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기상이변이란?
2.본론
2.1기상이변 실태
2.1.1과거의 기상이변 실태.
2.1.2 현재 기상이변 실태
2.2 기상이변의 원인
2.2.1 엘리뇨
■엘리뇨란
■엘리뇨 발생원인
■엘리뇨의영향
■엘리뇨와 이상 기후는 어떤 관계인가?
■엘리뇨와 우리나라와의 관계?
2.2.2 라니냐
■라니뇨란
■발생원인
■라니냐와 세계기후
■라니냐로 나타나는 피해
■라니냐가 우리 나라에 미치는 영향
2.2.3온실 기체로 인한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
■지구 온난화와 유럽 폭염과의 관계
2.2.4자연적 현상
2.3대책
■엘리뇨 대처 방안
■지구 온난화 해결방법
3. 결론
2.본론
2.1기상이변 실태
2.1.1과거의 기상이변 실태.
2.1.2 현재 기상이변 실태
2.2 기상이변의 원인
2.2.1 엘리뇨
■엘리뇨란
■엘리뇨 발생원인
■엘리뇨의영향
■엘리뇨와 이상 기후는 어떤 관계인가?
■엘리뇨와 우리나라와의 관계?
2.2.2 라니냐
■라니뇨란
■발생원인
■라니냐와 세계기후
■라니냐로 나타나는 피해
■라니냐가 우리 나라에 미치는 영향
2.2.3온실 기체로 인한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
■지구 온난화와 유럽 폭염과의 관계
2.2.4자연적 현상
2.3대책
■엘리뇨 대처 방안
■지구 온난화 해결방법
3. 결론
본문내용
해수면이 약 23㎝ 상승하였다고 발표하였다. NASA 연구팀은 사이언스지에 게재한 논문에서 첨단 레이저 기술을 이용해 조사한 결과, 그린란드 빙원이 녹아 1년에 500억 t 이상의 물이 바다로 흘러 해수면이 0.13㎜씩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린란드의 빙하 두께는 매년 2m씩 얇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물질에는 이산화탄소 외에 메탄·아산화질소·염화불화탄소(프레온)·수증기 등이 있다. 이중 이산화탄소에 의한 영향이 55%이며, 염화불화탄소 24%, 메탄 15%, 아산화질소가 6%의 영향을 미친다.
이중 메탄과 아산화질소는 많은 양이 자연계에서 방출되기 때문에 배출을 억제하기가 어려우나 이산화탄소·염화불화탄소 등은 산업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염화불화탄소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면 바닷물이 따뜻해져 팽창하고 남극 및 북극의 빙하와 고산지대의 만년설이 녹아 해수면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육상 및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고, 농작물의 수확량이 감소하는 등 지구 전역에 광범위한 피해가 예상된다. 얼음이 녹을수록 지구 표면이 태양 에너지를 많이 흡수하여 지구온난화가 촉진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지구의 온난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대체 에너지 개발과 이산화탄소 고정화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개개인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노력과 국제간의 협력이 중요하다.
고로, 유럽지대에는, 이산화탄소양의 증가로 인하여, 폭염현상이 오는 것 이다.
2.2.4자연적 현상
지구촌에는 늘 어느곳에건가는 뚜렷한 이유없이 일어나고 있는 가문이나 홍수, 혹서, 냉해를 자연적 현상으로 보고 있다. 다만 정도가 때로 심하거나 변동이 사람이 많이 사는 곳에 나타날 수 있다. 같은 정도의 자연 병동도 관시을 많이 갖고 있는 지역에 일어나면 기상이변으로 인식된다.
2.3대책
·엘리뇨 대처 방안
과거 82~83년에 걸쳐 엘리뇨 현상이 발달했던 당시 페루는 GNP의 12%가량이 감소하는 등 농업, 수산업 전반에 걸쳐 큰 타격을 입었으며 미국은 83년 여름에 가문으로 수백 명이 더위로 사망하고, 가축과 농작물의 피해 등 열대지역에 위치한 나라들이 많은 피해를 입은 것을 감안할 때, 우리도 결코 방심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지구촌 세계 곳곳에서는 이상기상을 초래하는 엘리뇨 현상에 대해 대처 방안을 모색 중에 있다. 엘리뇨가 거의 절정에 달할 때까지 예측을 하지 못했던 82~83년 엘리뇨 때와는 달리 그간의 노력으로 선진국의 엘리뇨 감시와 예측능력이 상당히 발전된 수준이다.
