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아시아 기업과 유교 자본주의
2. 동아시아 3국의 가족제도 비교
3. 한국기업에서의 가족주의 표출 (소유경영층의 태도)
4. 한국기업에서의 가족주의 표출 (상호작용 측면)
5. 결론을 대신하여
2. 동아시아 3국의 가족제도 비교
3. 한국기업에서의 가족주의 표출 (소유경영층의 태도)
4. 한국기업에서의 가족주의 표출 (상호작용 측면)
5. 결론을 대신하여
본문내용
기대치가 균형을 이룰 때만이 가족주의는 한국 기업에서 유효한 메타포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 경제발전과 유교", 『한국사회학』31집 봄호, 29-59, 1997.
기업구조연구회(편), 『한국의 대기업 : 누가 소유하며 어떻게 지배되는가』,포스코 경영연구
소, 1995.
김명언, 박영석(편), 『한국 기업문화의 이해』, 오름시스템(주), 1997.
김혁래, "한국 가족자본주의와 기업조직", 『전통과 현대』97 겨울호, 56-73, 1997.
백승열, 『재벌그룹·재벌총수들』, 문원, 1995.
유석춘, "'유교 자본주의'의 가능성과 한계", 『전통과 현대』97 여름호, 74-93, 1997.
"동아시아 '유교 자본주의' 재해석 : 제도주의적 시각", 『전통과 현대』97 겨울호,
124-145, 1997.
이광규, 『한국가족의 구조분석』, 일지사, 1975.
『한국의 가족과 종족』, 민음사, 1990.
『한국가족의 사회인류학』, 집문당, 1998.
이숙종, "일본의 기업체제", 최상용외, 『일본·일본학 : 현대 일본연구의 쟁점과 과제』,
225-261, 1994.
이학종, 『한국기업의 문화적 특성과 새 기업문화 개발』, 박영사, 1997.
조동성, 『한국 재벌』, 매경, 1997.
철학연구회, 『아시아적 가치는 있는가?』(철학연구회 1998년 추계발표회 논문집), 1998.
최상용외, 『일본·일본학 : 현대 일본연구의 쟁점과 과제』, 오름, 1994.
한경구, 『공동체로서의 회사 : 일본기업의 인류학적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3.
홍대식, "한국 기업에서의 연고주의", 김명언, 박영석(편), 『한국 기업문화의 이해』,
218-277, 1997.
Brown, Keith, "The Concept of Dozoku Relationships in Japan", Ethnology Vol. 7,
113-138, 1968.
Dore, Ronald, British Factory-Japanese Factory: The Origins of National Diversity in
Industrial Rela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3.
Freedman, Maurice, Family and Kinship in Chinese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0.
Harrell, Stevan, Ploughshare Village: Culture and Context in Taiwa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82.
________Human Families, Westview Press, 1997.
Janelli, Roger L., Making Capitalism: The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on of a South
Korean Conglomerat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3.
Janelli, Roger L. and Dawnhee Yim Janelli, Ancestor Worship and Korean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2.
________"The Genealogy of 'Making Harmony' among Co-Workers of a South Korean
Conglomerate", Mutsuhiko Shima and Roger L Janelli (eds), The Anthropology
of Korea: East Asian Perspectives, 171-190, 1998.
Kim, Song-Chul, "Kinship in Contemporary Korea: Normative Model versus Practice"
Korea Journal Vol. 38 No. 3, 128-147, 1998.
Moon, Okpyo, "Is the ie Disappearing in Rural Japan?: The Impact of Tourism on a
Traditional Japanese Village", Joy Hendry (ed), Interpreting Japanese Society:
Anthropological Approaches, 117-130, 1986.
Murakami, Yasusuke, "Ie Society as a Pattern of Civilization", Journal of Japanese
Studies Vol. 10, 281-363, 1984.
Orru, Biggart, and Hamilton, "Organizational Isomorphism in East Asia: Broadening the
New Institutionalism", W. W. Powel and P. J. DiMaggio (eds), The New
Institutionalism in Organizational Analysis, 1991.
Powel, W. W. and P. J. DiMaggio (eds), The New Institutionalism in Organizational
Analys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Shima, Mutsuhiko and Roger L Janelli (eds), The Anthropology of Korea: East Asian
Perspectives (Senri Ethnological Studies No. 49), National Museum of
Ethnology, 1998.
Tai, Hung-chao et al, 『공자의 경제학 : 유교와 경제성장』, 구범모(역), 한세, 1994.
Takezawa, Shin-ichi and Arthur M. Whitehill, Work Ways, Japan and America, The
Japan Institute of Labor, 1981.
Wolf, Arthur(ed), Studies in Chinese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8.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 경제발전과 유교", 『한국사회학』31집 봄호, 29-59, 1997.
기업구조연구회(편), 『한국의 대기업 : 누가 소유하며 어떻게 지배되는가』,포스코 경영연구
소, 1995.
김명언, 박영석(편), 『한국 기업문화의 이해』, 오름시스템(주), 1997.
