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배경이론
3. 실험기구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검토 및 토의
7. 참고문헌
2. 배경이론
3. 실험기구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검토 및 토의
7. 참고문헌
본문내용
28.047
110.902
6.667
381.991
35.859
93.342
129.201
116.536
5.769
330.539
31.029
98.986
130.015
부체의 안정 판별
1층
{ I} over {V }
= 96.64 mm > BG = 76.440 mm 안정
2층
{ I} over {V }
= 96.64 mm > BG = 82.074 mm 안정
3층
{ I} over {V }
= 96.64 mm > BG = 87.708 mm 안정
4층
{ I} over {V }
= 96.64 mm > BG = 93.342 mm 안정
5층
{ I} over {V }
= 96.64 mm < BG = 98.986 mm 불안정
[6] 검토 및 토의
부체의 안정실험을 하기 위해서 일단은 세팅을 먼저 해야 했다. 세팅을 할 때 주의할 사항으로는 부체가 완전히 중심을 잡게끔 할 것, 그리고 수조에 물을 충분히 채우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렇게 세팅이 끝이 났다면 이제 추를 좌우로 한칸씩 움직여서 그 때마다의 회전각을 잃어서 거리로 환산하고 그 결과를 이용해서 경심고를 계산할수 있다. 우측과 좌측으로 추를 움직이며 각각의 회전각을 잃어 줄 때 좌우가 완전한 대칭이라 가정한다면 좌우측의 회전각이 같아질 것이다. 하지만 완전한 대칭을 이루는 부체를 만들기가 힘드므로 약간의 차이가 날 것이다. 하지만 이번 실험을 하는데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을 정밀하게 읽어 줄수가 없었다. 사람의 눈으로 볼수 있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각의 회전각을 좌우측이 대칭이 되도록 했다.(약간의 오차는 반올림으로 보정을 했다.) 이렇게 부체의 안정을 판별하게 되면 1층에서 4층까지는 안정함을 알수 있고 5층에 이르러서는 불안정이 된다. 이것은 위로 갈수록 좌우 회전각이 커지면서 부체가 작은 바람이나 흔들림에 의해서 좌우로 전복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에서 볼수가 있었다. 부체의 안정실험은 아주 간단하면서도 재미가 있는 실험이었다. 이 작고 간단한 실험을 통해서도 부체가 어떻게 되면 안정할까?
부체의 최대 기울기 각까지도 알수 있다.
실이 완전히 멈춘 뒤에 회전각을 잃어줘야 하는데 실험실이 협소하고 시멘트 건물이라서 주위의 작은 움직임에도 큰 진동이 생겨 부체가 계속해서 조금씩 움직였다. 그래서 거의 부체가 움직이지 않으때 값을 읽기는 했지만, 거기서 작은 오차가 생겼을 것이라 생각된다. 정말 이상적이고 완벽한 실험이 있을수는 없지만, 이런 오차나 고려사항들을 보정해서 실험을 한다면 거의 완벽에 가까운 실험값을 유도해 낼수 있을 것이다.
