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자본조달
1. 자본조달방법
2. 자기자본에 의한 자본조달
3. 타인자본에 의한 자본조달
4. 자본조달의 결정요인
제2장 자본조달전략
제3장 바람직한 자본조달방법
1. 자기/타인자본조달방법의 장단점 비교
2. 바람직한 방향제시
[사례]NTT의 자본조달 최적화
1. 자본조달방법
2. 자기자본에 의한 자본조달
3. 타인자본에 의한 자본조달
4. 자본조달의 결정요인
제2장 자본조달전략
제3장 바람직한 자본조달방법
1. 자기/타인자본조달방법의 장단점 비교
2. 바람직한 방향제시
[사례]NTT의 자본조달 최적화
본문내용
1. 자본조달방법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 결정이다. 투자에 소요되는 자금은 크게 자본 제공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주식회사의 자본조달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신주를 발행하여 자기자본을 증가시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사채의 발행이나 금전차입 등을 통하여 타인자본을 조달하는 것이다. 자기자본은 회사의 존속 중에는 반환의무가 없고, 회사 자체에 구속되는 재산의 계산상의 총액을 말하는데 비해 타인자본은 변제기가 도래하면 이익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회사가 반환해야 할 재산액으로 회사 채권자로부터 받은 상품, 금융신용 모두를 포함한다. 자본 조달 결정은 기업의 안정성과 수익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2. 자기자본에 의한 자본조달
회사의 자본은 발행주식의 액면가액의 합계이므로 회사가 자본을 증가시키려면 반드시 신주를 발행하여야 한다. 신주의 발행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회사가 자금조달을 직접적인 목적으로 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로서 적극적으로 회사의 외부에서 자본을 끌어들여 회사의 실질적 재산을 증가시키는 통상의 신주발행이고(일반적으로 유상증자라 한다) 다른 하나는 회사가 경리정책상 하는 신주발행으로서 외부로 유출되어야 할 자금을 회사의 내부에 계속하여 유보시켜 회사의 실질적 재산은 변화하지 않고 소극적으로 회계상 자본금만 증가시키는 특수한 신주발행이 있다. 이에는 전환사채의 전환에 의한 신주발행과 신주인수권부사채권자의 청구에 의한 신주발행이 있다. 이 밖에도 자본감소를 위한 신주발행, 주식배당에 의한 신주발행, 준비금·재산재평가적립금의 자본전입에 의한 신주발행 및 합병에 의한 신주발행 등이 특수한 신주발행의 종류에 해당된다
1) 통상의 신주발행
통상의 신주발행이란 상법 제416조 이하에서 규정하는 것으로 정관에 정하여진 수권자본의 범위 내에서 이미 주식을 발행하고 남은 미발행주식 중에서 새로 주식을 발행하여 회사의 자본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준비금의 자본전입(무상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 결정이다. 투자에 소요되는 자금은 크게 자본 제공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주식회사의 자본조달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신주를 발행하여 자기자본을 증가시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사채의 발행이나 금전차입 등을 통하여 타인자본을 조달하는 것이다. 자기자본은 회사의 존속 중에는 반환의무가 없고, 회사 자체에 구속되는 재산의 계산상의 총액을 말하는데 비해 타인자본은 변제기가 도래하면 이익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회사가 반환해야 할 재산액으로 회사 채권자로부터 받은 상품, 금융신용 모두를 포함한다. 자본 조달 결정은 기업의 안정성과 수익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2. 자기자본에 의한 자본조달
회사의 자본은 발행주식의 액면가액의 합계이므로 회사가 자본을 증가시키려면 반드시 신주를 발행하여야 한다. 신주의 발행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회사가 자금조달을 직접적인 목적으로 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로서 적극적으로 회사의 외부에서 자본을 끌어들여 회사의 실질적 재산을 증가시키는 통상의 신주발행이고(일반적으로 유상증자라 한다) 다른 하나는 회사가 경리정책상 하는 신주발행으로서 외부로 유출되어야 할 자금을 회사의 내부에 계속하여 유보시켜 회사의 실질적 재산은 변화하지 않고 소극적으로 회계상 자본금만 증가시키는 특수한 신주발행이 있다. 이에는 전환사채의 전환에 의한 신주발행과 신주인수권부사채권자의 청구에 의한 신주발행이 있다. 이 밖에도 자본감소를 위한 신주발행, 주식배당에 의한 신주발행, 준비금·재산재평가적립금의 자본전입에 의한 신주발행 및 합병에 의한 신주발행 등이 특수한 신주발행의 종류에 해당된다
1) 통상의 신주발행
통상의 신주발행이란 상법 제416조 이하에서 규정하는 것으로 정관에 정하여진 수권자본의 범위 내에서 이미 주식을 발행하고 남은 미발행주식 중에서 새로 주식을 발행하여 회사의 자본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준비금의 자본전입(무상
추천자료
성공기업분석(주식회사 훈테크)
2012년 하계계절시험 주식회사법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3년 하계계절시험 주식회사법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하계계절시험 주식회사법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주식회사법 중간시험과제물 E형(교재 제6장에서 소개된 판례)
2014년 2학기 주식회사법 중간시험과제물 D형(교재 제5장에서 소개된 판례)
2014년 2학기 주식회사법 중간시험과제물 B형(교재 제3장에서 소개된 판례)
2014년 2학기 주식회사법 중간시험과제물 A형(교재 제1장에서 소개된 판례)
만도 공조 주식회사
2014년 2학기 주식회사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주식회사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