김혁래, "한국 가족자본주의와 기업조직", 『전통과 현대』97 겨울호, 56-73, 1997.
백승열, 『재벌그룹·재벌총수들』, 문원, 1995.
유석춘, "'유교 자본주의'의 가능성과 한계", 『전통과 현대』97 여름호, 74-93, 1997.
"동아시아 '유교 자본주의' 재해석 : 제도주의적 시각", 『전통과 현대』97 겨울호,
124-145, 1997.
이광규, 『한국가족의 구조분석』, 일지사, 1975.
『한국의 가족과 종족』, 민음사, 1990.
『한국가족의 사회인류학』, 집문당, 1998.
이숙종, "일본의 기업체제", 최상용외, 『일본·일본학 : 현대 일본연구의 쟁점과 과제』,
225-261, 1994.
이학종, 『한국기업의 문화적 특성과 새 기업문화 개발』, 박영사, 1997.
조동성, 『한국 재벌』, 매경, 1997.
철학연구회, 『아시아적 가치는 있는가?』(철학연구회 1998년 추계발표회 논문집), 1998.
최상용외, 『일본·일본학 : 현대 일본연구의 쟁점과 과제』, 오름, 1994.
한경구, 『공동체로서의 회사 : 일본기업의 인류학적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3.
홍대식, "한국 기업에서의 연고주의", 김명언, 박영석(편), 『한국 기업문화의 이해』,
218-277, 1997.
Brown, Keith, "The Concept of Dozoku Relationships in Japan", Ethnology Vol. 7,
113-138, 1968.
Dore, Ronald, British Factory-Japanese Factory: The Origins of National Diversity in
Industrial Rela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3.
Freedman, Maurice, Family and Kinship in Chinese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0.
Harrell, Stevan, Ploughshare Village: Culture and Context in Taiwa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82.
________Human Families, Westview Press, 1997.
Janelli, Roger L., Making Capitalism: The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on of a South
Korean Conglomerat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3.
Janelli, Roger L. and Dawnhee Yim Janelli, Ancestor Worship and Korean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2.
________"The Genealogy of 'Making Harmony' among Co-Workers of a South Korean
Conglomerate", Mutsuhiko Shima and Roger L Janelli (eds), The Anthropology
of Korea: East Asian Perspectives, 171-190, 1998.
Kim, Song-Chul, "Kinship in Contemporary Korea: Normative Model versus Practice"
Korea Journal Vol. 38 No. 3, 128-147, 1998.
Moon, Okpyo, "Is the ie Disappearing in Rural Japan?: The Impact of Tourism on a
Traditional Japanese Village", Joy Hendry (ed), Interpreting Japanese Society:
Anthropological Approaches, 117-130, 1986.
Murakami, Yasusuke, "Ie Society as a Pattern of Civilization", Journal of Japanese
Studies Vol. 10, 281-363, 1984.
Orru, Biggart, and Hamilton, "Organizational Isomorphism in East Asia: Broadening the
New Institutionalism", W. W. Powel and P. J. DiMaggio (eds), The New
Institutionalism in Organizational Analysis, 1991.
Powel, W. W. and P. J. DiMaggio (eds), The New Institutionalism in Organizational
Analys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Shima, Mutsuhiko and Roger L Janelli (eds), The Anthropology of Korea: East Asian
Perspectives (Senri Ethnological Studies No. 49), National Museum of
Ethnology, 1998.
Tai, Hung-chao et al, 『공자의 경제학 : 유교와 경제성장』, 구범모(역), 한세, 1994.
Takezawa, Shin-ichi and Arthur M. Whitehill, Work Ways, Japan and America, The
Japan Institute of Labor, 1981.
Wolf, Arthur(ed), Studies in Chinese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8.
추천자료
19세기 서구 근대 국제정치질서전파와 일본의 동아시아 질서 재편전략
한류를 통해서 본 동아시아의 문화교류
[노동시장]동아시아 작업장 생산체제 및 노동체체의 형성과 변동
[불교 전파][불교 미술]서역과 동아시아에 퍼진 불교, 티베트 불교 심층분석
[역사]고대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과정과 특징
[역사]고대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과정과 특징
[식민지, 식민지자본주의, 식민지민족주의]식민지와 식민지자본주의, 식민지와 식민지민족주...
[일본 정책][일본][대외정책]일본의 대외정책, 일본의 안보정책, 일본의 방위정책, 일본의 동...
[구조조정][구조조정과 자본합리화][구조조정과 자본감소][구조조정과 독점자본주의][구조조...
21세기 자본주의의모습 - 자본주의, 자본주의4.0, 복지자본주의
한국자본주의체제의 한계 (정신적 기반 취약한 한국자본주의, 정부 개입의 부작용)
[2014 생활속의경제A형] 자본주의와 시장에 관해 논하시오 -자본주의와 시장의 관계, 자본주...
[미국 자본주의][미국 자본주의 황금기][금융세계화][주식시장]미국 자본주의의 발전과정, 미...
화교 네트워크를 통한 동아시아 지역 경제의 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