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 론
2.본 론
1)독일에서 맥주산업이 발달한 이유
2)독일 맥주산업의 역사
3)오늘날의 독일 맥주 산업의 실태
4)독일 맥주가 유명한 이유
4)독일의 맥주문화
5)독일의 맥주 축제(Oktoberfest)
6)독일의 맥주산업에서 배울 점
3.결 론
2.본 론
1)독일에서 맥주산업이 발달한 이유
2)독일 맥주산업의 역사
3)오늘날의 독일 맥주 산업의 실태
4)독일 맥주가 유명한 이유
4)독일의 맥주문화
5)독일의 맥주 축제(Oktoberfest)
6)독일의 맥주산업에서 배울 점
3.결 론
본문내용
될 수 있었던 것일까? 그것은 바로 위에서 알아본 옥토버페스트와 같은 맥주축제에서 찾을 수 있다. 독일은 자신들의 전통인 맥주산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옥토버페스트라는 맥주축제를 통해 여러 가지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이익들을 창출해 내고 있다. 사람들에게 있어서 이미지라는 것은 하나의 심리적 편견과도 같아서 실제로는 그렇지 않을지라도 그러하다고 믿을 수 있게 만드는 힘이 있다. 대표적인 이유로 나이키, 코카콜라 와같은 유명상표(메이커)를 들 수 있는 것이다. 독일 맥주 또한 이러한 유명상표와 같은 메이커인 것이다. 똑같은 품질과 똑같은 재료로 만들어도 독일에서 생산된 맥주는 무언가 다르다라는 이미지를 옥토버페스트와 같은 맥주축제를 통해서 사람들의 머릿속에 자연스럽게 각인시킴으로서 '독일 = 맥주' 라는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었고 이것은 거의 반영구적인 이윤창출의 토대가 되고 있는 것이다. 현대 시대는 이미지마케팅이 중요시되고 있는 시대이다. 아무리 사소한 상표라도 그 이미지가 나쁘면 사람들은 그 상품에 대한 신뢰와 구매욕구를 가지지 않는다. 이러한 심리적인 편견을 잘 활용하여 성공한 사례가 독일의 옥토버페스트를 이용한 맥주마케팅인 것이다.
②문화 산업에 대한 육성과 관리가 철저하다
각 나라마다 독특한 문화와 전통들은 존재하기 마련이지만 유독 독일의 맥주 축제가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그것은 철저한 상품의 품질관리와 이미지관리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본문에서도 알아보았지만 독일의 맥주산업은 일찌감치 맥주순수령을 통해서 맥주의 품질을 엄격히 규정하였고 그러한 전통은 지금에도 이어져서 맥주의 품질에 대한 강한 신뢰감을 구축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물론 다른 나라들도 이에 질세라 맥주순수령을 엄격히 준수하고는 있지만,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미지라는 것은 한번 정착되면 편견과 같아서 좀처럼 변하지 않는 속성이 있다. 가장 처음으로 가정 선진적인 질서(맥주순수령)을 선언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독일 맥주의 품질에 관한 강한 신뢰성을 줄 수있게 된 것이다. 그 외에도 독일인 특유의 근면, 성실함과 건전한 음주문화는 자칫 술이 줄 수 있는 부정적인 이미지(각 종 음주사고들, 흥청망청대는 분위기들)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줌으로써 독일 맥주 산업의 이미지 관리에 일조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③기 타
그 외에도 맥주라는 상품 하나만을 지나치게 부각시킴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단조로움이나 식상함을 각 지방 고유의 맥주의 특색을 보호하고 권장함으로서 같은 맥주라는 아이템 속에서도 다양성을 추구하고 개성을 살리는데 성공한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3.결 론
지금까지 독일 맥주 산업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독일 맥주에 대한 소개를 하면서 독일 맥주의 종류에 관해서 전혀 언급하지 않은 이유는, 실제로 독일 내에서 유통되는 맥주의 종류가 수 천 가지에 이르는 만큼 일일이 나열하는 것이 지면상의 문제로 인해 불가능했고, 또한 그러한 목록을 나열하고 특징들을 글로 설명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특징들을 알아두는 것이 과연 독일 맥주에 관해서 아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도 들었다. 독일의 맥주산업에서 알아보고 싶었던 사실은 독일 맥주의 맛과 특징이 어떠한 것이 있다는 단편적인 지식보다는 맥주라는 상품이 그들이 생활 속에서 어떻게 문화로 자리매김 하였고, 또한 독일인들은 그들의 맥주 문화를 어떻게 문화산업으로 육성해 나갔는가를 알아보고 우리가 벤치마킹해야 할 점들을 찾아내는 것이었다. 실제로 5천년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우리나라에도 독일의 맥주 못지 않은 수많은 전통주들과 그 밖에 술 외에도 자랑할만한 문화코드들이 충분히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자원들을 더욱더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홍보하고 활용한다면 독일의 맥주산업을 능가하는 경제적인 이익과 여러 정치적, 사회적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
