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2.본론
3.결론
본문내용
알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처럼 이 책에서 교양인으로 앞에서 말했던 바처럼 금기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 조언해주고 있다. 또한 작자는 교양을 인간의 상호 이해를 즐겁게 해주는 의사 소통의 한 양식이라면 다른 사람들의 거울 속에 자기를 비추어 보는 형식이라고 결론을 지으면서 마쳤다.
마지막에 저자에겐 또 사람이 알아서는 안되는 무엇인지 아는 것도 교양이라며 유럽의 황실가의 사생활이나 텔레비전도 이 범주에 들어가는데 작자는 그런 지식을 수용하는 교양인의 자세를 문제를 삼았다. 간혹 대중문화를 무시하며서 유럽 중심적인 문화를 찬양하는 것 같아서 조금 기분이 안 좋았지만 비좁은 영역의 소지식들이 난무하고 교양이 부족한 오늘날 사회에서는 이 책이 얼마나 많은 교훈을 줄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결론)
이상으로 이 책에 대해 간략하게나 정리해보면서 우리가 무엇인가를 해야 할 것인지를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던 책이었다. 내가 아쉬었던 부분은 유럽인들의 교양에 대해 다루는 것 같아서 좀 아쉽게 생각하였지만, 우리나라에 현실에 맞는 한국 역사나 문화를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면 좋았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의 전통에서도 일반 교양을 쌓을 수 있는 수많은 책과 문헌, 인명과 고사 성어들이 오늘날에 우리에게 낯설지 않게 누군가가 우리나라에서도 나와서 이러한 교양 같은 책을 저술했으면 좋을 것 같다. 또한 한편으로 교양은 지식과는 달라 무작정으로 많은 책을 읽는다고 해서 얻어 지는게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단지 책에서만 쓰여져 있는 내용만 읽고 암기하지 말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에 저자에겐 또 사람이 알아서는 안되는 무엇인지 아는 것도 교양이라며 유럽의 황실가의 사생활이나 텔레비전도 이 범주에 들어가는데 작자는 그런 지식을 수용하는 교양인의 자세를 문제를 삼았다. 간혹 대중문화를 무시하며서 유럽 중심적인 문화를 찬양하는 것 같아서 조금 기분이 안 좋았지만 비좁은 영역의 소지식들이 난무하고 교양이 부족한 오늘날 사회에서는 이 책이 얼마나 많은 교훈을 줄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결론)
이상으로 이 책에 대해 간략하게나 정리해보면서 우리가 무엇인가를 해야 할 것인지를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던 책이었다. 내가 아쉬었던 부분은 유럽인들의 교양에 대해 다루는 것 같아서 좀 아쉽게 생각하였지만, 우리나라에 현실에 맞는 한국 역사나 문화를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면 좋았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의 전통에서도 일반 교양을 쌓을 수 있는 수많은 책과 문헌, 인명과 고사 성어들이 오늘날에 우리에게 낯설지 않게 누군가가 우리나라에서도 나와서 이러한 교양 같은 책을 저술했으면 좋을 것 같다. 또한 한편으로 교양은 지식과는 달라 무작정으로 많은 책을 읽는다고 해서 얻어 지는게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단지 책에서만 쓰여져 있는 내용만 읽고 암기하지 말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