[7] 참 고 문 헌
尹龍男 "수리학" .................................................. ( 청문각 ) 1996'
長永吉 "수리학" . ................................................ ( 技工社 ) 1986'
李吉永, 安慶洙 "수리학" .................................. ( 형설출판사 ) 1993'
110.902
6.667
381.991
35.859
93.342
129.201
116.536
5.769
330.539
31.029
98.986
130.015
부체의 안정 판별
1층
{ I} over {V }
= 96.64 mm > BG = 76.440 mm 안정
2층
{ I} over {V }
= 96.64 mm > BG = 82.074 mm 안정
3층
{ I} over {V }
= 96.64 mm > BG = 87.708 mm 안정
4층
{ I} over {V }
= 96.64 mm > BG = 93.342 mm 안정
5층
{ I} over {V }
= 96.64 mm < BG = 98.986 mm 불안정
[6] 검토 및 토의
부체의 안정실험을 하기 위해서 일단은 세팅을 먼저 해야 했다. 세팅을 할 때 주의할 사항으로는 부체가 완전히 중심을 잡게끔 할 것, 그리고 수조에 물을 충분히 채우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렇게 세팅이 끝이 났다면 이제 추를 좌우로 한칸씩 움직여서 그 때마다의 회전각을 잃어서 거리로 환산하고 그 결과를 이용해서 경심고를 계산할수 있다. 우측과 좌측으로 추를 움직이며 각각의 회전각을 잃어 줄 때 좌우가 완전한 대칭이라 가정한다면 좌우측의 회전각이 같아질 것이다. 하지만 완전한 대칭을 이루는 부체를 만들기가 힘드므로 약간의 차이가 날 것이다. 하지만 이번 실험을 하는데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을 정밀하게 읽어 줄수가 없었다. 사람의 눈으로 볼수 있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각의 회전각을 좌우측이 대칭이 되도록 했다.(약간의 오차는 반올림으로 보정을 했다.) 이렇게 부체의 안정을 판별하게 되면 1층에서 4층까지는 안정함을 알수 있고 5층에 이르러서는 불안정이 된다. 이것은 위로 갈수록 좌우 회전각이 커지면서 부체가 작은 바람이나 흔들림에 의해서 좌우로 전복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에서 볼수가 있었다. 부체의 안정실험은 아주 간단하면서도 재미가 있는 실험이었다. 이 작고 간단한 실험을 통해서도 부체가 어떻게 되면 안정할까?
부체의 최대 기울기 각까지도 알수 있다.
실이 완전히 멈춘 뒤에 회전각을 잃어줘야 하는데 실험실이 협소하고 시멘트 건물이라서 주위의 작은 움직임에도 큰 진동이 생겨 부체가 계속해서 조금씩 움직였다. 그래서 거의 부체가 움직이지 않으때 값을 읽기는 했지만, 거기서 작은 오차가 생겼을 것이라 생각된다. 정말 이상적이고 완벽한 실험이 있을수는 없지만, 이런 오차나 고려사항들을 보정해서 실험을 한다면 거의 완벽에 가까운 실험값을 유도해 낼수 있을 것이다.
[7] 참 고 문 헌
尹龍男 "수리학" .................................................. ( 청문각 ) 1996'
長永吉 "수리학" . ................................................ ( 技工社 ) 1986'
李吉永, 安慶洙 "수리학" .................................. ( 형설출판사 ) 1993'
추천자료
[IMF 경제위기][IMF 외환위기][IMF 금융위기][국제통화기금][한국경제][경제위기]IMF 경제위...
[스크린쿼터제][한국영화]스크린쿼터제를 통해 본 한국영화의 현황과 과제(한국영화 흥행실적...
[프로이드][프로이트][성격발달이론][정신분석이론][정신분석적 상담][꿈의 해석][성격발달][...
[IMF][외환위기][금융위기][경제위기][국제통화기금][IMF외환위기][멕시코 IMF 금융위기]IMF...
[M&A][기업인수합병]M&A(기업인수합병)분석과 기업가치 평가 및 우리나라 M&A(기...
[양심적 병역거부][대체복무제]양심적 병역거부, 대체복무제의 국내외 실태와 문제점 및 찬반...
한국타이어에 대한 분석
적정 교육재정 확보방안에 대한 모든 것
미혼모의 문제점 및 예방
Gas Chromatography 실험(Gas Chromatography 및 분배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와 방법 이해)
(식품화학실험보고서)수분정량, 회분정량
(식품화학실험보고서)유지의 TBA value test(thiobarbituric acid).
바우처화 되어 가는 사회복지 상황에 대한 장애인복지관의 준비
인간의 성장과 발달단계 중 청소년기와 노년기의 인간발달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사회 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