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배경이론
3. 실험기구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검토 및 토의
7. 참고문헌
2. 배경이론
3. 실험기구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검토 및 토의
7.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문이다. 실험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실험하는 속도도 빨라지고 요령도 생기게 되었다. 그리고 실험에 임하는 진지함에도 많은 차이가 있었다. 그냥 이론적인 지식만 갖고 실험을 하다가 어느 정도 이해를 하고 실험을 하는데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해보면 해볼수록 실험실에서 하는 실험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 다음에는 이런 점들을 보완 해서 더 잘할수 있도록해야겠다는 자신감도 생기게 되었다. 실험을 하며 아쉬 웠던 점은
첫째로, 사전에 실험에 대한 지식이 갖추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무턱대고 하면 되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을 갖고 있었던게 문제였다. 조금이라도 레이놀드수에 대해서 사전에 알았더라면 그리고 레이놀드수가 어떤 실험을 거쳐 나오게 되었는지 알았더라면 하는 아쉬움.
둘째로, 전문적인 실험 기관이 아닌 학교 실험실이기 때문에 실험 자제의 미비점이다.
많은 기구들이 노후화 되었고 실험하는 방법도 극히 원시적이라고 할수 있다.
유량을 측정할 때를 예로 들어보자. 비커에 호스로 연결하고 그 시간을 스톱 워치로 제고 있다. 그 오차에는 많은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게다가 호스가 꺾이거나 들어 올려질 때 변화하는 유량은 고려치도 않는다. 또 주위에 많은 실험들이 동시에 이루어 지기 때문에 수조가 놓여진 책상이 계속해서 떨리는 점도 오차의 발생 원인이라 할수 있다.
셋째로, 실험에 문제점이 있지 않나 생각된다. 수조안의 조그만 수로는 너무나 협소해서 처음의 유속이 느릴경우에는 그 흐름 관찰이 그리 어렵지 않았으나 나중이 되어서는 그 흐름이 눈으로 조차 보이지를 않았다. 잉크를 많이 흘려도 잘 보이질 않았다. 이부분은 관의 길이를 조금 줄이던가 관의 직경을 조금 늘렸으면 어떨까 생각해 봤다.
그래도 첨에는 무슨 말인지이해조차 못했던말이 실험을 할수록 무슨 말인지 깨닫고 나름대로 근사한 레이놀즈 수도 구하고 눈으로 직접 층류와 난류의 변화하는 과정도 보게 될수 있어 참 좋은 실험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정말 기회가 주어진다면 더 좋은 실험기자재들과 더 많은사전 지식으로 층류와 난류 그리고 그 사이에 구별하기 애매한 천이영역 까지 확실하게 구별을 해봤으면 한다.
7. 참 고 문 헌
▶ 尹龍男 "수리학" ( 청문각 ) 1996'
▶ 長永吉 "수리학" ( 技工社 ) 1986'
柳兢桓, 金佳鉉 "수리학" ( 機電硏究社 ) 1994'
▶ 李吉永, 安慶洙 "수리학" ( 형설출판사 ) 1993'
첫째로, 사전에 실험에 대한 지식이 갖추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무턱대고 하면 되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을 갖고 있었던게 문제였다. 조금이라도 레이놀드수에 대해서 사전에 알았더라면 그리고 레이놀드수가 어떤 실험을 거쳐 나오게 되었는지 알았더라면 하는 아쉬움.
둘째로, 전문적인 실험 기관이 아닌 학교 실험실이기 때문에 실험 자제의 미비점이다.
많은 기구들이 노후화 되었고 실험하는 방법도 극히 원시적이라고 할수 있다.
유량을 측정할 때를 예로 들어보자. 비커에 호스로 연결하고 그 시간을 스톱 워치로 제고 있다. 그 오차에는 많은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게다가 호스가 꺾이거나 들어 올려질 때 변화하는 유량은 고려치도 않는다. 또 주위에 많은 실험들이 동시에 이루어 지기 때문에 수조가 놓여진 책상이 계속해서 떨리는 점도 오차의 발생 원인이라 할수 있다.
셋째로, 실험에 문제점이 있지 않나 생각된다. 수조안의 조그만 수로는 너무나 협소해서 처음의 유속이 느릴경우에는 그 흐름 관찰이 그리 어렵지 않았으나 나중이 되어서는 그 흐름이 눈으로 조차 보이지를 않았다. 잉크를 많이 흘려도 잘 보이질 않았다. 이부분은 관의 길이를 조금 줄이던가 관의 직경을 조금 늘렸으면 어떨까 생각해 봤다.
그래도 첨에는 무슨 말인지이해조차 못했던말이 실험을 할수록 무슨 말인지 깨닫고 나름대로 근사한 레이놀즈 수도 구하고 눈으로 직접 층류와 난류의 변화하는 과정도 보게 될수 있어 참 좋은 실험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정말 기회가 주어진다면 더 좋은 실험기자재들과 더 많은사전 지식으로 층류와 난류 그리고 그 사이에 구별하기 애매한 천이영역 까지 확실하게 구별을 해봤으면 한다.
7. 참 고 문 헌
▶ 尹龍男 "수리학" ( 청문각 ) 1996'
▶ 長永吉 "수리학" ( 技工社 ) 1986'
柳兢桓, 金佳鉉 "수리학" ( 機電硏究社 ) 1994'
▶ 李吉永, 安慶洙 "수리학" ( 형설출판사 )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