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Ⅳ 심리치료
■ 이론
■ 치료 목표
■ 치료자의 기능과 역할
■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 과정 : 치료과정에 네가지 측면
■ 치료 기법과 절차
1) 국면1 : 관계의 형성
2) 국면2 : 개인의 역동성 탐색
3) 국면3 : 통찰의 격려
4) 국면4 : 재교육을 통한 도움
<치료기법들>
Ⅴ 적용
■ 교육에의 적용
■ 다중심리치료(multiple psychotherapy)라고 불리움(Mosak,1979)
■ 부부상담에의 적용
■ 가족상담에의 적용
■ 집단상담에의 적용
■ 다른 접근과의 통합 문제
■ 평가
■ 아들러와 프로이드
참고문헌
■ 이론
■ 치료 목표
■ 치료자의 기능과 역할
■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 과정 : 치료과정에 네가지 측면
■ 치료 기법과 절차
1) 국면1 : 관계의 형성
2) 국면2 : 개인의 역동성 탐색
3) 국면3 : 통찰의 격려
4) 국면4 : 재교육을 통한 도움
<치료기법들>
Ⅴ 적용
■ 교육에의 적용
■ 다중심리치료(multiple psychotherapy)라고 불리움(Mosak,1979)
■ 부부상담에의 적용
■ 가족상담에의 적용
■ 집단상담에의 적용
■ 다른 접근과의 통합 문제
■ 평가
■ 아들러와 프로이드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족치료 주요 기법으로는 역설법이 많이 쓰이고 표준적인 기법은 면담법
- 가족상담에서의 최초 면답법 : Lowe(1982)
: ㆍ 최초의 면담은 가족상담의 시작.
ㆍ 목표 : 치료자가 아동의 목표, 부모의 아동육아법에 대한 평가, 가족의 분위기 이해등을 진단하도록 돕는 것
ㆍ 효과적인 상담을 위해서 래포형성이 우선,
ㆍ 가족의 위치는 최초의 면담에서 주의해 볼 것
ㆍ 가족구성원에게 하루를 어떻게 보내는가...등 질문
ㆍ 형제와 가족내에서의 내담자의 위치와 상호작용의 유형에서 인생관을 알수있음
ㆍ 부모와 다른 가족들을 위한 과제를 주고, 충고로 마무리
■ 집단상담에의 적용
- 1921년 비엔나의 아동상담소에서 집단상담법을 사용함
- Dreikurs (1969) : 개인의 문제와 갈등은 그의 사회적 관점에서 인식되는 것이므로 집단은 개인의 갈등과 부적응의 본질을 드러내 줄 뿐 아니라 치료적 영향도 줄수 있음
- 열등감은 집단에서 보다 더 도전받고 직면될수 있고, 잘못된 신념이나 가치들도 집단 에서 영향을 받을수 있음
- 집단은 그 구성원이 소속감과 사회의식을 발달시킬수 있는 사회적 구조를 제공함
- Dinkmeyer(1975)
ㆍ집단은 개인의 행동에 거울을 제공
ㆍ집단원들은 다른 구성원이나 지도자의 피드백으로부터 도움 받음
ㆍ집단원들은 서로 도움을 주고 받음
ㆍ집단을 현실을 검증하고 새로운 행동을 시도해 볼 기회를 제공
ㆍ집단은 집단원의 소속욕구를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구조화됨
■ 다른 접근과의 통합 문제
(1) 임상적 문제
- 아들러학파는 전이개념과는 상관없이 정신병 환자들을 장기치료
: 당시 정신병환자들은 전이를 할수 없다고 여겨 심리치료를 받을수 없다고 여김
- 성장모델 : 사람들이 자기를 깨닫는 과정의 관점에서 동료인간이 되어가는 과정으로 인간의 문제를 바라볼수 있게 해주었음.
- 질병, 고통을 해소하기 위한 치료라기 보다는 스스로 배우기를 원하고, 성장하고자 하고, 자신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사람을 위한 치료
(2) 사회적 문제
- 교육분야에서 치유보다 예방에 더 유익한 치료이론
- 가족 교육센터를 지역사회내에 설립하기도 함.
