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활성슬러지 미생물의 종류
2. 활성슬러지 미생물의 형태
3. 활성슬러지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미생물의 특징
2. 활성슬러지 미생물의 형태
3. 활성슬러지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미생물의 특징
본문내용
빠른 경우 관찰된다.
② Colurella
꼬리는 1개로 되어 있으며 대개 소형으로 출현환경은 Lecane과 같다.
③ Monostyla
알모양 또는 원형으로 1개의 긴다리를 갖으며 출현환경은 유입수의 농도가 극히 낮거나 설계치보다 작을 때 Diffuser의 용존산소 효율이 양호하고 유기물의 산화가 대단히 빠른 경우 관찰된다.
④ Euglypha
껍질은 규칙있게 규산질의 조각 혹은 작은판으로 되어 있다. 운동할 때와 섭취할 때는 실모양의 다리를 내어놓는다. 충체의 크기는 30 200 이며, 출현환경은 Difflugia와 유사하여 유입수 농도가 극히 낮고 폭기조에 용존산소가 충분하여 질산화가 일어나 pH가 산성에 있는 경우 출현한다.
⑤ Lepadella
앞모양의 원형이 많으며 긴 꼬리에 2개의 다리가 있다. 부유하는 것보다 포복성이 많으며 출현환경은 Lecane과 동일하게 유입수의 농도가 극히 낮거나 설계치 보다 작을 때 Diffuser의 용존산소 효율이 양호하고 유기물의 산화가 대단히 빠른 경우 관찰된다.
⑥ Euplotes
충체는 편평한 원형 또는 타원형 전단부터 ⅓정도까지 3각형의 넓은 개구부가 있다. 몸의 앞과 후부에 다른 종류의 미생물보다 많은 각모가 있다. Euplotes의 출현환경은 Lecane과 같이 유입수의 농도가 낮은 경우와 유입수량이 설계치보다 적을 때 Diffuser의 산소용해율이 양호하고 유기물의 산화가 대단히 빠른 경우 관찰된다.
6) 산소부족일 때 나타나는 생물
산소가 부족되어 폭기조가 혐기성으로 되면 오니는 검어지고 H2S 냄새가 난다. 이것은 폭기조가 혐기성으로 진행되어 혐기성균인 유산염 환원세균이 증식해서 그 움직임에 의해 H2S가 생성하기 때문이다.
①Beggiatoa
Beggiatoa는 유황세균의 일종으로 유화수소를 산화해서 에너지를 얻는다. Beggiatoa는 크기 1.8 16 까지의 사상세균이며 일반적으로 분기한다. 세포내의 유황입자(검은색으로 모임)을 다량 함유할 때는 골주운동(滑走運動)을 하며 유황입자를 함유하지 않으면 정지상태로서 다른 사상세균과는 분기의 유무, 굵기, 세포선단 등으로 판별한다. 폭기조에 Beggiatoa가 다량출현하면 혐기성 상태로서 유화수소가 다량 생성하므로 동물성 편모충류의 수는 적게 된다. 한편 사상세균에 의한 팽화의 원인으로도 된다. 폭기조에서 DO 가 부족하여 Beggiatoa가 다량 관찰되면은 공기량을 증가한다. 이 경우 Beggiatoa는 거의 개체로 활동한다. 폭기조에서 용존산소가 충분함에도 증식하는 경우는 농축조와 침전지에서 그 분리액이 혐기성화하여 폭기조로 유입되는 경우이다. 이때는 반송율을 높히고 농축조의 체류시간을 단축하여 침전지와 농축조의 부패를 방지한 다. Beggiatoa는 폭기조 이외의 장소에서 증식하여도 폭기조로 일부 유입되면 폭기조에서 증식을 잘하므로 항상 다른 장소의 혐기성화를 조심한다. 폭기조에서 Beggiatoa가 심하게 발생할 경우 폭기조를 혐기성으로 하여 60 정도로 수온을 올려 1 2일 방치하여 Beggiatoa를 아주 없앨 수도 있다고 한다. 세포의 크기는 40 300 이며, 출현환경은 폭기조에서 유기물과 오니가 부패해서 유화수소가 발생할 때 많다. 폭기조에 서 용존산소가 충분하면서 Metopus가 관찰될 경우는 폭기조내부에 큰 사영역(死領域)이 존 재할 경우이며 이 경우 Beggiatoa까지는 관찰되지 않는다.
