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한국의 사회복지법 개념
2. 우리나라 학자들의 사회복지법 체계 분류
3. 사회복지법 체계 설명
4. 결론 :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의 특징과 과제
2. 우리나라 학자들의 사회복지법 체계 분류
3. 사회복지법 체계 설명
4. 결론 :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의 특징과 과제
본문내용
(61.12.30)
윤락행위등방지법
(61.11.9)
아동복리법(61.12.30)
1962
선원보험법(62.1.10) - 미실시
재해구호법(62.3.30)
국가유공자및월남귀순자보호법(62.4.10)
제3공화국
1963
군인연금법(63.1.18)
산업재해보상보험법(63.11.5)
의료보험법(63.12.16)
사회보장에 관한 법률(63.11.5)-폐지
1968
자활지도사업임시조치법(68.7.23)
1970
재해구제로인한의사상자구호법(70.8.4)
사회복지사업법
(70.1.1)
제4공화국
1973
국민복지연금법
(73.2.24)-미실시
공무원및사립학교교원연금법(73.12.20)
1976
의료보험법 개정
(76.12.22)
입양특례법(76.12.31)
1977
공무원및사립학교교원의료보험법
(77.12.31)
의료보호법(77.12.31)
특수교육진흥법
(77.12.31)
1980
사회복지사업기금법(80.12.31)
제5공화국
1981
심신장애자복지법
(81.6.5)
노인복지법(81.6.5)
아동복지법 전문개정
(81.4.13)
1982
공무원연금법
전문개정(82.12.28)
생활보호법
전문개정(82.12.31)
유아교육진흥법
(82.12.31)
1984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84.8.2)
1986
국민연금법
전문개정(86.12.31)
갱생보호법
전문개정(86.12.23)
최저임금법(86.12. )
정 부
재정
연도
사회보험제도
공공부조제도
사회복지서비스제도
기 타
제6공화국
1988
국민연금법 시행
(88.1.1)
농어촌지역의료보험 시행(88.1.1)
최저임금제 시행
(88.1.1)
보호관찰법(88.1.1)
1989
도시지역의료보험 시행(89.7.1)
모자복지법(89.4.1)
장애인복지법
전문개정(89.12.30)
장애자고용촉진등에관한법률(89.12.16)
1991
영유아보육법(91.1.4)
사회복지사업법
개정(91.12. )
고령자고용촉진법
(91.12.31)
사내근로복지기금법
(91.8.10)
청소년기본법
(91.12.31)
1993
고용보험법(93.12.27)
일제하일본군위안부에대한생활안정지원법(93.6.11)
1994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94.1.5)
1995
국민연금법 개정
(96.1.5)
고용보험법(95.7.1)
농어민연금 시행
(95.7.1)
정신보건법(95.12.30)
보호관찰등에관한법률(95.1.5)
사회보장기본법
(95.12.30)
1997
국민의료보험법
(97.12.31)
국민연금법 개정
(98.2.24)
사회복지공동모금법(97.3.27)
사회복지사업법 개정
(97.8.22)
청소년보호법(97.3.7)
가정폭력방지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97.12.31)
1999
국민건강보험법
(99.2.8)
국민기초생활보장법
(99.9.7)
[참 고 문 헌]
김상균 외, 사회복지개론, 나남출판사, 2001.
현외성, 한국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2003.
전광석, 한국사회보장법론, 법문사, 1999.
남재일, 홈페이지,http://nengjung.kit.ac.kr/~knamij/law(01∼12).html
윤락행위등방지법
(61.11.9)
아동복리법(61.12.30)
1962
선원보험법(62.1.10) - 미실시
재해구호법(62.3.30)
국가유공자및월남귀순자보호법(62.4.10)
제3공화국
1963
군인연금법(63.1.18)
산업재해보상보험법(63.11.5)
의료보험법(63.12.16)
사회보장에 관한 법률(63.11.5)-폐지
1968
자활지도사업임시조치법(68.7.23)
1970
재해구제로인한의사상자구호법(70.8.4)
사회복지사업법
(70.1.1)
제4공화국
1973
국민복지연금법
(73.2.24)-미실시
공무원및사립학교교원연금법(73.12.20)
1976
의료보험법 개정
(76.12.22)
입양특례법(76.12.31)
1977
공무원및사립학교교원의료보험법
(77.12.31)
의료보호법(77.12.31)
특수교육진흥법
(77.12.31)
1980
사회복지사업기금법(80.12.31)
제5공화국
1981
심신장애자복지법
(81.6.5)
노인복지법(81.6.5)
아동복지법 전문개정
(81.4.13)
1982
공무원연금법
전문개정(82.12.28)
생활보호법
전문개정(82.12.31)
유아교육진흥법
(82.12.31)
1984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84.8.2)
1986
국민연금법
전문개정(86.12.31)
갱생보호법
전문개정(86.12.23)
최저임금법(86.12. )
정 부
재정
연도
사회보험제도
공공부조제도
사회복지서비스제도
기 타
제6공화국
1988
국민연금법 시행
(88.1.1)
농어촌지역의료보험 시행(88.1.1)
최저임금제 시행
(88.1.1)
보호관찰법(88.1.1)
1989
도시지역의료보험 시행(89.7.1)
모자복지법(89.4.1)
장애인복지법
전문개정(89.12.30)
장애자고용촉진등에관한법률(89.12.16)
1991
영유아보육법(91.1.4)
사회복지사업법
개정(91.12. )
고령자고용촉진법
(91.12.31)
사내근로복지기금법
(91.8.10)
청소년기본법
(91.12.31)
1993
고용보험법(93.12.27)
일제하일본군위안부에대한생활안정지원법(93.6.11)
1994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94.1.5)
1995
국민연금법 개정
(96.1.5)
고용보험법(95.7.1)
농어민연금 시행
(95.7.1)
정신보건법(95.12.30)
보호관찰등에관한법률(95.1.5)
사회보장기본법
(95.12.30)
1997
국민의료보험법
(97.12.31)
국민연금법 개정
(98.2.24)
사회복지공동모금법(97.3.27)
사회복지사업법 개정
(97.8.22)
청소년보호법(97.3.7)
가정폭력방지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97.12.31)
1999
국민건강보험법
(99.2.8)
국민기초생활보장법
(99.9.7)
[참 고 문 헌]
김상균 외, 사회복지개론, 나남출판사, 2001.
현외성, 한국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2003.
전광석, 한국사회보장법론, 법문사, 1999.
남재일, 홈페이지,http://nengjung.kit.ac.kr/~knamij/law(01∼12).html
추천자료
우리나라 빈곤에 대한 사회보장제도(공공부조) / 한 사회복지기관을 선택하여 그 기관에서 ...
[경제성장][소득분배][재분배정책]경제성장과 소득분배(재분배정책) 심층 분석(경제성장과정,...
독일 사회복지 발달사 (독일의 사회보장제도와 사회보험)
사회보장기본법의 실체법적 한계와 공적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
사회복지과 사회복지개론 - 영국의 복지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베버리지가 주장한 사회보장에 ...
영국의 구빈법 시대와 사회보장의 시대를 연결하는 합리적, 과학적 조직 시대에 빈민구조에 ...
보장론-사회복지세도입에 관한 생각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 사회보장제도
사회복지정책론-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사회복지개론] 사회보장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해서
[사회복지보장론] 무상급식을 통해 바라본 선별주의와 보편주의
[사회복지보장론] 건강보험 4대 중증질환
(A+ 요점정리,시험대비) [사회복지개론]사회보장
미국 사회복지의 역사(사회보장법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