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
∽ 본 론 ∽
∽ 결 론 ∽
∽ 본 론 ∽
∽ 결 론 ∽
본문내용
적인 그 어떤 문제보다 신비하다고 보아진다. 우리에게 동기를 부여해서 행동을 하게끔 한다는 자체에서 부터가 신기하다. 지금이글을 쓰고 있고 또 눈으로 보고 만지고 하는 모든 것이 내 두개골 안에 있는 조그마한 부분에서부터 시작이라는 점이 새삼 놀랍다.
∽ 결 론 ∽
최후의 비밀에 관해서 주인공인 핀쳐 박사와 마르탱보다 개인적으로 깊이 와 닿았던 인물이 "나타샤"였다. 더 큰 쾌락을 얻기 위해 약물을 복용하고 치료를 위해 그 부분을 절제해서 기쁨도 고통 등의 감정을 느낄 수 없는 나타샤를 보면서 우리에게 고통이 조금이라도 있기 때문에 기쁘고 좋은 일에 웃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듯했다. 즉, 오히려 조금의 고통이 있기에 우리에겐 쾌락이란 게 존재하지 않을까 생각해보았다.
"뇌"라는 신비한 소재에 "베르베르"라는 작가가 풀어나가는 이 소설은 그냥 소설이라기보다는 그 어떤 환타지 어드벤처 보다 흥미진진하고 재미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의 훌륭한 말솜씨와 전문적인 용어사용, 방대한 자료를 섭렵했을만한 내용들에 감탄하고 마지막에는 "과연 인간의 능력의 끝은 어디일까?"라는 의문까지 던져주는 이 책에 내가 점수를 준다면 별 다섯 개에 네 개를 주고 싶다.
∽ 결 론 ∽
최후의 비밀에 관해서 주인공인 핀쳐 박사와 마르탱보다 개인적으로 깊이 와 닿았던 인물이 "나타샤"였다. 더 큰 쾌락을 얻기 위해 약물을 복용하고 치료를 위해 그 부분을 절제해서 기쁨도 고통 등의 감정을 느낄 수 없는 나타샤를 보면서 우리에게 고통이 조금이라도 있기 때문에 기쁘고 좋은 일에 웃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듯했다. 즉, 오히려 조금의 고통이 있기에 우리에겐 쾌락이란 게 존재하지 않을까 생각해보았다.
"뇌"라는 신비한 소재에 "베르베르"라는 작가가 풀어나가는 이 소설은 그냥 소설이라기보다는 그 어떤 환타지 어드벤처 보다 흥미진진하고 재미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의 훌륭한 말솜씨와 전문적인 용어사용, 방대한 자료를 섭렵했을만한 내용들에 감탄하고 마지막에는 "과연 인간의 능력의 끝은 어디일까?"라는 의문까지 던져주는 이 책에 내가 점수를 준다면 별 다섯 개에 네 개를 주고 싶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