7) 과잉 폭기일 때 나타나는 생물
폭기가 과잉이면 floc은 가늘며 사방으로 흩어져 보인다. floc의 세분화는 생물적인 요인과 동시에 침전조의 물리적인 전단력에 의한 경우도 많다. 소형 Amoeba 이 경우 세포의 크기 50 이하의 것을 총칭한다.
① Amoeba radiosa
구형의 세포에 여러개의 돌기를 갖고 별모양을 갖는 것이 특징, 세포의 크기 14 30 이고 운동성은 둔하다. Amoeba radiosa의 출현경우는 비교적 넓어 과폭기 후 해체시와 오니가 불안정할 때 나타난다. Amoeba radiosa만으로 폭기상태를 판단하는 것는 위험하며 다른 생물종과 같이 판단한다.
② Vahlkamphia limicolu
세포의 크기는 25 35 이고 운동하는 방향의 앞부분은 투명하다. 출현환경은 과폭 후 압도적으로 나타난다.
③ Vahlkamphia limax
세포의 크기는 15 50 이고 소형의 비교적 확실한 Amoeba 세포의 몸은 보통폭 보다 길다. 운동은 Amoeba 중에서 빠른 편이며 파도와 같이 이동한다. Valhkamphia limax의 출현환경은 과폭기 후와 해체시이다.
8) 슬러지가 팽화할 때 나타나는 생물
a. 사상균에 의한 팽화
① Sphaerotilus
Sphaerotilus는 일종의 담을 갖는 세균으로서 그 담안에는 다수의 간균이 있다. 이 간균은 염색하지 않고 관찰할 수 있다. Sphaerotilus는 분기하기 때문에 분기점으로 판단하며 Beggiotoa와 같이 운동은 하지 않는다. Sphaerotilus의 발생원인은 다종다양하며 그 대책도 곤란하다.
b. 진균에 의한 팽화
① Zoophagus
이것은 윤충을 포식하는 진균이다. Zoophagus는 옆으로 짧은 줄기와 같은 균사를 갖고 그 부분에 윤충이 부착을 하면 운동을 한다. 윤충이 죽으면 균사를 윤충의 체내에 넣어 내용물을 분해해서 균사 내로 섭취한다. Zoophagus의 출현환경은 오니가 해체할 때와 다량의 충류가 나타날 때이다.
② Fusarium
이 종류는 윤충을 포식하는 것과 또 하나 부식영양형(腐蝕營養型)이 있다. 특징은 균사에 융벽을 갖고 풀이나 초승달과 같은 모양의 포자를 만든다. 사진은 부식영향형의 Fusarium이고 팽화상태 중인 폭기조에서 관찰된다. 이 경우는 양호한 종오니(種汚泥)를 대량 첨가해서 Fusarium에 영양원이 가지 않도록 F/M비를 조절해서 해결한다.
③ Arthrobotorys
이것은 선충포식(線筮捕食) 진균류 특징은 균사의 일부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균사바퀴를 형성해서 선충류가 이 바퀴의 가운데서 머리를 들어밀면 순간적으로 바퀴를 조여서 선충을 죽이고 체내에 균사를 흡수해서 체 표( 表)를 제거 흡입한다
② Colurella
꼬리는 1개로 되어 있으며 대개 소형으로 출현환경은 Lecane과 같다.
③ Monostyla
알모양 또는 원형으로 1개의 긴다리를 갖으며 출현환경은 유입수의 농도가 극히 낮거나 설계치보다 작을 때 Diffuser의 용존산소 효율이 양호하고 유기물의 산화가 대단히 빠른 경우 관찰된다.
