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 험 목 적
2. 시 험 기 구
3. 시 험 방 법
4. 결과산출방법
5. 시 험 결 과
6. 분석 및 고찰
7. 참 고 문 헌
2. 시 험 기 구
3. 시 험 방 법
4. 결과산출방법
5. 시 험 결 과
6. 분석 및 고찰
7.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때문이다. 따라서 일정한 흙의 무게와 물의 양을 미리 저울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시료를 제작하는데 신경을 썼다. 또한 공시체를 다 만들고 난후 CBR시험기에 넣고 재하실험을 할때 피스톤이 시료에 바로 맞닿은 상태에서 재하실험을 해야 한다는 점인데, 이것이 하중판에 가려서 잘보이지 않기 때문에 상당히 판단하기가 어려웠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게이지값이 50씩 증가할때마다 검력계를 읽어 기록해야 하는데 바늘 지나가는 속도가 빠르므로 반드시 두명 이상의 사람이 서로 다른 게이지를 보며 측정을 해야한다는 점이다. 이와같은 점만 주의해서 실험에 임하면 큰 어려움 없는 실험이다.
실험결과를 보면 시료 1, 2, 3 모두 CBR2.5의 값이 CBR5 보다 작은것을 볼 수있는데, 이러한 결과가 나온다면, 재시험을 하고 그래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CBR5의 결과치를 CBR값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실험방법에 이상이 없고, 오차가 발생할 여지도 거의 없었는데 이러한 결과가 나온것은 뜻밖이며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다.
하지만 실험을 통하여 CBR실험의 목적과 주의점 그리고 현장에서 어디에 사용을해야하는 실험인지를 알게되었기 때문에 비록 결과치는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유익한 실험이였다고 생각하며, 앞으로 남은 실험에는 좀더신경을 기울이고 주의해서 방법상의 문제로 결과치가 잘못나오는 일은 없도록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7. 참 고 문 헌
(1) 기본토질시험, 이상덕, 도서출판 새론,
(2) 토질 실험법 (실내 및 현장 실험법과 그 결과의 이용법),
임병조김영수 共譯, 형설출판사, 1994.
(3) 토질역학 신은철 역
실험결과를 보면 시료 1, 2, 3 모두 CBR2.5의 값이 CBR5 보다 작은것을 볼 수있는데, 이러한 결과가 나온다면, 재시험을 하고 그래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CBR5의 결과치를 CBR값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실험방법에 이상이 없고, 오차가 발생할 여지도 거의 없었는데 이러한 결과가 나온것은 뜻밖이며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다.
하지만 실험을 통하여 CBR실험의 목적과 주의점 그리고 현장에서 어디에 사용을해야하는 실험인지를 알게되었기 때문에 비록 결과치는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유익한 실험이였다고 생각하며, 앞으로 남은 실험에는 좀더신경을 기울이고 주의해서 방법상의 문제로 결과치가 잘못나오는 일은 없도록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7. 참 고 문 헌
(1) 기본토질시험, 이상덕, 도서출판 새론,
(2) 토질 실험법 (실내 및 현장 실험법과 그 결과의 이용법),
임병조김영수 共譯, 형설출판사, 1994.
(3) 토질역학 신은철 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