소성한계(%)
유동곡선의 경도(기울기)를 유동지수(Flow Index, If)라 한다. 유동지수를 구할 때에는 유동곡선의 연장하는 예를 들면, 낙하횟수 4와 40 혹은 5와 50등과 같이 사이클을 달리하는 낙하횟수에 대응하는 함수비의 차를 취하면 된다.
◎ 참고문헌
改正 土質力學, 이종규 著, 지문당, 부록 21~24
http://www.hyosungtesting.com/product/soil/hs434.html
http://www.kdu.co.kr/page2/KDSO-260.html
http://www.kdu.co.kr/page2/KDSO-250.html
http://www.kcqmc.co.kr/eco/funeral_06.html
취하면 된다.
2. 액성 한계 시험은 된반죽 상태에서 첫회 시험으로 하여 1회
시험이 끝날 때 마다 물 1∼3㎖ 정도씩 함수량을 증가시켜 가며
시험한다. 반죽된 것이 너무 질어 함수량을 줄여서 시험을 해야
할 때에는 마른 흙을 혼합하는데, 이 때에는 충분히 혼합하여
30분 정도 방치한 다음에 시험을 하도록 한다.
3. 시료에 물을 줄 때에는 전체를 고루 축일 수 있도록 분무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황동 접시를 시료를 깔 때에는 흙 속에 공극이 생겨 틈이 생기지 않도록 누르면서 깐다.
5. 황동 접시를 낙하할 때 시료가 접시에서 떨어져 분리되든가 흘러 내려서는 안된다. 접시에 물기가 있으면 흘러내리므로 마른 걸레로 잘 닦은 다음 시료를 까는 것이 좋다.
6. 정확한 시험을 위해서는 많은 숙련이 요구되므로 시험을 반복,
기능을 익혀야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7. 시험할 때 이상적인 타격 횟수는 10∼40이며, 4∼5회 실시한다.
◎ 결과의 계산
1. 흙의 소요 함수량 WN
WN(%)= { 물의 무게} over {건조기에서 건조된 흙의 무게 }×100
2. 액성한계(WL)
WL=WN(N/25)0.12
◎ 결과의 이용
1. 일반적으로 액성한계 값은 다음에 보이는 것과 같다.
종 류
액성한계(%)
종 류
액성한계(%)
모 래
20
실 트
30
점 토
100
콜로이드
400
2. 액성한계시험의 결과는 소성한계시험의 결과 얻어진 소성지수와 함께 흙의 분류에 이용된다.
3.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와의 차를 소성지수라 한다. 소성지수는 흙의 소성의 정도를 나타낸다.
IP=WL-WP
여기서, IP : 소성지수, WL : 액성한계(%), WP : 소성한계(%)
유동곡선의 경도(기울기)를 유동지수(Flow Index, If)라 한다. 유동지수를 구할 때에는 유동곡선의 연장하는 예를 들면, 낙하횟수 4와 40 혹은 5와 50등과 같이 사이클을 달리하는 낙하횟수에 대응하는 함수비의 차를 취하면 된다.
◎ 참고문헌
改正 土質力學, 이종규 著, 지문당, 부록 21~24
http://www.hyosungtesting.com/product/soil/hs434.html
http://www.kdu.co.kr/page2/KDSO-260.html
http://www.kdu.co.kr/page2/KDSO-250.html
http://www.kcqmc.co.kr/eco/funeral_06.html
추천자료
개수로실험 및 도수실험
레이놀즈실험(유체실험)
인장실험[기계공학 응용실험]
기계공학 응용실험 - 인장실험
[재료실험] 재료의 침탄실험 (예비+결과레포트)
[기계 공학 응용 실험] 5. 인장 실험 (A+자료)
[기계자동차공학실험] 인장실험
[상수도 공학 실험] T-P(Total Phosphorus;총인) 측정 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인장 실험
기초기계공학 실험 - 인장실험
[레포트] 분자생물학 실험보고서 real time PCR 실험보고서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소음측정 실험보고서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충격, 경도, 인장 실험보고서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환경소음측정 실험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