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공용화와 언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언어와 인간

2. 언어에 대한 일상적 관심들.
(1) 최초의 언어, 언어의 기원, 세계 여러 언어, 언어계통설.
(2) 인간의 언어와 동물의 언어, 이중분절성, 창조성.
(3) 모국어습득과 외국어습득

3. 영어의 공용화에 대해서

본문내용

도 합니다. 제주도를 영어공용화를 하면 도로표지판 이라든지 행정기관의 모든 문서를 한국어와 함께 영어로 써야하고 그 뿐만 아니라 행정관서나 학교에서는 물론 일상 생활에서도 영어를 써야 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나 영어고용화를 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것은 감수 해야할 것입니다. 이처럼 제주도 영어공용화를 하는 것은 복잡하고 힘든 것입닐. 그리고 이것을 완전히 소화히기 위해서는 능동적으로 도입을 해야 하는데 현정부가 추진한 내용을 보면 너무 급격하게 하는 것 같습니다. 이것은 곧 엄청난 시간 낭비와 돈 낭비를 뜻하는 것을 의미 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영어의공용화를 하기 위해서는 영어를 능동적으로 도입을 해야합니다. 제주도 영어공용화를 반대하는 여론들을 보면 우리민족주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향과 너무 우리의 것만을 지키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 민족의 문화가 전통이 올바른 것 즉 보편타당한 것이라면 꼭 지켜야 합니다. 그러나 아무리 내것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보편타당한 것이라는 알면 과감히 버려야 하고 아무리 외래의 것이라 하더라도 받아 들여야 합니다. 실제로 우리 나라는 이러한 원칙을 이용하면서 생존과 번영을 해왔습니다. 예를들어 불교와 유교는 외래 문명이지만 우리 특유의 모습으로 일구어 왔습니다. 팔만대장경과 조선왕조실록은 모두 한문 즉, 중국 글자로 되어 있지만 지극히 한국적인 보물들입니다.
영어를 국어와 함께 우리의 공용어로 채택하는 것은 올바른 일은 아니나 그것이 진정 우리나라의 번영을 보장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고려될 수밖에 없습니다. 과거에 우리 조상들이 한자를 도입 하였듯이 영어를 능동적으로 주체적으로 도입한다면 그 결과 생겨나는 새로운 문화의 변형은 역시 한국의 것일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영어의 공용화는 하루라도 빨리 시행 및 도입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이 우리의 생존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영어를 초등학교 때부터 가르치고 대학까지 나와도 외국인과 의사소통이 되는 사람이 드물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지금까지 거의 7-8년 동안 영어를 공부해 왔습니다만 외국인과의 대화는 엄두도 못낼 정도입니다. 그것은 저에게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을 하지만 우리나라의 영어교육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영어교육의 문제점을 시급하게 생각하고 바로 고쳐야 할 것이며 하루라도 빨리 우리나라에 영어공용화를 도입해서 우리나라도 강대국이 되어야할 때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사이트 및 인용글>
Alle Rechte Vorbehalten - Jens, Seong/17. April. 1997
영어 공용화론 - 영어공용화론 관련 기사 모음.
http://prome.snu.ac.kr/~news/home/virtual/critic/data/menu.htm
탐라, 언어식민 그림자 - 영어 공용화론에 대한 의견 수록. 이현복 한글학회 부회장 글.
http://www.hangulo.net/hangul/jeju.htmlr
  • 가격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1.07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11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