참고문헌
참고 서적
최 훈, 「포도주 그 모든 것」, 행림출판, 1997
황해정 이복희 공저, 「와인과 칵테일」, 기문사, 2001
인터넷 사이트
엠파스 - 한국의 음주문화 연구센터
www.daeil.or.kr/Users/jjango/Deutschland/Oktober.htm
www.bookingtown.co.kr/info/culture/w-d.html
www.jjokki.com
www.stmail.chosun.ac.kr/~bada/sl/sw_1.htm
www.nobelmann.com/about/land/bier.htm
②문화 산업에 대한 육성과 관리가 철저하다
각 나라마다 독특한 문화와 전통들은 존재하기 마련이지만 유독 독일의 맥주 축제가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그것은 철저한 상품의 품질관리와 이미지관리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본문에서도 알아보았지만 독일의 맥주산업은 일찌감치 맥주순수령을 통해서 맥주의 품질을 엄격히 규정하였고 그러한 전통은 지금에도 이어져서 맥주의 품질에 대한 강한 신뢰감을 구축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물론 다른 나라들도 이에 질세라 맥주순수령을 엄격히 준수하고는 있지만,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미지라는 것은 한번 정착되면 편견과 같아서 좀처럼 변하지 않는 속성이 있다. 가장 처음으로 가정 선진적인 질서(맥주순수령)을 선언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독일 맥주의 품질에 관한 강한 신뢰성을 줄 수있게 된 것이다. 그 외에도 독일인 특유의 근면, 성실함과 건전한 음주문화는 자칫 술이 줄 수 있는 부정적인 이미지(각 종 음주사고들, 흥청망청대는 분위기들)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줌으로써 독일 맥주 산업의 이미지 관리에 일조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③기 타
그 외에도 맥주라는 상품 하나만을 지나치게 부각시킴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단조로움이나 식상함을 각 지방 고유의 맥주의 특색을 보호하고 권장함으로서 같은 맥주라는 아이템 속에서도 다양성을 추구하고 개성을 살리는데 성공한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3.결 론
지금까지 독일 맥주 산업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독일 맥주에 대한 소개를 하면서 독일 맥주의 종류에 관해서 전혀 언급하지 않은 이유는, 실제로 독일 내에서 유통되는 맥주의 종류가 수 천 가지에 이르는 만큼 일일이 나열하는 것이 지면상의 문제로 인해 불가능했고, 또한 그러한 목록을 나열하고 특징들을 글로 설명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특징들을 알아두는 것이 과연 독일 맥주에 관해서 아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도 들었다. 독일의 맥주산업에서 알아보고 싶었던 사실은 독일 맥주의 맛과 특징이 어떠한 것이 있다는 단편적인 지식보다는 맥주라는 상품이 그들이 생활 속에서 어떻게 문화로 자리매김 하였고, 또한 독일인들은 그들의 맥주 문화를 어떻게 문화산업으로 육성해 나갔는가를 알아보고 우리가 벤치마킹해야 할 점들을 찾아내는 것이었다. 실제로 5천년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우리나라에도 독일의 맥주 못지 않은 수많은 전통주들과 그 밖에 술 외에도 자랑할만한 문화코드들이 충분히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자원들을 더욱더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홍보하고 활용한다면 독일의 맥주산업을 능가하는 경제적인 이익과 여러 정치적, 사회적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
참고문헌
참고 서적
최 훈, 「포도주 그 모든 것」, 행림출판, 1997
황해정 이복희 공저, 「와인과 칵테일」, 기문사, 2001
인터넷 사이트
엠파스 - 한국의 음주문화 연구센터
www.daeil.or.kr/Users/jjango/Deutschland/Oktober.htm
www.bookingtown.co.kr/info/culture/w-d.html
www.jjokki.com
www.stmail.chosun.ac.kr/~bada/sl/sw_1.htm
www.nobelmann.com/about/land/bier.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