- 전문적인 치료자들은 아동양육법을 지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음
- 아들러 : 범죄, 전쟁, 종교, 볼세비키 사상, 민족주의 등의 사회적인 논제들에 관해 저술
■ 평가
- 아들러 학파에서 나온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 : 개별사례 연구 방법을 사용함
- 통계적 연구방법들은 인과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하지만,
아들러 학파에서는 원인을 찾는 것은 단지 회고적인 양식으로만 가능하다고 보았고,
인간이해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아 인과론을 거부
- 시간제한의 효과연구 (시카고의 아들러연구소) : 효과적이고 시간제한을 두지 않은 치료에 비해 더 효율적이라는 결론
- 출생순위를 보는 관점이 다름 : 아들러 학파의 경우는 심리적 위치로 다루고 있고,
다른 연구자들은 출생순위를 서열적 위치의 문제로 다룸
- Ansbacher(1946), Mosak(1958) : 초기 회상의 해석에 대해 프로이드식 접근법과 아들러식 접근법으로 구분
- 문화적 요인에 대한 인식 : 예) 여성이 느끼는 열등감은 불리한 사회적 위치와 관련 이 있다고 봄.
- 근래의 가장 실제적인 기여 : 부모-어린이 관계에 관한 것
- 현대 치료법에 아들러의 공헌
ㆍ성격의 사회적 요인 강조-집단내에서 개인을 치료하는 집단치료의 개념을 끌어냄
ㆍ유럽에서 미국으로 옮겨가면서 급속한 성장 - 학교장면에 더 많이 진출
ㆍ개별 사례적 자료에 적합한 연구 전략 개발됨에 따라 아들러학파의 연구활동에의 참 여도 기대가 됨.
■ 아들러와 프로이드
- 프로이드의 성격구조 : id , ego, superego, 의식과 무의식을 구분
아들러는 성격의 단일한 총합성을 강조
- 프로이드 : 삶의 본능과 죽음의 본능을 구분, 성추동을 지나치게 강조
아들러 : 우월성의 추구, 자기향상의 추구라 말한 향상 지향적 추구를 강조
- 프로이드가 본 사회 : 단지 삶의 본능과 죽음의 본능이 대립하는 무질서를 피하기 위 한 곳
아들러 : 인간은 선천적으로 잠재적인 사회적 관심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봄
- 프로이드의 여성관에 반해, 아들러는 남성과 여성의 평등을 강조,
성적 평등을 성취하기 위한 여성의 해방을 강조
- 프로이드 : 외디푸스C를 보편적인 발달과정이라고 봄
아들러 : 과도하게 과잉보호로 양육된 결과라고 봄
- 프로이드 : 결국 죽음의 본능이 승리한다 보고 인간의 본성에 대해 기본적으로 비관적
아들러 : 인간본성을 긍정적이고 낙관적으로 봄
- 프로이드 : 치료의 목적은 자유연상을 통해 고통의 무의식적 원천을 쏟아내는 것
아들러 : 사회적 관심을 갖게하는 방법으로 치료의 가치를 강조했음
참고문헌
1. 김정희, 이장호 공역(1992) 현대심리치료, 중앙적성출판사
(원저: Raymond J. Corsini, Danny Wedding, Current psychotherapies 3rd ed.
2. 현명호, 유제민 공역(2001) 상담 및 심리치료의 통합적 접근, 시그마프레스
(원저: Gerald Corey, (The) art of integrative counseling
3. 조현춘[외]공역(1999) 집단심리상담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원저: Gerald Corey,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counseling 4th ed.
