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콘크리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배합설계

2.철근의 종류와 사용방법

3.철근 콘크리드의 보, 기둥, 바닥 및 기초의 구조형식

4.이음새의 종류, 위치와 구조

본문내용

전단보강근을 넣지 않기도 한다. 기초판에 대한 접지압은 흙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균등하지 않지만 가정은 균등한 것으로 본다(기초에 전달되는 하중에 편심이 없고 모멘트가 전달되지 아니하면 접지압은 균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편심하중과 휨모멘트를 받는 기초는 이에 따라서 산정한다. 기초바닥판은 4개의 사다리꼴 내민보로 보고 산정할 수가 있다. 주근은 기둥면에서 45사선내에 배치하고 그 바깥에는 간격을 2배 이내로 한다. 독립기초에는 기초보를 두어 기둥의 부동침하 또는 이동을 방지한다. 또 주각에서 전달되는 휨모멘트를 받고, 라멘 계산에 있어 주각고정이라는 조건 등에 의해 계산상의 단면보다 상당히 큰 것이 요망된다. 기초보는 연결보, 지중보라고도 한다. 각 독립기초는 지지내력이 여유의 차가 크면 오히려 부동침하를 유발하게 되므로 기초의 저면적등은 정확히 계산되어야 한다.
.줄기초 : 기초판과 기초보를 겸한 기초벽으로 구성된 구조로 조적구조에 많이 사용된다.
기초판은 1m씩 자른 독립기초로 볼 수 있으며 응력은 벽체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만 일어나므로 주근은 기초판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하고 보조근은 세로 방향으로 배치한다.
b P/ e (b:기초판의 나비)
.복합기초 : 복삽기초는 2개 이상의 기둥을 1개의 기초판으로 받게 한 기초로 경계선에 접하여 기초판을 내밀 수 없을 대 쓰인다. 이 기초에서는 2개의 기둥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같을 때는 장방형, 다를 때에는 사다리꼴로 된다. 기초판의 구조는 두꺼운 판으로 하거나 기둥의 연결보로 연결하고, 그 저면을 기초판으로 한다. 기초바닥판의 휨모멘트 및 전단력은 기둥의 측면에서 고정되고 하부로부터 올려미는 접지압을 받는 보 및 내민보로 산정하며, 단면 및 배근은 독립기초에 따른다. 이 기초의 배근은 기둥을 지지점으로 하고, 접지압을 하중을 하는, 즉 일반바닥판을 거꾸로한 상태로 배근된다. 기초판의 상부에 곧은 근을 두고 굽힌철근은 기둥 사이에서 위쪽에 두고, 양기둥에서는 밑으로 휘어내린다. 독립기초의 변형으로 두 기둥의 깊이가 다를 때에는 기초판으로 연결하지 않고 기초보로 연결하기도 한다. 각 기둥은 단독기초판으로 한 캔틸레버기초가 있다. 이 기초의 배근은 복합기초와 같다.
.온통기초 : 하중이 큰 건물이나 지하수위가 얕은 지하길이 있는 건물 등에서 건물전체 밑면에 기초바닥판으로 만든 것을 온통기초라고 한다. 지반의 지내력이 작아 독립 기초의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기둥의 하중이 커서 독립 기초 사용시 서로 접하는 경우, 지하실의 수압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때는 온통 기초를 사용한다. 온통 기초는 지반 상태, 하중 조건 등에 따라 평판식 무량식 보 구조 형식으로 구분된다. 기초슬래브나 기초보의 배근은 지반반력이나 수압의 영향이 상부에서 내려온 하중보다 더 클 경우 일반층 슬래브의 보배근을 거꾸로 배치한 형태가 된다. 기초슬래브는 이중 슬래브가 될 경우가 많은데 이 공간부를 방수목, 축열조 등에 쓰이기도 한다.
4. 이음새(Joint)의 종류, 위치와 구조
1) 신축이음(expansion joint)
신축이음새가 필요한 이유 : ①온도변화(화재시 포함)
②콘크리트의 수축
③부동침하
④적재하중변화 및 이동하중의 영향 등으로 콘크리트에
균열 또는 파손부가 생김
신축줄눈 또는 팽창줄눈)
신축줄눈(팽창줄눈)을 두는 위치
ⅰ. 기존건물과 증축건물의 접속부
ⅱ. 저층의 긴 건물이 고층건물과의 접속부
ⅲ. 건물의 한 끝에 달린 날개형 건물
ⅳ. 50∼60m를 넘는 긴 건물
ⅴ. 두 고층 사이에 있는 긴 저층건물
ⅵ. 평면이 ㄴ ㄷ T 형의 교차부분
신축이음새는 기초에서부터 각층 각부재를 통하여 설치.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줄눈은 특히 건물의 남쪽면 또는 옥상지붕에 필요하고, 화재의 위험이 많은 공장에서는 팽창줄눈을 여러 곳에 설치하여, 열을 받는 부재로서 길이의 변화가 생길 곳, 또는 구조체에 피해를 줄 곳은 이음새를
설치!
이음새에는 신축성 재료(아스팔트 플라스틱 퍼티 plastic putty)를 쓰고 변형이 잘 안 되는 재료(모르타르 회반죽)는 피해야 함. 그리고 줄눈은 빗물 스며들기, 음성의 전파 등을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함.
신축이음새의 구조부는 기초부에서 부터 기둥을 두 개 나란히 세우거나, 부동침하에 대비하여 기둥에 설치한 까치발에 보 끝을 단순지지로 하거나 또는 서로 내민보로 맞닿게 하는 법 등이 있다. 기초의 이음새는 간격을 충분히 하여 그 신축이동을 완만하게 하고, 상호간섭에 의한 지중응력의 커짐을 방지한다.
2) 시공이음(construction joint)
: 시공이음은 시공줄눈이라고도 하며 벽과 바닥판 또는 바닥판의 중간에서
콘크리트를 한 번에 계속하여 부어나가지 못할 곳에 둔 이음.
이음에는 철근을 정착하여 외부로 연장해 두고, 콘크리트는 직각으로 끊고
면에 홈을 파서 물리면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효과가 증대되고 전단력
저항에도 유리하게 됨
철근콘크리트의 시공이음(이어붓기) 위치는 부재에 전단력이 가장 적게 생기는 곳
을 택하고, 재축에 직각으로 가장 짧은 거리가 되게 하는 것이 원칙!
그러나 기둥은 시공의 편의 및 외관 등을 고려하여 각 층 바닥에 접하는 면을 이
음위치로 하고 보나 바닥판의 이음위치는 그 부재의 중앙부에 둠.
보 및 바닥판은 간사이의 중앙부에서 휨에 의한 압축응력이 크지만, 이는 재축에 수직으로 작용하므로 콘크리트는 그 강도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나, 전단력이 크게 작용하는 단부에 시공이음을 두면 강도가 저하되므로 좋지 않음.
작은보가 접속되는 큰보에 있어서는 응력이 크게 변하는 곳을 피하기 위하여 작은보의 나비의 2배 가량 떨어진 곳에 이음을 두어, 작은 보가 있는 곳보다 전단력을 적게 받도록 한다.
3) 조절 줄눈(control joint)
: 조절줄눈은 지반 위에 있는 큰크리트바닥판이 수축에 의하여 표면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임.
수축줄눈이라고도 하며 시공줄눈을 겸하기도 한다. 조절줄눈의 간격은 보통
4.5∼7.5m 정도마다 설치한다.
조절줄눈은 미리 줄눈재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도 있고 특수콘크리트 절단톱으로 켜내는 법도 있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11.10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22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