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3. 실험 이론
4. 실험 방법
5. 실험기구 및 시약
6. 실험 시 주의사항
7. 실험 Data
8. 결과 도출
9. 고찰
2. 실험 원리
3. 실험 이론
4. 실험 방법
5. 실험기구 및 시약
6. 실험 시 주의사항
7. 실험 Data
8. 결과 도출
9. 고찰
본문내용
녹여 100㎖로 전량한다.
(2) 전경도 측정 실험
검수(실험실 수돗물) 채취량 : 50㎖
M/100 EDTA(factor=1.012) 표준액 적정량 : 3.8㎖
(3) 칼슘경도 측정 실험
검수(실험실 수돗물) 채취량 : 50㎖
M/100 EDTA(factor=1.012) 표준액 적정량 : 3㎖
8. 결과 도출
(1) 검수(실험실 수돗물)의 전경도
실험이 늦어져 급한 마음에
사진을 찍지 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적정 전 - 적색 적정 후 - 청색
H=전경도(mg CaCO3/L) (ppm)
b= 적정에 소모된 EDTA 표준액(㎖) : 3.8㎖
f= EDTA 표준액의 농도계수(factor) : 1.012
V= 시료(㎖) : 50㎖
1= EDTA 표준액 1㎖의 탄산칼슘 상당량(mg)
∴
(2) 검수(실험실 수돗물)의 칼슘경도
적정 전 - 자색 적정 후 - 청색
HCa= 칼슘경도(㎎ CaCO3/ℓ)
a= 적정에 소요된 EDTA표준액(㎖) : 3㎖
f= EDTA표준액의 농도계수(factor) : 1.012
V= 시료(㎖) : 50㎖
1= EDTA표준액 1㎖의 탄산칼슘 상당량(㎎)
∴
(3) 검수(실험실 수돗물)의 마그네슘경도
마그네슘 경도 = 전 경도 - 칼슘 경도 = 76.912 - 60.72 = 16.192 ppm
9. 고찰
이번 식수의 경도 측정 실험은 우리가 마시는 물의 경도가 음용수의 기준에 적합한지 알아보는 실험이다.
처음엔 세미나 준비를 하며 공부한 이론으로 실험에 자신이 있었지만 경도를 측정하는 원리만 알고 그 측정에서 제일 중요한 시약을 만드는 방법을 간과하여 시약을 제조하는 것에 대해서만 실험 시간의 반 이상을 소비 할 정도로 애를 먹었다. 또한 염화암모늄-암모니아 완충용액을 만들기 위해 암모니아수를 취급할 때 자극적인 냄새 때문에 애를 먹었다,
이번 실험으로 측정된 실험실의 수돗물 전경도는 76.912ppm 이었다. 우리나라의 수질 기준인 300ppm보다 작은 값이 측정되었기 때문에 적어도 경도만 보았을 때 화학실험실의 수돗물은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하지만 실제 실험실 수돗물의 경도를 알 수가 없어서 우리 조가 실험한 결과 값의 오차를 알 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오차가 있을 것 이라고 가정하고 그 원인을 써보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약을 제조할 때 저울에 바람막이 없어서 시료의 정확한 질량을 잴 수 없었다. 그리고 부피플라스크를 이용하여 부피를 쟀지만 사람의 눈으로 보고 정량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부피를 재지 못하였을 것이다. 또한 적정을 하는 방법에 있어 색깔이 변화하는 시점을 보고 그 시점까지 넣은 시약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었는데 색깔 변화가 너무 흐릿해서 시약을 조금씩 더 넣게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식수의 경도를 측정하는 이번 실험은 실생활에서 우리가 마시는 물의 경도를 측정하는 실험이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꼭 필요한 실험이라고 생각되어 더욱 흥미를 가지고 실험을 할 수 있었다.
