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보고서1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질보고서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제목 : 입도분석시험(체분석)

2. 개요

3. 시험장비

4. 시험방법

5. 결과처리

7. 조별 토의사항

8. 고찰

9. 참고문헌

1. 시험제목 : 입도분석시험(비중계 시험)

2. 개요

3. 시험장비

4. 이론

5. 시험방법

6. 결과처리

7. 시험결과

8. 조별 토의

9. 고찰

10. 참고문헌

1. 시험 제목 : 비중 시험

2. 개요

3. 이론

4. 시험용 기구

5. 시험 방법

6. 결과처리

7. 시험결과

8. 조별 토의

9. 고찰

10. 참고문헌

1. 실험제목 : 단위 체적중량, 함수비 시험

2. 개요

3. 이론

4. 시험기구

5. 시험방법

6. 시험결과

8. 조별 토의

9. 고찰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 비중의 값은 커진다.
3. 이론
①비중
비중은 다음식으로 표시 된다.
여기서, : 흙입자의 단위중량
: 4℃에서의 증류수의 단위중량
: 흙입자의 건조중량
: 흙입자의 체적
②비중을 이용한 간극비와 포화도의 계산
②-1 간극비 e
여기서, Gs : 흙입자의 비중
: 물의 단위 체적 중량 (g/cm3) (1t/m3, 1g/cm3, 62.4lb/ft3)
w : 함수비 (%)
: 습윤단위중량(g/cm3)
: 건조단위중량(g/cm3)
②-2 포화도 Sr
4. 시험용 기구
비중병, 저울, 알코올램프, 건조로, 온도계
5. 시험 방법
①비중병의 검정
1)비중병을 씻어서 건조시킨 후 그 중량()을 측정한다.
2)비중병에 증류수를 넣어 병목의 눈금과 메니스커스의 바닥이 일치하게하고 병의 바깥부분을 깨끗이 닦아내고 수면위에 있는 병목 안의 물기도 깨끗이 제거한다.
3)비중병과 증류수의 전체중량() 및 수온(T')을 측정한다.
4)임의의 온도(T)에 있어서 증류수를 채운 비중병의 중량(Wa)을 계산한다.
5)측정치를 정리하여 검정표를 만든다.
②비중의 결정
1)110±5℃의 건조로에서 건조시킨 시료를 약 20g정도 준비한다.
2)실온상태로 식힌 시료를 말린 비중병에 넣어 중량을 측정한다.(Ws)
3)시료가 완전히 잠길정도로 비중병에 증류수를 가한다.(비중병의 약 1/2정도)
4)흙 속에 있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흙과 물을 채운 비중병을 10분 이상 끓인다.
5)가열한 시료는 실온이 될 때까지 식힌다.
6)비중병에 증류수를 넣어 병목의 눈금과 메니스커스의 바닥이 일치하게하고 병의 바깥 부분과 병목 안쪽의 메니스커스 윗부분의 물기를 깨끗이 제거한다.
7)전체중량(Wb, 비중병+시료+물)과 내용물의 온도 T를 측정한다.
6. 결과처리
①의 계산
②비중 결정
※온도의 변화에 따른 물의 비중의 변화 범위는 대단히 좁다. 따라서 물의 비중 대신 15℃를 기준으로 보정하더라도 측정값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한국공업규격은 15℃를 기준으로 보정계수를 정하여 보정하도록 하고 있다. 15℃의 물에 대한 비중은 다음식과 같다.
여기서 K=보정계수
7. 시험결과
비중병 검정
시험번호
1
2
3
(비중병+물)의 무게 Wa g
149.58
139.5
140.57
온도 ℃
23
24
23
비중 결정
시험번호
#1
#17
#42
1
온도 ℃
23
24
23
2
(비중병+물+흙)의 무게 Wb g
161.85
151.91
152.53
3
(비중병+물)의 무게 Wa g
149.58
139.5
140.57
4
용기 번호
9
17
42
5
(마른흙+용기)의 무게
74.95
66.77
68.43
6
용기의 무게
54.95
46.77
48.43
7
마른 흙의 무게, Ws
20
20
20
8
보정계수 K
0.997568
0.997327
0.997568
9
흙의 비중(7*8)/(3+7-2)
2.58