4. 조현춘, 조현재 공역(1996)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원저: Gerald Corey,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hy 4th edition
5. A.아들러(1988) 아들러 심리학 해설(인간의마음을 탐구하는총서 5), 선영사
6. 노안영, 강만철, 오익수 외 공역(1989) 애들러 상담이론, 학지사
(원저: Rovert W.Lundin, Alfred Adler's Basic Concepts and Implication by Lundin
7. 노안영 외(2003) 성격심리학, 학지사
8. 캘빈S.홀(1999) 프로이드 입문, 한림미디어
- 가족상담에서의 최초 면답법 : Lowe(1982)
: ㆍ 최초의 면담은 가족상담의 시작.
ㆍ 목표 : 치료자가 아동의 목표, 부모의 아동육아법에 대한 평가, 가족의 분위기 이해등을 진단하도록 돕는 것
ㆍ 효과적인 상담을 위해서 래포형성이 우선,
ㆍ 가족의 위치는 최초의 면담에서 주의해 볼 것
ㆍ 가족구성원에게 하루를 어떻게 보내는가...등 질문
ㆍ 형제와 가족내에서의 내담자의 위치와 상호작용의 유형에서 인생관을 알수있음
ㆍ 부모와 다른 가족들을 위한 과제를 주고, 충고로 마무리
■ 집단상담에의 적용
- 1921년 비엔나의 아동상담소에서 집단상담법을 사용함
- Dreikurs (1969) : 개인의 문제와 갈등은 그의 사회적 관점에서 인식되는 것이므로 집단은 개인의 갈등과 부적응의 본질을 드러내 줄 뿐 아니라 치료적 영향도 줄수 있음
- 열등감은 집단에서 보다 더 도전받고 직면될수 있고, 잘못된 신념이나 가치들도 집단 에서 영향을 받을수 있음
- 집단은 그 구성원이 소속감과 사회의식을 발달시킬수 있는 사회적 구조를 제공함
- Dinkmeyer(1975)
ㆍ집단은 개인의 행동에 거울을 제공
ㆍ집단원들은 다른 구성원이나 지도자의 피드백으로부터 도움 받음
ㆍ집단원들은 서로 도움을 주고 받음
ㆍ집단을 현실을 검증하고 새로운 행동을 시도해 볼 기회를 제공
ㆍ집단은 집단원의 소속욕구를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구조화됨
■ 다른 접근과의 통합 문제
(1) 임상적 문제
- 아들러학파는 전이개념과는 상관없이 정신병 환자들을 장기치료
: 당시 정신병환자들은 전이를 할수 없다고 여겨 심리치료를 받을수 없다고 여김
- 성장모델 : 사람들이 자기를 깨닫는 과정의 관점에서 동료인간이 되어가는 과정으로 인간의 문제를 바라볼수 있게 해주었음.
- 질병, 고통을 해소하기 위한 치료라기 보다는 스스로 배우기를 원하고, 성장하고자 하고, 자신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사람을 위한 치료
(2) 사회적 문제
- 교육분야에서 치유보다 예방에 더 유익한 치료이론
- 가족 교육센터를 지역사회내에 설립하기도 함.
- 전문적인 치료자들은 아동양육법을 지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음
- 아들러 : 범죄, 전쟁, 종교, 볼세비키 사상, 민족주의 등의 사회적인 논제들에 관해 저술
■ 평가
- 아들러 학파에서 나온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 : 개별사례 연구 방법을 사용함
- 통계적 연구방법들은 인과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하지만,
아들러 학파에서는 원인을 찾는 것은 단지 회고적인 양식으로만 가능하다고 보았고,
인간이해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아 인과론을 거부
- 시간제한의 효과연구 (시카고의 아들러연구소) : 효과적이고 시간제한을 두지 않은 치료에 비해 더 효율적이라는 결론
- 출생순위를 보는 관점이 다름 : 아들러 학파의 경우는 심리적 위치로 다루고 있고,
다른 연구자들은 출생순위를 서열적 위치의 문제로 다룸
- Ansbacher(1946), Mosak(1958) : 초기 회상의 해석에 대해 프로이드식 접근법과 아들러식 접근법으로 구분
- 문화적 요인에 대한 인식 : 예) 여성이 느끼는 열등감은 불리한 사회적 위치와 관련 이 있다고 봄.
