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장치
2. 실험방법
3. 실험결과
4. 조별고찰
5. 개별고찰
2. 실험방법
3. 실험결과
4. 조별고찰
5. 개별고찰
본문내용
이 0이 아닌 것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 실험의 값이 연속적으로 높게 나온 이유를 실험의 보정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실제 최초의 브르동압력계의 영점은 제대로 잡혀있지 않았다. 초기 값에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험이 진행될수록 연속적인 값으로 빗겨난 것이다.
5.개별고찰
-유체파트의 첫 실험이었는데 실험결과만으로 보면 무척 성공적인 것처럼 보인다. 성공적인 것 이상으로 꼭 실험을 시행하지 않고 짐작으로 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분명 우리는 모든 실험을 행했다. 뒷 조에게 미안할 정도로 시간이 소비가 되기도 했다. 그렇지만 이런 결과가 좋은 것은 아니다. 분명 수업 시간 때 이론을 듣기론 분명 오차가 생기기 마련이라고 하셨다. 개인오차인 측정오차나 기기오차인 히스테리시스차가 생겨야 되는데, 감압시에도 증압시와 같은 일정한 비례그래프를 형성하고 있다. 아무래도 측정오차는 실험시의 온도나 수평상태들이 실험 중에도 계속 유지가 되었던 것 같다.뿐만 아니라 눈금을 읽을 때 거의 같은 자세로 측정하였기에 측정오차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기기오차인 히스테리시스 차는 수업 때 듣기론 매우 작은 수치라고 하셨다. 그래서 미세한 차이라서 눈금을 읽을 때 영향을 끼치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고찰을 쓰면서 생각이 났는데 개인오차가 있었던 것 같다. 우 린 증압시와 감압시에 측정할 때 우리도 모르게 추의 압력이 5씩 오를 때 부르돈 게이지 압력이 5씩 오르는 것을 보고 심리적으로 게이지를 그렇게 읽으려 했던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심리적인 것을 배제하고 미세하게 읽었더라면 결과가 약간의 차이를 보였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다음부터는 실험이 진행됨에 따라 나오는 실험값들이 어떻게 변하는 지 얼추 확인만 해야 할 것 같다. 정확한 계산과 정확한 변화를 알고 있다면 정확한 다음 값을 예상하기 때문에 심리적인 것이 작용할 수가 있다. 그러기 때문에 얼추 확인만 해서 정도를 벗어나지만 않으면 그대로 실험값들은 측정해야겠다. 마지막으로 이번 수업 때나 보고서를 쓸 때 여러 오차의 종류가 언급되었는데 교재나 여러 참고서적, 인터넷을 통해 알아봐야겠다. 그리고 유체역학 시간에 피에조미터, 경사마노미터,U자관 마노미터 등 여러 가지 압력 측정 장치를 보고 압력 계산을 많이 해왔었는데 이렇게 집적 압력장치중 하나인 정하중 압력계로 몸소 압력을 측정해보니 무척 새롭고 알차며 즐거운 시간이 되었다.
⇒ 실험의 값이 연속적으로 높게 나온 이유를 실험의 보정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실제 최초의 브르동압력계의 영점은 제대로 잡혀있지 않았다. 초기 값에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험이 진행될수록 연속적인 값으로 빗겨난 것이다.
5.개별고찰
-유체파트의 첫 실험이었는데 실험결과만으로 보면 무척 성공적인 것처럼 보인다. 성공적인 것 이상으로 꼭 실험을 시행하지 않고 짐작으로 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분명 우리는 모든 실험을 행했다. 뒷 조에게 미안할 정도로 시간이 소비가 되기도 했다. 그렇지만 이런 결과가 좋은 것은 아니다. 분명 수업 시간 때 이론을 듣기론 분명 오차가 생기기 마련이라고 하셨다. 개인오차인 측정오차나 기기오차인 히스테리시스차가 생겨야 되는데, 감압시에도 증압시와 같은 일정한 비례그래프를 형성하고 있다. 아무래도 측정오차는 실험시의 온도나 수평상태들이 실험 중에도 계속 유지가 되었던 것 같다.뿐만 아니라 눈금을 읽을 때 거의 같은 자세로 측정하였기에 측정오차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기기오차인 히스테리시스 차는 수업 때 듣기론 매우 작은 수치라고 하셨다. 그래서 미세한 차이라서 눈금을 읽을 때 영향을 끼치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고찰을 쓰면서 생각이 났는데 개인오차가 있었던 것 같다. 우 린 증압시와 감압시에 측정할 때 우리도 모르게 추의 압력이 5씩 오를 때 부르돈 게이지 압력이 5씩 오르는 것을 보고 심리적으로 게이지를 그렇게 읽으려 했던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심리적인 것을 배제하고 미세하게 읽었더라면 결과가 약간의 차이를 보였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다음부터는 실험이 진행됨에 따라 나오는 실험값들이 어떻게 변하는 지 얼추 확인만 해야 할 것 같다. 정확한 계산과 정확한 변화를 알고 있다면 정확한 다음 값을 예상하기 때문에 심리적인 것이 작용할 수가 있다. 그러기 때문에 얼추 확인만 해서 정도를 벗어나지만 않으면 그대로 실험값들은 측정해야겠다. 마지막으로 이번 수업 때나 보고서를 쓸 때 여러 오차의 종류가 언급되었는데 교재나 여러 참고서적, 인터넷을 통해 알아봐야겠다. 그리고 유체역학 시간에 피에조미터, 경사마노미터,U자관 마노미터 등 여러 가지 압력 측정 장치를 보고 압력 계산을 많이 해왔었는데 이렇게 집적 압력장치중 하나인 정하중 압력계로 몸소 압력을 측정해보니 무척 새롭고 알차며 즐거운 시간이 되었다.
추천자료
일반물리실험 / 전자측정연습 (결과레포트)
관의 공명과 음속 측정 - 결과 레포트
[화학공업실험] 접촉각 측정 실험 결과보고서
2장 길이와 곡률반경 측정(결과)
전위차계를 이용한 기전력 측정 - 결과값
순수 액체의 증기압 측정(예비+결과)
[물리레포트]물체의 밀도측정(결과레포트)
[기초회로실험]저항의측정(결과)
식수의 경도 측정 - 결과
[일반물리실험] (결과) 2.구심력측정
7. 고체의 비열 측정 (결과)
8. 관의 공명과 음속측정 (결과)
화학chemistry 엔탈피 결과 레포트-엔탈피 측정(Measurement of Enthalpy)
1.에탄올 밀도 측정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