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교량에 대한조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방화대교
○교량의 구조 및 형식
○주요공종 및 공법설명

Ⅱ. 영종대교
○공사개요
○교량 개요
○교량유지관리시스템의 목적
○유지관리시스템의 구성
○Local Level 시스템
○기준정보 모듈
○점검관리 모듈
○보수보강관리모듈
○Virtual Reality(VR) 기능

Ⅲ. 서해대교
○가물막이공법
○공사개요
○기초시공
○주탑시공
○PSM교란
○PSM교 특징
○서해대교 유지관리

Ⅳ. 남해대교
○교량재원 및 설계
○교량유지관리

Ⅴ. 돌산대교
○교량의 재원 및 설계
○교량유지관리

본문내용

정보를 제공하며, 보수계획생성, 보수결과 입/출력. 보수이력관리 모듈로 구성하였다.
○Virtual Reality(VR) 기능
VR기능은 영종/방화대교를 3차원 그래픽화하여 사용자가 교량을 탐색하는 Navigation 기능과 교량의 특정 부재를 선택한후 부재의 점검, 손상 및 보수보강정보를 조회하는 Interface 기능을 갖고 있다.
Ⅲ. 서해대교
○공사개요
○가물막이공법
육상에서 원형 Cell을 조립하여 해상으로 운반하여 설치하고 cell 내부에 모래를 채워 가물막이를 형성한후 해수를 펴내고 암반층까지 굴착하여 주탑기초 콘크리트를 형성한다.
○기초시공
○주탑시공
슬립폼(Slip Form) 공법이란 ?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를 반복하지 않고 거푸집을 한번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연속적으로 타설, 상승 활동시킴으로써 시공속도가 빠르고, 시공이음이 적으며,
고소작업시 안정성에 유리한 공법으로 '활동식 거푸집 공법'이라고도 함.
○PSM교란
- 상부 부재를 육상 제작장에서 일정 길이(약 3m)로 분할 제작하여 교각과 교각 사이에 거치된 가설 트러스 위에 거치하여 강연선으로 연결하여 시공하는 교량
- 제작장 및 가설 트러스 등 초기공사비가 많이 투입되나 교량 연장이 2,000m이상이면
일반적인 가설 교량보다 경제적임
○PSM교 특징
- 복잡한 형상의 구조물도 세그먼트로 분할 시공하므로 취급이 용이
- 공장에서 연속 제작하므로 세그먼트의 품질관리 및 인력관리가 용이
- 하부작업과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기 단축 효과
- 가설시의 콘크리트는 상당한 재령에 도달한 후이므로 가설후의 프리스트레스
감소량이 적음
- 세그먼트의 운반 및 가설을 위한 장비와 장소가 필요
○서해대교 유지관리
서해대교 유지관리 체계는 교량유지관리시스템은 교량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모든 자료(교량제원, 보수점검, 유지관리, 시공, 교통량, 사고보고 등)들을 관리하고 분석하여 교량의 점검 및 보수·보강에 관한 결정사항을 전산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장기 손상을 예측하고, 교량의 안전 여부를 판단하며, 최적의 유지보수·보강 및 개축 등에 대하여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하는 객관적인 자료를재공 하도록 한다.
Ⅳ. 남해대교
우리나라 교량 중 최초이자 당시 동양최대의 현수교인 남해대교는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구국혼이 담긴 거센물살의 노량해협을 가로질러 육지의 하동군과 남해군(섬)을 연결하는 연륙교로 총연장 660m에 이르는 아름다운 현수교이다.
남해대교에서 이어지는 벚꽃길은 긴 터널을 이루며, 남해대교에서 바라보는 일몰의 석양은 탄성을 자아내며, 남해절경이 시작되는 관문이다.
○교량재원 및 설계
·노 선 명 : 일반국도 19호선(남해-원주)
·위 치 : 경남 남해군 노량리 -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
·연 장 : L=660M(128M+404M+128M), 폭원 B=12M
·구조/ 기초 : 상부-강상판 주형 현수교
하부-교대 앙카리지, 강재교각 우물통 기초
·시공 기간 : 1968.05 ~ 1973.05 (5년)
·시 공 자 : 현대건설 (주)
남해대교는 3경간 2힌지 강상판 타정식 현수교로서 동서측에 각 49개의 행거와 박스단면을 갖는 보강형, 2개의 주탑, 그리고 평행 주케이블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남해대교는, 우리나라 도로교 시방서의 DB-18에 해당하는 하중으로 설계된 남해측과 하동측 보조경간이 각각 128m이고 중앙경간이 404m인, 총연장 660m의 2등교이며 폭원 12m로 1973년에 개통되어 현재 경상남도 하동군과 남해군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교량이다.
○교량유지관리
Ⅴ. 돌산대교
여수시 남산동과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사이에 놓여진 길이 450m, 폭 11.7m, 높이 62m의 사장교이다.
1984년 12월 15일 준공된 이 대교는 주변에 다도해와 여수항이 바라보이는 돌산공원과 횟집상가, 모형 거북선이 있고, 한려해상국립공원 오동도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일대를 운항하는 유람선이 있다.
○교량의 재원 및 설계
○교량유지관리
(1) 표준통합 시스템 개발계획수립
표준통합 시스템 개발계획수립 (2003년 3월 완료 예정)
·대상교량 : 진도대교 (연장 484m, 폭 11,7m) 돌산대교 (연장 450m, 폭 11.7m)
1) 유지관리 통합시스템 구축방안 제시
o 현재 운영중인 각 교량의 유지관리 시스템분석
o 각 교량 시스템간의 호환성 분석
o 각 교량 시스쳄간의 D/B,체계 분석
2) 교량 시스템간의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가능여부 검토 및 제시
3) 특수교량 등에 대한 선진화된 점검기술 및 관리체계 방안 제시
4) 이상 계측 데이터 발생시 이에 대한 원인분석 및 해결방안 제시
5) 현재 운영중인 자동 계측 시스템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2) 계측 data 분석
1) 현장일일 계측 Data 분석
o 과년도 동일시기 Data 값과 상대비교
o 현재 관리 한계값과 비교
2) 월계측 Data 분석
o 월 1회 전계측기 Data을 관리 한계값과 비교분석하고 이상발생시
비상주 기술자 협의 원인 분석 대책
(3)유지보수이력 관리시스템(DBMS)관리
o 점검결과를 DB 입력
o 부재별 점검 및 보수, 보강 이력 상세관리
(4) 환기 및 제습 시스템
자동제어시스템이 교량내부에 설치되어 환풍기를 필요시
마다 가동시켜, 축적되어 있는 습기의 제거를 통해
Steel Box내부의 부식을 억제하고 유해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여 작업자 및 점검자의 안전을 확보
(5) 교각 점검 시설
교각점검 및 유지보수을 위하여 외부 전면근접이 가능한
엘리베이터형 점검시설을 2개소 설치
(6) Trolley Car
주형 외부의 점검 및 보수작업을 위해 중앙 경간에 1대,
측 경간에 2대의 Trolley Car 설치
(7) 주탑 내부 점검시설
주탑 내부 점검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엘리베이터형 점검 시설을 4개소 설치
(8) Cable 탐사로봇시스템
Cable 점검 및 상태 관리
(9) 전자 방식 설비
녹방지장치(186 개소) 주형 내부, 케이블 정착부, 슈,
Exp Joint 등의 주요 구조부에 설치 철 구조물 부식을
방지하여 교량의 내구성을 확보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3.11.07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14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