선진국들은 엘리뇨의 발달을 미리 예측하여 경각심을 일깨우고 예기치 않은 자연재해를 줄이기 위하여 농업. 수산업을 비롯한 각종 산업에 홍보를 게을리 하지 않고, 엘리뇨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등 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산불 등에 의한 생태계의 파괴는 회복하는데 최소 50년 이상이 걸린다고 한다. 인도네시아와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하여 우리 나라도 기상청 전문가 5인과 학계인사 3인으로 "엘리뇨 대책반"을 구성했으며, 미국 국제 기후 예측연구소 등과 연계해 대책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또한 관련부처들과 함께 엘리뇨 워크샵을 개최하여 보다 내실 있는 대책을 강구해 나갈 것이며, 엘리뇨 및 기후변화에 대한 범정부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지구 온난화 해결방법
지구의 온도 상승을 유발하는 탄산가스를 줄이는 방법으로 몇 가지를 생가해 볼 수 있다.
첫째, 에너지원으로 원자력, 태양에너지, 수력발전, 천연가스 등을 이용한다.
둘째, 에너지 소비를 최대로 줄이고자 노력한다.
셋째, 프레온가스의 사용억제 및 대체물질을 개발하여 사용한다.
넷째, 발전과 산업설비의 연비 개선 등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찾아본다.
다섯째, 각국간의 규제를 위한 탄소세 부과,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 등의 국제협약을 준수한다
3. 결론
옛날이나 지금이나 지구의 모든 것들은 날씨에 지배를 받는다구 할 수 있다. 그동안 날씨가 정상 형태만 계속 유지해 온 것은 아니다. 기상이변은 조금씩 일어났으나 우리는 그것을 느끼지 못해왔다 . 하지만 산업산회 이후 그 기상이변은 우리의 지구를 위협할정도로 심해지고 있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만약 지구온난화를 야기시키는 오염이 줄어들지 않으면 해수면 상승, 질병과 기근, 동식물의 멸종과 같은 현상이 일어날 것이며 또한 폭풍, 홍수, 가뭄, 더위와 같은 극단적인 기후현상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시킬 것이다. 지난해 전세계적으로 730회의 기상이변에 의한 자연 재해가 보고됐으며 1999년에 비해 90회가 더 많은 것이다. 1990년대 미국은 기상이변과 관련된 보험금 지급이 870억 달러였으며 정부보조금이 650억 달러 지출됐다고 한다. 하지만 앞으로 기상이변에 의한 재해는 늘어 날것이고 거기에 따른 비용 또한 계속 늘어 날것이다. 비용또 문제이지만 자연재해에 따른 인명 피해도 늘언난다.
아시아 전역 기상이변 속출 `오염구름층' 때문이라고 한다. 아시아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일어나는 기상이변은 우리가 생활하면서 배출한 오염원 때문일 것이다. 산림과 녹지가 없애고 강·하천 흐름의 구조를 바꾸었고...등 우리는 자연을 파괴 오염 시켰다. 인간이 협소한 기술과 기계로 자연 위에 군림할 수 있다는 경솔함을 보이고 있기에 자연의 보복은 부메랑의 되돌림처럼 피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앞으로라도 자연파괴, 오염원을 줄이고 전세계가 동참하여 기상이변을 예방하고 대처해야 한다.
-자료출처-
· http://www.cnn.com/SPECIALS/el.nino/
<엘니뇨로 인한 세계의 기상이변 정리 (CNN자료 번역)>
·http://www.labbank.co.kr/labbank/환경용어사전/환경이야기/기상이변.htm
·http://www.kma.go.kr/kma15/2003/2003-07.htm
·http://sigma101.nazip.net/menu_4_data/elnino.htm
·http://rose0.knu.ac.kr/~z9928019/
·http://my.dreamwiz.com/dyjs83/homepi/envi/la.htm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물질에는 이산화탄소 외에 메탄·아산화질소·염화불화탄소(프레온)·수증기 등이 있다. 이중 이산화탄소에 의한 영향이 55%이며, 염화불화탄소 24%, 메탄 15%, 아산화질소가 6%의 영향을 미친다.
이중 메탄과 아산화질소는 많은 양이 자연계에서 방출되기 때문에 배출을 억제하기가 어려우나 이산화탄소·염화불화탄소 등은 산업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염화불화탄소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면 바닷물이 따뜻해져 팽창하고 남극 및 북극의 빙하와 고산지대의 만년설이 녹아 해수면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육상 및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고, 농작물의 수확량이 감소하는 등 지구 전역에 광범위한 피해가 예상된다. 얼음이 녹을수록 지구 표면이 태양 에너지를 많이 흡수하여 지구온난화가 촉진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지구의 온난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대체 에너지 개발과 이산화탄소 고정화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개개인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노력과 국제간의 협력이 중요하다.
고로, 유럽지대에는, 이산화탄소양의 증가로 인하여, 폭염현상이 오는 것 이다.
2.2.4자연적 현상
지구촌에는 늘 어느곳에건가는 뚜렷한 이유없이 일어나고 있는 가문이나 홍수, 혹서, 냉해를 자연적 현상으로 보고 있다. 다만 정도가 때로 심하거나 변동이 사람이 많이 사는 곳에 나타날 수 있다. 같은 정도의 자연 병동도 관시을 많이 갖고 있는 지역에 일어나면 기상이변으로 인식된다.
