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교육-유아기음악발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MITATION>
Stage Four of Preparatory Audiation.
Stage Five of Preparatory Audiation

<ASSIMILATION>
STAGE SIX OF PREPARATORY AUDIATION

본문내용

않는다면, 아이들은 어떻게 오디에이트하는지를 배우기 함들 것이다. 누구도 아이가 여섯 번째 단계에 머무를지 정확하게 말할수 없다. 개인마다 차이는 매우 크다. 높은 발달적 음악 적성을 가진 아이는 WKfq은 시간내에 두 번째 전이단계를 거칠 것이다. 반면, 낮은 발달적 음악 적성을 가진 아이는 몇주 몇 달이 걸릴지도 모른다. 게다가, 리듬에서는 일고번째 단계로 skrkrkejfkehm 조성 면에서 여전히 여섯 번째에 머무를지도 모른다.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STAGE SIX OF PREPARATORY AUDIATION
준비 오디에이션에서 조절과 모방을 구별짓는 특징은, 모방유형에서 아이들은 그들이 하고있는 것에 의미를 부여할 필요 없이 그들이 보는 것, 듣는 것을 모방한다. 이것은 그들이 말하는 것을 처음 배울때 개인적인 단어를 모방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그들이 개인적인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있다 하더라도, 그들이 듣고있는 단어의 집합에 언어상의 조직을 식별하지 못하고, 그들이 말하고 있는 단어들을 언어상으로 조직하지 못한다. 음악에서 조성 패턴의 연속과 리듬 패턴의 연속과도 같은 원리이다. 단순히 모방을 하는 아이들은 생각하면서 말하고 노래한다. 반면 단순한 모방 이상의 아이들은 성인처럼, 말하고 노래하기 전에 생각한다. 준비 오디에이션에서 서로 조절하지 않고 움직임에 참가하고 패턴을 연주하는 것은 요약하여 생각하기에서 일반화해서 말하는 것을 조절하지 않고 말하는 것과 같다.
아이들은 음악적 이해를 만드는 syntax속에서 pitch, 리듬, 움직임을 조절하는 것을 배울 수 없다. 그들은 형식적 안내로서 연주 기술만을 배우기보다는 준비 오디에이션의 다섯 단계동안 해왔던 방법인 음악적 소리를 흡수하도록 안내받은 결과로서 이것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적으로 아이들이 준비 오디에이션의 단계들을 통해 안내받는 동시에 연주기술을 획득하도록 배운다면, 아이들의 음악적 발달은 그 기간동안 음악적 발달에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 보다 더 해로울 것이다.
네 번째 단계에서 처럼, 여섯 번째 단계에서 아이들은 부모나 교사가 제공하는 적절한 비형식적 안내로 스스로를 가르칠 수 있다. 계속적인 비형식적 안내 없이, 아이들은 아마도 일곱 번째 단계로 나아갈 수 없을 것이며 오디에이션 기술을 발달시키는데 영원히 제한받을 것이다.
준비 오디에이션의 조절 유형에서 아이들을 안내하기 전에, 준비 오디에이션의 세가지 유형을 거치면서 음악적 환경에 따라, 특히 조성 패턴과 리듬패턴의 관계에 따라 아이들이 나타내는 다른 반응들을 기억해야 한다. 준비 오디에이션의 문화화 유형에서, 아이들은 패턴을 모방하는 것(모방하려고 시도는 한다)이 아니라 흡수한다. 모방 유형에서, 아이들은 보다 정확하게 패턴을 모방하는 것을 배운다. 조절 유형에서 패턴의 모방을 호흡과 움직임과 함께 조화시키고 조절하면서, 더욱 정교하게 패턴을 연주하는 것을 배운다.
준비 오디에이션의 여섯 번째 단계에서, 형식적 지도가 아닌, 비형식적 구조화된 안내가 적합하다. 아이들에게 그들이 노래하고 챤트하는 패턴들이 잘못되었다거나 패턴의 연주가 호흡이나 움직임과 조화롭지 않다는 평을 해서는 안된다. 연주를 호흡이나 움직임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에 대해 가르치려는 시도를 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아이들이 조화의 부족을 스스로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발견 없이, 여섯 번째 단계에서 호흡하고 움직이는 동안 자기 자신의 패턴 연주를 다른 사람의 것과 조화시키는 것을 스스로 가르칠 수 없을 것이다. 조절 유형의 여섯 번째 단계에서 아이들이 연주하는 조성패턴과 리듬패턴은 모방단계의 네 번째와 다섯 번째 단계에서 연주하는 것들과 같다.
자신의 패턴 연주를 호흡이나 움직임과 조화를 시키는 능력은 자신의 연주와 다른이의 연주를 조화시키는 능력에 선행한다. 그리고 준비 오디에이션의 이러한 두 개의 단계들은 오디에이션의 기초이다. 아이가 자기조절(self-coordination)을 학습하지 않는다면, 그 아이는 다른 사람과의 조절을 학습하지 못한다. 조절의 두 단계에서 아이들을 안내하는 부모와 교사들은 이러한 구별을 계속적으로 염두에 두어야 한다. 특히 아이가 준비 오디에이션을 겨치는 동안, 성인은 아이가 동시에 한가지 이상의 활동에 몰두하여 학습할 수 없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동시에 두가지 활동에 몰두하기 위해서, 아이는 적어도 한가지 활동에는 익숙하고 능숙해야 가능하다. 이처럼 자신의 연주와 타인의 연주를 조화시킬 수 있기 위해서, 아이들은 우선 자신의 연주가 조화롭지 않았을 때를 알아차릴 수 있어야 한다.
어떤 아이들은 자신의 연주와 호흡과 움직임 간에 관계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다. 그러한 아이들을 조절 유형으로 안내하려 했다면, 그리고 모방 유형에서 그들이 진보하지 않았다는 것이 확실하다면, 큰 해가되지는 않을 것이다. 성인은 아이가 준비 오디에이션의 여섯 번째 단계에 몰두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고 결정을 내려야 한다. 그리고 성인은 네 번째 혹은 다섯 번째 단계에 맞는 안내를 아이와 함께 해야 한다. 아이를 이전 단계로 이동시키는 결정은 성급하게 내려져서는 안된다. ????
지지적인 계속적 움직임을 통해서만이 아이에게 microbeat의 규칙적인 위치를 이해시킬 수 있다. 시간과 공간이 지지적인 계속적 움직임과 관련되어 있을 때 가장 이해가 잘 된다. 아마도 지지적인 계속적 움직임의 가장 중요한 결과물은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호흡을 움직임에 조화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아이들은 시간과 공간을 리듬과 관계지음으로서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조화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호흡과 움직임이 아이들의 신체의 무게와 흐름에 의해 지지받지 않는다면, 아이들은 스스로 급해지고 느려지며, 여섯 번째 단계에서 microbeats를 연주하는데 시간을 부적절하게 계산하고, 일곱 번째 단계에서 macrobeats를 연주하는데 시간을 부적절하게 사용하게되기 때문이다. 무게와 흐름은 지지적인 움직임에 관한 용어로 아동 중심인 반면, 시간과 공간은 분리된 움직임에 관한 용어로 성인 중심이다.r
  • 가격1,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3.11.07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1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