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로저스의 관점
2. 주요 개념
(1) 자아
1) 경험의 왜곡
2) 부인
(2) 유기체와 자아, 조화와 부조화
(3) 실현화 경향
(4) 자아 실현
1) 전제
2) 자아 실현의 경향적 특성
(5) 가치있는 조건
(6) 일치(자기의 경험의 일치)
1) 일치상태
2) 동의어
(7) 성숙
3.인간중심의 카운슬링의 용어의 정의<참고>
4. 치료 기법
(1) 비지시적 치료기법
(2) 인간중심 치료기법
1) 공감
2) 긍정적 존중
3) 진솔성
2. 주요 개념
(1) 자아
1) 경험의 왜곡
2) 부인
(2) 유기체와 자아, 조화와 부조화
(3) 실현화 경향
(4) 자아 실현
1) 전제
2) 자아 실현의 경향적 특성
(5) 가치있는 조건
(6) 일치(자기의 경험의 일치)
1) 일치상태
2) 동의어
(7) 성숙
3.인간중심의 카운슬링의 용어의 정의<참고>
4. 치료 기법
(1) 비지시적 치료기법
(2) 인간중심 치료기법
1) 공감
2) 긍정적 존중
3) 진솔성
본문내용
경험 그 자체가 성장적 변화에 영향을 준다고 믿는다.
2) 긍정적 존중-W가 솔직하게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을 유지한다는 것은 그가 외현적으로나 내현적으로 판단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불필요하게 탐색하지 않는다. 그는 그가 할 수 있는 한 C를 전폭적으로 이해하고 내담자를 진솔하게 수용하고 C가 가지고 있는 자기이해와 긍정적 변화에 대한 자원을 완전히 신뢰한다. W가 C 스스로 자신을 발견하고 자기 자신의 변화과정을 따르는 것을 진지하게 믿으면 믿을수록, C는 그와 같은 일을 더 자유롭게 할 수 있다. C는 "여기에 누군가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나의 성장과정의 길을 찾을 능력이 내 자신에게 있음을 믿고 있다고 반복하여 말하는 사람이 있다. 아마도 나는 나를 믿기 시작할 수 있을 것 같다"라고 느낀다.
3) 진솔성-진솔하거나 일치하기 위해서 W는 C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순간순간의 느낌에 의존한다. 이러한 진솔성은 W 자신의 이해와 경험을 언어화하도록 유도할 뿐 아니라 그가 이해와 긍정적 존중의 태도를 갖도록 한다. C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중에 그는 자신의 상상 속에서 C가 보고하는 경험을 경험하도록 한다. 어떤 순간 C의경험이 그 자신의 것이 되도록 허용함으로서 그는 그 자신의 C가 신체내부반응이 내담자가 겪는 그 상황 안에 있도록 할 수 있다. 그의 이해는 겪어온 경험들을 만일 자신이 겪는다면 과연 어떨까하는 것에 대한 느낌의 도에 따라, 지적일 뿐만 아니라 유기체적인 것이 될 수도 있다. W가 C의 입장이 되어본 후 자신이 느낀 의미를 언어화함에 따라 진솔함과 공감은 결합된다.
2) 긍정적 존중-W가 솔직하게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을 유지한다는 것은 그가 외현적으로나 내현적으로 판단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불필요하게 탐색하지 않는다. 그는 그가 할 수 있는 한 C를 전폭적으로 이해하고 내담자를 진솔하게 수용하고 C가 가지고 있는 자기이해와 긍정적 변화에 대한 자원을 완전히 신뢰한다. W가 C 스스로 자신을 발견하고 자기 자신의 변화과정을 따르는 것을 진지하게 믿으면 믿을수록, C는 그와 같은 일을 더 자유롭게 할 수 있다. C는 "여기에 누군가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나의 성장과정의 길을 찾을 능력이 내 자신에게 있음을 믿고 있다고 반복하여 말하는 사람이 있다. 아마도 나는 나를 믿기 시작할 수 있을 것 같다"라고 느낀다.
3) 진솔성-진솔하거나 일치하기 위해서 W는 C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순간순간의 느낌에 의존한다. 이러한 진솔성은 W 자신의 이해와 경험을 언어화하도록 유도할 뿐 아니라 그가 이해와 긍정적 존중의 태도를 갖도록 한다. C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중에 그는 자신의 상상 속에서 C가 보고하는 경험을 경험하도록 한다. 어떤 순간 C의경험이 그 자신의 것이 되도록 허용함으로서 그는 그 자신의 C가 신체내부반응이 내담자가 겪는 그 상황 안에 있도록 할 수 있다. 그의 이해는 겪어온 경험들을 만일 자신이 겪는다면 과연 어떨까하는 것에 대한 느낌의 도에 따라, 지적일 뿐만 아니라 유기체적인 것이 될 수도 있다. W가 C의 입장이 되어본 후 자신이 느낀 의미를 언어화함에 따라 진솔함과 공감은 결합된다.
추천자료
인간행동과사회환경-행동주의 이론
[인간행동과사회환경]_생태학적_이론과_사회복지_실천과의_관계
엠엠씨-인간행동과사회환경-에릭슨의 생애주기별 발달단계를 파악하고 사회복지실천에서 생애...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C)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반듀라, 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을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인간행동과사회환경-자신의 발달과정을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에 근거하여 탐색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인간의 발달단계를 설명하고 발달단계별 과업을 논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행동발달에 대한 스키너(B. Skinner)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B형)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행동주의적 공통점과 차이점...
인간행동과사회환경 E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Rogers)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