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지 치료(정의,개념,방법,사례)
1. 인지 치료의 정의
2. 이론적 특징
3. 주요 개념
4. 개입 과정
5. 개입 방법
6. 적용과 사례
7. 평가
1. 인지 치료의 정의
2. 이론적 특징
3. 주요 개념
4. 개입 과정
5. 개입 방법
6. 적용과 사례
7. 평가
본문내용
지지를 받고 있다.
6. 적용과 사례
인지치료의 적용
임상적 질병중심보다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범위를 이야기하는 것이 현재의 추세라고 할 수 있지만 질병 위주로 설명을 한다면, 우울증,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사회공포증, 물질남용, 식사장애(비만 및 폭식 등), 부부문제 등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된다.
그 외 강박장애, 인격장애, 재발성 우울증, 건강염려증, 만성통증, 정신분열증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치료대상
어떤 특정인에게 맞는 치료법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자신의 문제(기분장애, 행동장애 등)를 해결하겠다는 동기가 분명한 사람은 효과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치료 시간
초기 치료 간격은 주 1회(비만치료는 2∼3회)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다가 증상이 호전되고, 인지치료에 대한 기본적인 기술이 익혀지면 점차적으로 치료 횟수를 2주에 1회, 그 다음에는 3∼4주에 1회로 줄여 나갈 수도 있다.
단순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를 가진 사람은 대개 짧게는 4회, 길게는 14회의 치료시간은 가지며, 경우에 따라 이보다 기간이 길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 정도의 범위에서 병의 경과와 체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사례>
이제 10세가 된 케빈(Kevin)은 언어 인지표현능력과 학습능력이 상당히 지체되고 또한 자폐행동을 보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수업을 받는다. 그는 예체능학과때에만 일반학급에 들어가서 통합교육을 받고 나머지 시간에는 특수학급에서 지도를 받는다. 그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통합교육의 덕택으로 그의 사회성은 어느 정도 진전되고 있지만 때때로 보이는 행동장애는 별진전이 없었다. 특히 하루에 평균 두 세차례 보이는 감정격분행동(Temper Tantrum)은 보통 그 자리에 그대로 주저앉거나 누워서 울며 발을 구르고 때로는 물건을 마구 집어던지는데, 갈수록 그 강도가 심해지고 있어서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가족들에게 좌절감과 불안감을 더해 주고 있다. 최근에는 이로 인해 거의 일반학급에 들어가지 못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특수학급에서 지낸다. 따라서 케빈의 감정격분행동의 문제를 놓고 그의 부모와 특수학급교사가 긴급회의를 열고 새로운 치료방법을 찾기에 부심하게 되었다.
7. 평가
-장점-
·치료효과가 높은 점
·약을 끊은후 재발이 적다는 점
·치료기간 단축
·재발시에도 스스로 조절하여 대처
-단점-
·단순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를 가진 사람에게는 단기간의 치료로 가능할지 모르지만 장기 간의 치료가 필요한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보통 정서적으로 문제를 가진 사람들은 해결을 해야겠다는 동기가 불분명한 경우가 대부 분인데 반해 동기가 분명한 사람에게만 효과가 크기 때문에 인지치료는 더 많은 사람들 에게 적용되기 쉽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참고문헌
권석만 (1998). Beck의 인지치료. 청소년 인지상담. 청소년대화의광장.
Beck, J. S. (1995). Cognitive therapy: basics and beyond. NY: The Guilford Press.r
6. 적용과 사례
인지치료의 적용
임상적 질병중심보다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범위를 이야기하는 것이 현재의 추세라고 할 수 있지만 질병 위주로 설명을 한다면, 우울증,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사회공포증, 물질남용, 식사장애(비만 및 폭식 등), 부부문제 등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된다.