- 근래의 가장 실제적인 기여 : 부모-어린이 관계에 관한 것
- 현대 치료법에 아들러의 공헌
ㆍ성격의 사회적 요인 강조-집단내에서 개인을 치료하는 집단치료의 개념을 끌어냄
ㆍ유럽에서 미국으로 옮겨가면서 급속한 성장 - 학교장면에 더 많이 진출
ㆍ개별 사례적 자료에 적합한 연구 전략 개발됨에 따라 아들러학파의 연구활동에의 참 여도 기대가 됨.
■ 아들러와 프로이드
- 프로이드의 성격구조 : id , ego, superego, 의식과 무의식을 구분
아들러는 성격의 단일한 총합성을 강조
- 프로이드 : 삶의 본능과 죽음의 본능을 구분, 성추동을 지나치게 강조
아들러 : 우월성의 추구, 자기향상의 추구라 말한 향상 지향적 추구를 강조
- 프로이드가 본 사회 : 단지 삶의 본능과 죽음의 본능이 대립하는 무질서를 피하기 위 한 곳
아들러 : 인간은 선천적으로 잠재적인 사회적 관심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봄
- 프로이드의 여성관에 반해, 아들러는 남성과 여성의 평등을 강조,
성적 평등을 성취하기 위한 여성의 해방을 강조
- 프로이드 : 외디푸스C를 보편적인 발달과정이라고 봄
아들러 : 과도하게 과잉보호로 양육된 결과라고 봄
- 프로이드 : 결국 죽음의 본능이 승리한다 보고 인간의 본성에 대해 기본적으로 비관적
아들러 : 인간본성을 긍정적이고 낙관적으로 봄
- 프로이드 : 치료의 목적은 자유연상을 통해 고통의 무의식적 원천을 쏟아내는 것
아들러 : 사회적 관심을 갖게하는 방법으로 치료의 가치를 강조했음
참고문헌
1. 김정희, 이장호 공역(1992) 현대심리치료, 중앙적성출판사
(원저: Raymond J. Corsini, Danny Wedding, Current psychotherapies 3rd ed.
2. 현명호, 유제민 공역(2001) 상담 및 심리치료의 통합적 접근, 시그마프레스
(원저: Gerald Corey, (The) art of integrative counseling
3. 조현춘[외]공역(1999) 집단심리상담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원저: Gerald Corey,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counseling 4th ed.
4. 조현춘, 조현재 공역(1996)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원저: Gerald Corey,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hy 4th edition
5. A.아들러(1988) 아들러 심리학 해설(인간의마음을 탐구하는총서 5), 선영사
6. 노안영, 강만철, 오익수 외 공역(1989) 애들러 상담이론, 학지사
(원저: Rovert W.Lundin, Alfred Adler's Basic Concepts and Implication by Lundin
7. 노안영 외(2003) 성격심리학, 학지사
8. 캘빈S.홀(1999) 프로이드 입문, 한림미디어
추천자료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아들러 학파
아들러 학파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심리치료와 상담] 아들러(Adler) 심리치료의 실제와 평가 - 아들러 심리치료단계(관계형성,...
★추천자료★[아들러식 심리치료 Adlerian Play Therapy] 아들러의 놀이치료, 아들러 생애, 아...
[독후감] 『미움받을 용기』 -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 _ 고가 후미타케 ...
[아들러 심리치료기법]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학적 심리치료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아들러 치료에 대한 성경적 관점 및 아들러 치료에 대한 미래 전망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아들러 심리치료의 주요 치료 기법과 개입 및 실제와 평가 - 치료적 ...
[기독교와 심리치료] 행동주의 심리학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행동치료, 합리정서치료, 인지행...
A+ 미움받을 용기 독후감, 독서감상문, 아들러 심리학 독후감, 아들러 심리학 레포트, 미움받...
[A+레포트]미움받을 용기 2 독후감 서평 독서기록장 알프레드아들러 심리학 베스트셀러 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