2.63
2.48
평균비중, =2.56
8. 조별 토의
9. 고찰
10. 참고문헌 : 건설재료실험-토질실험- -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지반공학연구실
1. 실험제목 : 단위 체적중량, 함수비 시험
2. 개요
①단위체적중량 : 이 시험은 흙의 단위체적중량(흙의 밀도)를 구하기 위해 실시된다. 단위체적중량은 흙의 단위 체적당의 중량을 말하며, 흙의 중량과 체적을 측정하여 그 중량을 체적으로 나누어 구한다. 토립자와 토립자에 포함된 물을 함RP 고려한 중량을 습윤 단위중량이라 하고, 토립자만을 고려한 경우를 건조 단위중량이라고 한다.
②함수비 : 이 시험은 흙의 성질 파악에 필수적인 요소인 함수량을 구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흙덩어리는 토립자, 물, 공긱의 3요소로 구성되어 지며, 흙의 성질은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물의 양이 많고 적음에 따라 크게 변한다. 따라서 흙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정량적으로 안다는 것은 흙을 공학적으로 판단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3. 이론
①습윤단위 체적중량() : 자연 상태에 있는 흙의 중량을 이에 대응하는 체적으로 나눈 값이다.
여기서, W : 시공체의 중량(g), V : 시공체의 체적 (cm3)
②건조단위 체적중량() : 흙을 건조시켰을 때의 단위중량을 건조단위중량이라 한다.
여기서 w : 함수비(%)
③함수비(w) : 흙의 함수량과 마른 흙의 무게와의 비를 백분율로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여기서 Ww : 물의 무게(g), Ws : 흙입자의 무게(g)
4. 시험기구 : 트리머, 줄톱, 곧은 날, 유리판, 버니어 캘리퍼스, 용기, 항온 건조로, 저울
5. 시험방법 : ①단위체적중량 : 성형법(버니어 캘리퍼스법)
1)시료를 sampler로부터 꺼내 준비한다.
2)트리머로 공시체를 제작한다.
3)성형시 남은 시료를 가지고 함수량을 측정한다.
4)공시체의 중량을 측정한다.
5)공시체의 상부 중앙부 하부 직경을 측정한다.
6)공시체의 높이를 측정한다.
7)측정치를 정리해 습윤단위 중량과 건조단위중량을 계산한다.
②함수비
1)시료를 준비한다.
2)용기의 중량을 측정한다.
3)시료를 용기에 넣어 중량을 측정한다.
4)시료를 건조로에 넣고 일정중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5)건조된 시료를 실온이 될 때까지 식힌다.
6)마른 흙과 용기의 중량을 측정한다.
6. 시험결과
①단위체적중량
단위체적중량
공시체 중량 W g
1250
공시체 높이 L cm
12.76
공시체 직경 D cm
9.96
공시체의 단면적 Cm2
77.9
공시체의 체적 V=A*L
994
습윤단위체적중량
1.26
함수비 w %
5%
건조단위체적중량
1.2
②함수비
함수비, w
시험 번호
#1
#2
#3
용기 번호
1
2
3
(젖은흙+용기)의 무게 Wa (g)
94.57
97.09
111.26
(마른흙+용기)의 무게 Wb (g)
91.45
94.06
106.97
용기의 무게 Wc (g)
30.51
30.10
24.80
마른흙의 무게, Ws (g)
60.94
63.96
82.17
물의 무게, Ww = Wa - Wb (g)
3.12
3.03
4.29
함수비,
5.1
4.7
5.2
평균 함수비, w
5%
8. 조별 토의
9. 고찰
10. 참고문헌 : 건설재료실험-토질실험- -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지반공학연구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2.21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8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