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미사 `-답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본문내용

데에 필요한 기준이 되는 "행동, 말씨,……"는 발화 상황에 따라서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일 수도 있으며, 모두일 수도 있다. (3)에서 청자는 또 다음과 같은 의문을 품을 수 있다.
(4) 순이의 행동
. 태도 이/가 어떠하면,
. 말씨
순이는 여자다운가?
얌전스러운가?
슬기로운가?
이에 화자는 이를 만족시킬 기준을 주관적으로 세울 수 있다.
(5) 순이의 행동 이/가 얌전하 (으)면
태도 예의바르
말씨 곱
생각 재치있는
똑똑하
순이는 여자답다.
얌전스럽다.
슬기롭다.
즉, 위의 예문 (1)의 a를 발화하기 위한 기준과 조건은 바로 화자 자신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것이다. 현재시제라도 주관동사는 시간 부사어와의 공존이 가능하다고 한 견해도 있다. 이에 따라 이를 검증해 볼 수 있다.
그녀는 늘 여자답다.
가끔
종종
위의 예문에서 이 파생어가 시간 부사어와의 공존이 가능함을 알았다. 이는 "-답다"가 주관동사에 속한다는 증거가 된다. 이는 다른 말로 자기판단 용언류라 할 수 있다. 자기판단 용언류란 서술문에서 화자의 판단을 진술하기 위해서 사용되거나, 의문문에서 청자의 판단을 요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용언류이다. 이들 파생어가 자기판단 용언류라면 예문 (1)의 a는 다음과 같이 바꾸어 쓸 수 있어야 한다.
[ 나는 [여자다운 점이 순이에게 있다] 라고 판단한다 ]
위의 예문에서 예문 (1)의 a는 상위문의 주어가 일인칭인 이행문으로의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작기판단 용언류의 통사적인 특징인 것이다.
이상의 것들은 "-답다"가 연결되어 만들어지는 파생어가 자기판단 용언류에 속한다는 확실한 증거가 된다. 이것은 결국 "-답다"가 의미특성으로 [+자기판단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결 론
이상에서 국어 접미사"-답다"의 어휘론적 기능에 대해 살펴 보았다. 접미사 "-답다"는 모두 한자어와 연결이 자유로웠다. 그리고 이 파생어의 기본적인 형태구조는 "명사∼접미사"로 나타났다. 이는 파생어를 형성할 때 선행어기가 명사인 경우가 가장 자연스럽게 접미사와 연결된다는 말이다. 선행어기의 형태구조 분석을 토대로 파생기능을 알아본 결과, 이 접미사는 선행어기의 문법범주를 형용사로 전성시키는 파생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접미사의 가의기능을 살핀 결과, 공유 의미특성으로 [+자기판단성]을 선행어기에 가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국어 접미사에 대한 연구는 주로 형태론적인 면에 치중되어 왔다. 즉, 파생어의 형태구조 분석이나 파생 접미사의 자료를 정리하여 그에 의한 파생어 목록을 제시하는 단어형성론의 일부분으로, 혹은 다른 어사와 파생 접미사간의 범주상의 동요에 관심을 두어 접미사의 의미연구에는 소홀한 감이 없지 않다. 물론 접미사의 의미를 밝히는 연구가 있긴 하지만 객관적인 연구가 선행되지 않은 단순한 언어직관에 의존하여 의미를 논하고 있는 실정이다. 불분명한 어근에 대한 처리 문제도 아직까지 미해결의 문제로 남아있다. 이런 문제들이 완전히 해결되었을 때 접미사에 대한 기술이 완벽하게 될 것이다.

키워드

접미사,   -답다,   답다,   파생어,   어미,   어휘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1.11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2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