그 외 강박장애, 인격장애, 재발성 우울증, 건강염려증, 만성통증, 정신분열증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치료대상
어떤 특정인에게 맞는 치료법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자신의 문제(기분장애, 행동장애 등)를 해결하겠다는 동기가 분명한 사람은 효과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치료 시간
초기 치료 간격은 주 1회(비만치료는 2∼3회)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다가 증상이 호전되고, 인지치료에 대한 기본적인 기술이 익혀지면 점차적으로 치료 횟수를 2주에 1회, 그 다음에는 3∼4주에 1회로 줄여 나갈 수도 있다.
단순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를 가진 사람은 대개 짧게는 4회, 길게는 14회의 치료시간은 가지며, 경우에 따라 이보다 기간이 길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 정도의 범위에서 병의 경과와 체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사례>
이제 10세가 된 케빈(Kevin)은 언어 인지표현능력과 학습능력이 상당히 지체되고 또한 자폐행동을 보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수업을 받는다. 그는 예체능학과때에만 일반학급에 들어가서 통합교육을 받고 나머지 시간에는 특수학급에서 지도를 받는다. 그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통합교육의 덕택으로 그의 사회성은 어느 정도 진전되고 있지만 때때로 보이는 행동장애는 별진전이 없었다. 특히 하루에 평균 두 세차례 보이는 감정격분행동(Temper Tantrum)은 보통 그 자리에 그대로 주저앉거나 누워서 울며 발을 구르고 때로는 물건을 마구 집어던지는데, 갈수록 그 강도가 심해지고 있어서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가족들에게 좌절감과 불안감을 더해 주고 있다. 최근에는 이로 인해 거의 일반학급에 들어가지 못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특수학급에서 지낸다. 따라서 케빈의 감정격분행동의 문제를 놓고 그의 부모와 특수학급교사가 긴급회의를 열고 새로운 치료방법을 찾기에 부심하게 되었다.
7. 평가
-장점-
·치료효과가 높은 점
·약을 끊은후 재발이 적다는 점
·치료기간 단축
·재발시에도 스스로 조절하여 대처
-단점-
·단순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를 가진 사람에게는 단기간의 치료로 가능할지 모르지만 장기 간의 치료가 필요한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보통 정서적으로 문제를 가진 사람들은 해결을 해야겠다는 동기가 불분명한 경우가 대부 분인데 반해 동기가 분명한 사람에게만 효과가 크기 때문에 인지치료는 더 많은 사람들 에게 적용되기 쉽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참고문헌
권석만 (1998). Beck의 인지치료. 청소년 인지상담. 청소년대화의광장.
Beck, J. S. (1995). Cognitive therapy: basics and beyond. NY: The Guilford Press.r
추천자료
뇌졸중 후 우울증과 심리재활치료
게슈탈트 심리치료 요약
[프로이드]프로이드(Freud) 성격구조, 프로이드(Freud) 성격역동성, 프로이드(Freud) 성격발...
여성주의 심리치료
예술이 갖는 심리치료적 의의
[Pincus와 Minahan이 제안한 체계이론을 활용하여, 천안함 생존장병 사례 가상 심리치료 설명]
[게슈탈트] 게슈탈트 심리치료이론의 기본 원리와 기법
아들러 이론 [Ⅳ 심리치료, Ⅴ적용]
[심리치료와 상담] 정신병리(psychopathology) 이론 - 정신병리의 일반적 원인, 특정한 정신...
[심리치료와 상담] 엘리스 (Albert Ellis)의 생애와 REBT의 발전과정 - Ellis의 성장과정과 ...
실존적 심리치료의 주요인물(빈스방거Ludwig Binswanger,보스Medard Boss,메이Rollo May,프랭...
[기독교와 심리치료] 책임성 있는 절충주의 - 기독교상담사들이 선택할 수 있는 접근모델에 ...
[기독교와 심리치료] 절충주의의 성질과 절충주의 모델(혼돈에 가까운 절충주의, 실용적 절충...
[심리치료] 심리치료의 개념 내담자의 심리적 특성 심리치료의 단계(심리치료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