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근대 인종주의 시각의 변화(마르크스․엥겔스를 중심으로)
3. 사회다윈주의와 인종주의
4. 마르크스의 관점(유대인 문제를 중심으로)
5. 엥겔스의 관점(아일랜드인 문제를 중심으로)
6. 맺음말(의의와 한계)
7. 참고문헌
2. 근대 인종주의 시각의 변화(마르크스․엥겔스를 중심으로)
3. 사회다윈주의와 인종주의
4. 마르크스의 관점(유대인 문제를 중심으로)
5. 엥겔스의 관점(아일랜드인 문제를 중심으로)
6. 맺음말(의의와 한계)
7. 참고문헌
본문내용
각이 유대인, 아일랜드인 뿐만 아닌 유색인종을 포함한 현대 인종주의 문제 해결에 보다 근본적인 인권의 문제를 포함시키게 한 계기를 마련한 것은 의미있다 하겠다.
7. 참고문헌
한국서양사학회 편(2002), 서양사회와 인종주의, 서울: 지식산업사 pp.187-214(강성호, "마르크스엥겔스와 인종주의―유대인과 아일랜드인을 중심으로).
김영한·임지현 편(1994), 서양의 지적운동, 서울: 지식산업사 pp.567-600 (김덕호, "사회 다윈주의(Social Dawinism)").
프레데리크 들루슈 편, 윤승준 역(2002), 새유럽의 역사, 서울: 까치, pp.315-322.
이진(1998), "유대인 학살과 평범한 독일인의 역할: 골드하겐 테제를 둘러싼 논쟁"(역사비평 43호 pp.249-267).
7. 참고문헌
한국서양사학회 편(2002), 서양사회와 인종주의, 서울: 지식산업사 pp.187-214(강성호, "마르크스엥겔스와 인종주의―유대인과 아일랜드인을 중심으로).
김영한·임지현 편(1994), 서양의 지적운동, 서울: 지식산업사 pp.567-600 (김덕호, "사회 다윈주의(Social Dawinism)").
프레데리크 들루슈 편, 윤승준 역(2002), 새유럽의 역사, 서울: 까치, pp.315-322.
이진(1998), "유대인 학살과 평범한 독일인의 역할: 골드하겐 테제를 둘러싼 논쟁"(역사비평 43호 pp.249-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