10. 참고문헌
화공기초실험교재 (p.68~72, 실험 11. 식수의 경도측정) - 단국대학교출판부
(2) 전경도 측정 실험
검수(실험실 수돗물) 채취량 : 50㎖
M/100 EDTA(factor=1.012) 표준액 적정량 : 3.8㎖
(3) 칼슘경도 측정 실험
검수(실험실 수돗물) 채취량 : 50㎖
M/100 EDTA(factor=1.012) 표준액 적정량 : 3㎖
8. 결과 도출
(1) 검수(실험실 수돗물)의 전경도
실험이 늦어져 급한 마음에
사진을 찍지 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적정 전 - 적색 적정 후 - 청색
H=전경도(mg CaCO3/L) (ppm)
b= 적정에 소모된 EDTA 표준액(㎖) : 3.8㎖
f= EDTA 표준액의 농도계수(factor) : 1.012
V= 시료(㎖) : 50㎖
1= EDTA 표준액 1㎖의 탄산칼슘 상당량(mg)
∴
(2) 검수(실험실 수돗물)의 칼슘경도
적정 전 - 자색 적정 후 - 청색
HCa= 칼슘경도(㎎ CaCO3/ℓ)
a= 적정에 소요된 EDTA표준액(㎖) : 3㎖
f= EDTA표준액의 농도계수(factor) : 1.012
V= 시료(㎖) : 50㎖
1= EDTA표준액 1㎖의 탄산칼슘 상당량(㎎)
∴
(3) 검수(실험실 수돗물)의 마그네슘경도
마그네슘 경도 = 전 경도 - 칼슘 경도 = 76.912 - 60.72 = 16.192 ppm
9. 고찰
이번 식수의 경도 측정 실험은 우리가 마시는 물의 경도가 음용수의 기준에 적합한지 알아보는 실험이다.
처음엔 세미나 준비를 하며 공부한 이론으로 실험에 자신이 있었지만 경도를 측정하는 원리만 알고 그 측정에서 제일 중요한 시약을 만드는 방법을 간과하여 시약을 제조하는 것에 대해서만 실험 시간의 반 이상을 소비 할 정도로 애를 먹었다. 또한 염화암모늄-암모니아 완충용액을 만들기 위해 암모니아수를 취급할 때 자극적인 냄새 때문에 애를 먹었다,
이번 실험으로 측정된 실험실의 수돗물 전경도는 76.912ppm 이었다. 우리나라의 수질 기준인 300ppm보다 작은 값이 측정되었기 때문에 적어도 경도만 보았을 때 화학실험실의 수돗물은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하지만 실제 실험실 수돗물의 경도를 알 수가 없어서 우리 조가 실험한 결과 값의 오차를 알 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오차가 있을 것 이라고 가정하고 그 원인을 써보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약을 제조할 때 저울에 바람막이 없어서 시료의 정확한 질량을 잴 수 없었다. 그리고 부피플라스크를 이용하여 부피를 쟀지만 사람의 눈으로 보고 정량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부피를 재지 못하였을 것이다. 또한 적정을 하는 방법에 있어 색깔이 변화하는 시점을 보고 그 시점까지 넣은 시약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었는데 색깔 변화가 너무 흐릿해서 시약을 조금씩 더 넣게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식수의 경도를 측정하는 이번 실험은 실생활에서 우리가 마시는 물의 경도를 측정하는 실험이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꼭 필요한 실험이라고 생각되어 더욱 흥미를 가지고 실험을 할 수 있었다.
10. 참고문헌
화공기초실험교재 (p.68~72, 실험 11. 식수의 경도측정) - 단국대학교출판부
추천자료
디지털 혁명과 문화
유공관을 활용한 빗물이용시설 설치사례
첨단 플랜트 - 가스 플랜트, 해수담수화 플랜트, 친환경 복합 플랜트 - 국내외 현황 및 파급효과
해수의 담수화법
4대강 정비 사업에 대한 정리
빈곤의 종말을 읽고
법정 전염병
법정 전염병[1]
과학기술정책과 시민참여의 현황과 필요성 및 절충방안[A+ 추천 레포트★★★★★]
음용수중의 염소 이온
법정 전염병에 대한 연구
[건강상식][건강][상식][효소][빛][다이어트][금연][치아미백][암][당뇨병]건강상식과 효소, ...
[국제 시민단체 분석] [NGO] NGO단체인 [would vision] 업무, 특징, 연혁, 발표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