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황산벌 감상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황산벌 감상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황산벌의 두인물
1. 최후의 충신 황산벌 싸움터의 계백
2. 계백의 설화
3. 명장 김유신

Ⅲ. 영화`황산벌`의 의도
1. 현존 6자회담의 관계
2. 실존주의적 측면
3. 해학적인 부분

Ⅳ. 영화`황산벌`의 오류
1. 원활한 의사소통의 문제
2. 하나의 시나리오(단순성)
3. 흥해만 고려한 영화

Ⅴ. 나가면서

본문내용

사속의 비극적인 부분이다. 결코 해학으로만 끝낼수 없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감독이 취한 자세는 해학적 부분도 아니고 극적인 부분도 아니다.
좀 어리숙하다. 단지 웃기위한 영화적 소재를 우리 역사속에서 얼마든지 많이 있다. 그런데 왜 하필이면 황산벌인가? 그렇게 무거운 주제를 우리에게 웃을수 있게 한 감독이 실로 대단하다는 생각까지 든다.
영화의 전반부에 흐르는 부분과 후반부의 흐르는 부분은 우리민족의 고유의 해학성에 대비되는 이미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독은 이러한 부분을 아무런 장치없이 두가지 상황을 매치 시켜려고만 하였다. 단지 웃는 영화로, 그렇다면 왜 후반부의 비장미를 집어넣었을까 우리는 의구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만일 처음부터 비장미를 강조하고 그 요소 요소에 여백의 미에 해당하는 해학을 집어넣었으면 하는 바람도 있다.
Ⅴ. 나가면서
90년대 허리우드는 '늑대와춤을'이라는 영화를 내 놓았다. 그들을 역사를 침략의 역사로 기록한 영화이기 때문에 매우 무거운 이미지를 주었다. 그러나 영화평론가들은 대단한 평을 아끼지 아니하였다. 영화라는 것은 현재의 재연이다. 과거의 사실을 다른 각도로 재 조명 함으로서 대중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늑대와춤'에서 그동안에 가지고 있었던 백인의 이미지를 깨고, 침략적 이미지로 인디안을 자연적 이미지로 충분하게 각인시켰다. 그리고 변증법적으로 또다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것은 바로 인간이 바로 자연적으로 다가갈 때 자연은 인간에게 반응한다는 결론이다. 이처럼 황산벌 또한 현실의 어려움과, 지역적 색채를 민족주의내, 통합의 의미로 결론지을수 있었으나 황산벌은 많은 부분에서 미흡하다. 단지 웃기 위한 영화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아니면 감독이 많은 욕심을 내었거나 둘중에 하나라고 밖에는 생각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황산벌의 새로운 시도는 좋았으나, 극장을 나오면서 내뱉는 한숨은 어쩔 수 없었다. 하지만 나의 이러한 생각이 마지막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영화산업에 있어 이제 시작이라고 생각된다. 실재로 그렇고, 따라서 나의 생각이 마지막이라고 결론지어 버린다면, 성급한 일반화 오류라고 생각되어 진다. 한국영화의 새로운 시도는 좋은 시작이라고 볼 수 있고, 이러한 역사적 사건들이 대중속으로 파고들어 역사적 사실의 재평가 할 수 있는 작품들이 많이 나올 수 있다면 그것으로 황산벌은 성공한 영화라 볼 수 있다.
  • 가격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1.12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23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