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2.본론
3.결론
본문내용
념을 무시했다는 비난을 받기보다는 13장과 같은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사례 제시를 통해 인류학의 새로운 방향과 비젼을 제시하는 것이 더욱더 일반 독자에게 설득적으로 다가온다고 생각한다.
3.결 론
지금까지 인류학의 기본개념인 상대성, 제일성, 총체성을 평가의 준거로 상정하여 책 한 권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책의 모든 부분을 세세히 살펴보고 꼼꼼히 내용정리를 통해서 살펴보는 것 자체도 중요하지만 이 책의 목적이 무엇이고 그 목적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는가, 논리전개에 있어서 무리는 없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독자의 한사람으로서 더욱더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다소 많은 내용적인 부실함이 보일지 몰라도 몇몇 중요 장만을 뽑아서 평가하고 생각해보았다. 전체적인 평가는 일반인의 흥미를 끌고 새로운 인식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면에서는 그 작가의 의도를 높이 사고 싶다. 그러나 이러한 의욕이 너무 앞선 나머지 기본 개념에 충실하지 못하고 서술의 균형을 놓친 대목이 부분부분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러한 부분만을 바로잡는다면 마빈해리스의 "문화의 수수께끼" 이후에 새롭게 일반인에게 다가오고 있는 인류학의 입문에 좋은 지침서가 되리라 믿는다.
3.결 론
지금까지 인류학의 기본개념인 상대성, 제일성, 총체성을 평가의 준거로 상정하여 책 한 권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책의 모든 부분을 세세히 살펴보고 꼼꼼히 내용정리를 통해서 살펴보는 것 자체도 중요하지만 이 책의 목적이 무엇이고 그 목적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는가, 논리전개에 있어서 무리는 없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독자의 한사람으로서 더욱더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다소 많은 내용적인 부실함이 보일지 몰라도 몇몇 중요 장만을 뽑아서 평가하고 생각해보았다. 전체적인 평가는 일반인의 흥미를 끌고 새로운 인식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면에서는 그 작가의 의도를 높이 사고 싶다. 그러나 이러한 의욕이 너무 앞선 나머지 기본 개념에 충실하지 못하고 서술의 균형을 놓친 대목이 부분부분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러한 부분만을 바로잡는다면 마빈해리스의 "문화의 수수께끼" 이후에 새롭게 일반인에게 다가오고 있는 인류학의 입문에 좋은 지침서가 되리라 믿는다.
추천자료
[문화정책][문화정책 활용방안][문화정책 사례][문화산업]문화정책의 범주, 문화정책의 변화,...
[대중문화란무엇인가,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인도][인도 기본 정보][인도 대표 음식][인도 식사 예절][인도 종교][인도 장례문화][인도 ...
[언어문화의 배경][언어문화의 변화][언어문화의 이론][언어문화와 여성의 언어][계층별 언어...
문화상대주의에 대하여 - 가치 상대주의와 문화 상대주의, 문화상대주의의 문제점, 찬반론
[미국문화][미국][종교문화][교육문화][자동차문화][영화문화][한국문화]미국문화의 배경, 미...
[문화교육][교과목][예술교육][문화교육의 운동]문화교육의 의미, 문화교육의 원칙, 문화교육...
[문화시설][문화시설의 공연장][문화시설의 아동문화시설][문화시설의 주안점][경주의 문화시...
[일본문화][일본][문화][영화][만화][애니메이션][가옥][다도][성인식][요괴]일본문화와 영화...
[문화동화][문화적 동화]문화동화(문화적 동화)와 수용자, 문화동화(문화적 동화)와 문화적 ...
[기업문화][기업][문화][기업문화 의미][기업문화 중요성]기업문화의 의미, 기업문화의 중요...
[관광문화론 觀光文化論] 문화(文化)의 개념 정의 및 문화의 기능
청소년문화와 학교문화의 차이를 설명하고 학교문화가 청소년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
[청소년문화] 문화는 다른 문화와의 만남에서 문화적 요소들이 발생한다. 이 때 나타나는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