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시대의 시대적배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소소생이라고 하고있는데, 흔자는 소소생의 변명이고 이개선(1501∼1568)일 가능성이 많다고 한다. 문장 속에서 산둥 방언을 구사한 점으로 보아 산둥 사람인 것은 분명하며, 가정(嘉靖) 말년으로부터 만력 중기의 창작으로 추정된다. 《금병매사화》에는 1617년의 서문이 있으며, 따로 천계연간(1605~1627) 간행의 《원본금병매》가 있는데, 이것은 산둥 지방의 토착어가 삭제되어 있다. 또, 에로틱한 장면을 삭제한 《진본금병매》도 있다. 칭허현[淸河縣] 현청의 문앞에서 생약상을 경영하는 서문 경은 악질적인 방법으로 재산을 모아 관리와 결탁, 실력자로 올라선다. 많은 첩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추남인 만두장수 무대(武大)의 처 반금련과 밀통하고 남편을 독살하게 하고 그녀를 첩으로 삼는다. 무대의 아우 무송(武松)은 형의 원수를 갚는다는 것이 다른 사람을 살해하여 유죄(流罪)에 처해진다. 서문 경은 다시 친구의 처 이병아를 첩으로 만들고 그 재산을 빼앗는다. 이윽고, 이병아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은 금련에게 구박을 받다가 어려서 죽고, 이병아도 죽는다. 서문 경은 음탕한 생활 끝에 급사한다. 금련은 쫓겨나고 무송에게 살해된다. 서문 경의 처 오월랑은 금나라 군대의 침입을 피해 절로 들어가는데 그곳에서 인과응보의 이치를 깨닫고, 유복자 효가는 출가한다.
전편에서 가정 말∼만력 중기의 부패한 사회상과 어린 여자아이를 매매하는 밑바닥 서민생활을 폭로하여, 명대의 도시상업자본의 발전 양상과 시민계급의 의식형태가 반영되어 있다. 정밀한 묘사와 감칠맛 나는 문장으로 많은 등장인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묘파한 수법은, 뒤에 나온 장편소설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냉혹함과 절망이 전편에 넘쳐 흐르고 봉건사회의 죄악상이 대담하게 폭로되고 있으나, 비판정신은 희박하며 노골적인 에로티시즘의 묘사가 많다. 이 작품들은 원나라 말기부터 명나라를 거쳐 청나라 초기에 걸치는 기간 동안 소설로 정착되었다. 하지만 대부분 이전부터 오랜 세월 동안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여 성립된 것들이다. 또한 「금병매」를 제외한 나머지 작품들은 잡극 등으로 공연되기도 하였다.
명나라 이후 많은 장편 연의 소설들이 씌어졌지만, 작품의 내용뿐만 아니라 인기면에서도 4대 기서를 능가하는 작품은 거의 없었다. 그결과 이 작품들은 중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여러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뿐 아니라, 지금까지도 여러 나라에서 널리 읽히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1.13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25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