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력계보정실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압력계보정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실험목적

2.관련이론

3.실험장치 및 방법

4.실험결과 및 검토

5.결론

6.참고문헌 및 목록

본문내용

-0.05
0.5
0.6
0.55
0.05
4.5
5.9
5.9
5.9
0.5
0.4
0.45
-0.05
5.0
6.3
6.4
6.35
0.4
0.5
0.45
0.05
5.5
6.8
6.8
6.8
0.5
0.4
0.45
-0.05
6.0
7.3
7.3
7.3
0.5
0.5
0.5
0
7.0
8.2
8.1
8.15
0.9
0.8
0.85
-0.05
8.0
9.2
9.1
9.15
1
1
1
0
9.0
1) P-W 선도
Fig 4.1 P-W pressure diagram of pressure gauge 1
Fig 4.2 P-W pressure diagram of pressure gauge 2
2) P-W 추세선
Fig 4.3 P-W tendency line of pressure gauge 1
Fig 4.4 P-W tendency line of pressure gauge 2
5. 결 론
1) 압력계보정
이 실험에서 두 개의 압력계를 사용하였다. 압력계1과 압력계2는 처음 압력계1은 처음 초기값이 0.4kgf/㎠이며 데이터 값이 상승 0.45kgf/㎠로 시작되어 weight 2kgf/㎠까지는 평균 0.5kgf/㎠씩 증가 시켰다. 그리고 결과 그래프에서 weight 2∼3kgf/㎠에서는 데이터 값이 많이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처음엔 weight가 0.5간격을 두고 측정을 하다가 weight 2∼3kgf/㎠에서는 간격이 1kgf/㎠이서 데이터 값이 많이 상승하는 것처럼 볼 수 있다. 이것도 weight 2.5.kgf/㎠을 측정한다면 그래프 곡선은 위로 올라가지 않고 완만하게 될 것이다.. Fig 4. 3 에서 보면 평균적으로 상승한다는 걸 볼 수 있다. 하강에서도 데이터 값이 평균적으로 비슷하였다. 그 다음 압력계2도 처음부터 압력계가 0을 지시하지 않고, 1.6kgf/㎠을 지시하였다. 압력계2의 데이터 값을 보면 여기서도 weight 2kgf/㎠까지 평균 0.5kgf/㎠상승하다가 weight 2∼3kgf/㎠에서 중간에 weight 2.5kgf/㎠값이 없기 때문에 갑자기 상승한 것으로 보였으나 평균적으로 일정하였다. 그러다가 무게 weight 7kgf/㎠부분부터는 데이터 값이 평균적으로 1kgf/㎠씩 증가 시켰다. 이럴 경우 결국 압력계가 이상없이 보정이 필요없는 이상적인 상태라면 P의 평균적인 값은 0.5kgf/㎠이 되어야한다. 하지만 결과는 그러하지 못하였다.
결국 이 실험은 압력계가 오차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압력계 1은 오차평균이 거의 0이고 압력계 2의 오차평균은 -0.003846kgf/㎠이다. 따라서 보정을 하려면 압력계2의 바늘을 1.6-0.003846=1.596154로 내린다. 하지만 압력계는 우리가 눈으로 읽으므로 -0.003846kgf/㎠라는 수치는 거의 오차가 없을 정도로 미세한 것을 의미한다.
2) P - W 선도
이 실험에서의 P-W선도는 본 실험에서 두 개의 압력계의 평균값을 구하여 보기에 쉽게 알 수 있었다. 그렇다고 이 실험에서는 큰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그래프를 보면 평균치의 값을 더 쉽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그래프에 의해 우리가 알 수 있었던 것은 압력계의 오차에 대해 좀더 한눈에 알 수 있게 하는 역할이다.
3) 토의
개인적인 의견으로 보아 무게의 값 중에서 2.5kgf/㎠값을 넣었다면 데이터의 값이 일정한 그래프로 생성되었을 것과 사람이 실험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압력계의 눈금 수치를 보는 것과 Ram plate의 눈금의 읽는 것은 오차가 생길 수가 있다. 물론 유체에서 기포는 최대오차를 범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것 또한, 오차가 생길 수 있는 것이므로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는 이 실험을 통해 보정하는 법과 정확한 값을 나타내는지 알 수 있었다. 또 파스칼의 원리와 정수압의 원리를 좀 더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실험 기자재는 분동이라는 것도 알았다. 분동이 정확하지 못하다면 이 실험은 우리에게 정확한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없었을 것이다.
6. 참고문헌 및 부록
Yusangsin. Baesincheo. Seosangho., 2000,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 Fifthth edition, Scitech, pp.76~92.
Yusangsin. Baesincheo. Seosangho., 1994,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 Fourth edition, Hee joong dang, pp.72~85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11.18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3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