④ Euglypha
껍질은 규칙있게 규산질의 조각 혹은 작은판으로 되어 있다. 운동할 때와 섭취할 때는 실모양의 다리를 내어놓는다. 충체의 크기는 30 200 이며, 출현환경은 Difflugia와 유사하여 유입수 농도가 극히 낮고 폭기조에 용존산소가 충분하여 질산화가 일어나 pH가 산성에 있는 경우 출현한다.
⑤ Lepadella
앞모양의 원형이 많으며 긴 꼬리에 2개의 다리가 있다. 부유하는 것보다 포복성이 많으며 출현환경은 Lecane과 동일하게 유입수의 농도가 극히 낮거나 설계치 보다 작을 때 Diffuser의 용존산소 효율이 양호하고 유기물의 산화가 대단히 빠른 경우 관찰된다.
⑥ Euplotes
충체는 편평한 원형 또는 타원형 전단부터 ⅓정도까지 3각형의 넓은 개구부가 있다. 몸의 앞과 후부에 다른 종류의 미생물보다 많은 각모가 있다. Euplotes의 출현환경은 Lecane과 같이 유입수의 농도가 낮은 경우와 유입수량이 설계치보다 적을 때 Diffuser의 산소용해율이 양호하고 유기물의 산화가 대단히 빠른 경우 관찰된다.
6) 산소부족일 때 나타나는 생물
산소가 부족되어 폭기조가 혐기성으로 되면 오니는 검어지고 H2S 냄새가 난다. 이것은 폭기조가 혐기성으로 진행되어 혐기성균인 유산염 환원세균이 증식해서 그 움직임에 의해 H2S가 생성하기 때문이다.
①Beggiatoa
Beggiatoa는 유황세균의 일종으로 유화수소를 산화해서 에너지를 얻는다. Beggiatoa는 크기 1.8 16 까지의 사상세균이며 일반적으로 분기한다. 세포내의 유황입자(검은색으로 모임)을 다량 함유할 때는 골주운동(滑走運動)을 하며 유황입자를 함유하지 않으면 정지상태로서 다른 사상세균과는 분기의 유무, 굵기, 세포선단 등으로 판별한다. 폭기조에 Beggiatoa가 다량출현하면 혐기성 상태로서 유화수소가 다량 생성하므로 동물성 편모충류의 수는 적게 된다. 한편 사상세균에 의한 팽화의 원인으로도 된다. 폭기조에서 DO 가 부족하여 Beggiatoa가 다량 관찰되면은 공기량을 증가한다. 이 경우 Beggiatoa는 거의 개체로 활동한다. 폭기조에서 용존산소가 충분함에도 증식하는 경우는 농축조와 침전지에서 그 분리액이 혐기성화하여 폭기조로 유입되는 경우이다. 이때는 반송율을 높히고 농축조의 체류시간을 단축하여 침전지와 농축조의 부패를 방지한 다. Beggiatoa는 폭기조 이외의 장소에서 증식하여도 폭기조로 일부 유입되면 폭기조에서 증식을 잘하므로 항상 다른 장소의 혐기성화를 조심한다. 폭기조에서 Beggiatoa가 심하게 발생할 경우 폭기조를 혐기성으로 하여 60 정도로 수온을 올려 1 2일 방치하여 Beggiatoa를 아주 없앨 수도 있다고 한다. 세포의 크기는 40 300 이며, 출현환경은 폭기조에서 유기물과 오니가 부패해서 유화수소가 발생할 때 많다. 폭기조에 서 용존산소가 충분하면서 Metopus가 관찰될 경우는 폭기조내부에 큰 사영역(死領域)이 존 재할 경우이며 이 경우 Beggiatoa까지는 관찰되지 않는다.
