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 실험결과
6. 결과 분석
7. 토의 및 건의사항
6. 결과 분석
7. 토의 및 건의사항
본문내용
래프를 보면서 파형이 최대가 되는 점을 찾아야 하는데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극대가 되는 점에서 피스톤이 약간만 빗나가게 더 빠지면 다시 피스톤을 넣어가며 그 점을 찾는 것이 쉽지 않았다. 또한 생각보다 지나친 소음으로 인해 침착하게 실험을 진행하기도 힘들었다.
*실험기구를 다루는 데 있어서 미숙했다.
여러 선이 뒤엉켜 있는 상황에서 실험기구를 다루는 것이 여간 힘든 것이 아니었다.
처음에 리드 선들을 서로 바꾸어 꽂는 등 실험 기구를 다루는 데 실수가 많았다. 실험이 늦어짐에 따라 마음도 급했고, 따라서 공명이 일어나는 정확한 지점을 알아내는 것도 어려운 일이었다.
*핀 마이크를 정확하게 수평으로 움직이는 데 무리가 있다.
아무리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막대가 꼿꼿하다고 해도 그것을 정확히 똑바로 집어넣는 데에는 무리가 따랐다. 또한 막대 끝이 손에서 멀어질수록 막대 자체의 무게와 마이크의 무게에(아마 막대 자체의 무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막대가 휘어지면서 수평으로 움직이지 못했다.
8. 참고 문헌
일반 물리학(giancoli);
알기 쉬운 물리학 강의(Paul Gittewitt); 청범 출판사
두산 세계 대백과 Encyber
*실험기구를 다루는 데 있어서 미숙했다.
여러 선이 뒤엉켜 있는 상황에서 실험기구를 다루는 것이 여간 힘든 것이 아니었다.
처음에 리드 선들을 서로 바꾸어 꽂는 등 실험 기구를 다루는 데 실수가 많았다. 실험이 늦어짐에 따라 마음도 급했고, 따라서 공명이 일어나는 정확한 지점을 알아내는 것도 어려운 일이었다.
*핀 마이크를 정확하게 수평으로 움직이는 데 무리가 있다.
아무리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막대가 꼿꼿하다고 해도 그것을 정확히 똑바로 집어넣는 데에는 무리가 따랐다. 또한 막대 끝이 손에서 멀어질수록 막대 자체의 무게와 마이크의 무게에(아마 막대 자체의 무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막대가 휘어지면서 수평으로 움직이지 못했다.
8. 참고 문헌
일반 물리학(giancoli);
알기 쉬운 물리학 강의(Paul Gittewitt); 청범 출판사
두산 세계 대백과 Encybe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