2.3대책
·엘리뇨 대처 방안
과거 82~83년에 걸쳐 엘리뇨 현상이 발달했던 당시 페루는 GNP의 12%가량이 감소하는 등 농업, 수산업 전반에 걸쳐 큰 타격을 입었으며 미국은 83년 여름에 가문으로 수백 명이 더위로 사망하고, 가축과 농작물의 피해 등 열대지역에 위치한 나라들이 많은 피해를 입은 것을 감안할 때, 우리도 결코 방심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지구촌 세계 곳곳에서는 이상기상을 초래하는 엘리뇨 현상에 대해 대처 방안을 모색 중에 있다. 엘리뇨가 거의 절정에 달할 때까지 예측을 하지 못했던 82~83년 엘리뇨 때와는 달리 그간의 노력으로 선진국의 엘리뇨 감시와 예측능력이 상당히 발전된 수준이다.
선진국들은 엘리뇨의 발달을 미리 예측하여 경각심을 일깨우고 예기치 않은 자연재해를 줄이기 위하여 농업. 수산업을 비롯한 각종 산업에 홍보를 게을리 하지 않고, 엘리뇨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등 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산불 등에 의한 생태계의 파괴는 회복하는데 최소 50년 이상이 걸린다고 한다. 인도네시아와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하여 우리 나라도 기상청 전문가 5인과 학계인사 3인으로 "엘리뇨 대책반"을 구성했으며, 미국 국제 기후 예측연구소 등과 연계해 대책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또한 관련부처들과 함께 엘리뇨 워크샵을 개최하여 보다 내실 있는 대책을 강구해 나갈 것이며, 엘리뇨 및 기후변화에 대한 범정부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지구 온난화 해결방법
지구의 온도 상승을 유발하는 탄산가스를 줄이는 방법으로 몇 가지를 생가해 볼 수 있다.
첫째, 에너지원으로 원자력, 태양에너지, 수력발전, 천연가스 등을 이용한다.
둘째, 에너지 소비를 최대로 줄이고자 노력한다.
셋째, 프레온가스의 사용억제 및 대체물질을 개발하여 사용한다.
넷째, 발전과 산업설비의 연비 개선 등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찾아본다.
다섯째, 각국간의 규제를 위한 탄소세 부과,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 등의 국제협약을 준수한다
3. 결론
옛날이나 지금이나 지구의 모든 것들은 날씨에 지배를 받는다구 할 수 있다. 그동안 날씨가 정상 형태만 계속 유지해 온 것은 아니다. 기상이변은 조금씩 일어났으나 우리는 그것을 느끼지 못해왔다 . 하지만 산업산회 이후 그 기상이변은 우리의 지구를 위협할정도로 심해지고 있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만약 지구온난화를 야기시키는 오염이 줄어들지 않으면 해수면 상승, 질병과 기근, 동식물의 멸종과 같은 현상이 일어날 것이며 또한 폭풍, 홍수, 가뭄, 더위와 같은 극단적인 기후현상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시킬 것이다. 지난해 전세계적으로 730회의 기상이변에 의한 자연 재해가 보고됐으며 1999년에 비해 90회가 더 많은 것이다. 1990년대 미국은 기상이변과 관련된 보험금 지급이 870억 달러였으며 정부보조금이 650억 달러 지출됐다고 한다. 하지만 앞으로 기상이변에 의한 재해는 늘어 날것이고 거기에 따른 비용 또한 계속 늘어 날것이다. 비용또 문제이지만 자연재해에 따른 인명 피해도 늘언난다.
아시아 전역 기상이변 속출 `오염구름층' 때문이라고 한다. 아시아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일어나는 기상이변은 우리가 생활하면서 배출한 오염원 때문일 것이다. 산림과 녹지가 없애고 강·하천 흐름의 구조를 바꾸었고...등 우리는 자연을 파괴 오염 시켰다. 인간이 협소한 기술과 기계로 자연 위에 군림할 수 있다는 경솔함을 보이고 있기에 자연의 보복은 부메랑의 되돌림처럼 피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앞으로라도 자연파괴, 오염원을 줄이고 전세계가 동참하여 기상이변을 예방하고 대처해야 한다.
-자료출처-
· http://www.cnn.com/SPECIALS/el.nino/
<엘니뇨로 인한 세계의 기상이변 정리 (CNN자료 번역)>
·http://www.labbank.co.kr/labbank/환경용어사전/환경이야기/기상이변.htm
·http://www.kma.go.kr/kma15/2003/2003-07.htm
·http://sigma101.nazip.net/menu_4_data/elnino.htm
·http://rose0.knu.ac.kr/~z9928019/
·http://my.dreamwiz.com/dyjs83/homepi/envi/la.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