7) 과잉 폭기일 때 나타나는 생물
폭기가 과잉이면 floc은 가늘며 사방으로 흩어져 보인다. floc의 세분화는 생물적인 요인과 동시에 침전조의 물리적인 전단력에 의한 경우도 많다. 소형 Amoeba 이 경우 세포의 크기 50 이하의 것을 총칭한다.
① Amoeba radiosa
구형의 세포에 여러개의 돌기를 갖고 별모양을 갖는 것이 특징, 세포의 크기 14 30 이고 운동성은 둔하다. Amoeba radiosa의 출현경우는 비교적 넓어 과폭기 후 해체시와 오니가 불안정할 때 나타난다. Amoeba radiosa만으로 폭기상태를 판단하는 것는 위험하며 다른 생물종과 같이 판단한다.
② Vahlkamphia limicolu
세포의 크기는 25 35 이고 운동하는 방향의 앞부분은 투명하다. 출현환경은 과폭 후 압도적으로 나타난다.
③ Vahlkamphia limax
세포의 크기는 15 50 이고 소형의 비교적 확실한 Amoeba 세포의 몸은 보통폭 보다 길다. 운동은 Amoeba 중에서 빠른 편이며 파도와 같이 이동한다. Valhkamphia limax의 출현환경은 과폭기 후와 해체시이다.
8) 슬러지가 팽화할 때 나타나는 생물
a. 사상균에 의한 팽화
① Sphaerotilus
Sphaerotilus는 일종의 담을 갖는 세균으로서 그 담안에는 다수의 간균이 있다. 이 간균은 염색하지 않고 관찰할 수 있다. Sphaerotilus는 분기하기 때문에 분기점으로 판단하며 Beggiotoa와 같이 운동은 하지 않는다. Sphaerotilus의 발생원인은 다종다양하며 그 대책도 곤란하다.
b. 진균에 의한 팽화
① Zoophagus
이것은 윤충을 포식하는 진균이다. Zoophagus는 옆으로 짧은 줄기와 같은 균사를 갖고 그 부분에 윤충이 부착을 하면 운동을 한다. 윤충이 죽으면 균사를 윤충의 체내에 넣어 내용물을 분해해서 균사 내로 섭취한다. Zoophagus의 출현환경은 오니가 해체할 때와 다량의 충류가 나타날 때이다.
② Fusarium
이 종류는 윤충을 포식하는 것과 또 하나 부식영양형(腐蝕營養型)이 있다. 특징은 균사에 융벽을 갖고 풀이나 초승달과 같은 모양의 포자를 만든다. 사진은 부식영향형의 Fusarium이고 팽화상태 중인 폭기조에서 관찰된다. 이 경우는 양호한 종오니(種汚泥)를 대량 첨가해서 Fusarium에 영양원이 가지 않도록 F/M비를 조절해서 해결한다.
③ Arthrobotorys
이것은 선충포식(線筮捕食) 진균류 특징은 균사의 일부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균사바퀴를 형성해서 선충류가 이 바퀴의 가운데서 머리를 들어밀면 순간적으로 바퀴를 조여서 선충을 죽이고 체내에 균사를 흡수해서 체 표( 表)를 제거 흡입한다
추천자료
활성슬러지 공정
활성슬러지와 미생물
새집 증후군(sick house syndrome)과 VDT 증후군
우리나라 수질오염원 배출실태와 처리능력 및 수질환경기준의 적정성 검토
배지만들기
미세조류배양
★편입,정시,수시면접자료-생명과학,생명공학,자연과학대학,이공대학★
[토양][토양의 형성작용][토양의 PH][토양의 생물][토양의 기능][인간활동이 토양에 미치는 ...
미생물 배양 및 배지의 종류
소독부산물(트리할로메탄)
생명과학의 이해(국민대)레포트
표준활성슬러지법의 개요 및 하수도 고도처리[상하수도공학]
생물학적 처리공정별 정리 및 폐슬러지 처리방법
2018년 1학기 지적재산권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생명공학 발명 대표적인 3가지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