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및 원리
1) 실험 이론
2) 실험 원리
3. 실험 방법
4. 실험 시 주의사항
5. 실험 Data
6. 결과 도출
7. 고찰
2. 실험 이론 및 원리
1) 실험 이론
2) 실험 원리
3. 실험 방법
4. 실험 시 주의사항
5. 실험 Data
6. 결과 도출
7. 고찰
본문내용
.0141N)
검수량 : 100mL
따라서 수돗물에 녹아있는 염화이온의 양은 다음과 같다.
7. 고찰
이번 실험은 음용수중의 염소 이온량을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사용한 검수는 더 쉽게 구할 수 있는 실험실의 수돗물이었다. 또한 증류수를 사용하여 대조실험을 했다. 그 이유는 용액 적정 시 색깔이 적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보고 측정하였는데 그 색깔이 어느 정도까지 진해져야 한다는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조실험으로 염소이온이 들어있지 않은 증류수에 똑같이 적정을 하여 검수를 측정할 때와 색깔이 같아질 때까지 넣은 질산은의 양을 구한 다음, 그것을 빼주어서 수돗물에 들어있는 염소이온과 반응한 질산은의 순수한 양을 계산했다. 하지만 수돗물에서는 흰색의 염화은 염이 침전되어 용액이 뿌옇게 된 반면 증류수는 투명했기 때문에 두 가지 검수의 색깔을 맞춘다는 것이 힘들었다. 게다가 눈짐작으로 맞춘 것이라서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힘들었다.
총 3 번씩 실험을 하며 수돗물에 쓰인 염화은 적정량 평균은 3.233mL이고, 증류수 적정량 평균은 0.683mL로 수돗물에 들어있는 염소이온을 적정하기 위해 쓴 순수 염화은의 양이 2.605mL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를 통해 수돗물에는 13.021mg/L의 염소이온이 들어있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 값은 음용수의 기준치인 150mg/L 보다 훨씬 적은 양이므로 염소이온의 양만 본다면 수돗물도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실험 결과 값이 정확하지는 않더라도 음용수의 기준치인 150mg/L를 넘을 정도로 오차가 크지는 않을 것이다.
검수량 : 100mL
따라서 수돗물에 녹아있는 염화이온의 양은 다음과 같다.
7. 고찰
이번 실험은 음용수중의 염소 이온량을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사용한 검수는 더 쉽게 구할 수 있는 실험실의 수돗물이었다. 또한 증류수를 사용하여 대조실험을 했다. 그 이유는 용액 적정 시 색깔이 적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보고 측정하였는데 그 색깔이 어느 정도까지 진해져야 한다는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조실험으로 염소이온이 들어있지 않은 증류수에 똑같이 적정을 하여 검수를 측정할 때와 색깔이 같아질 때까지 넣은 질산은의 양을 구한 다음, 그것을 빼주어서 수돗물에 들어있는 염소이온과 반응한 질산은의 순수한 양을 계산했다. 하지만 수돗물에서는 흰색의 염화은 염이 침전되어 용액이 뿌옇게 된 반면 증류수는 투명했기 때문에 두 가지 검수의 색깔을 맞춘다는 것이 힘들었다. 게다가 눈짐작으로 맞춘 것이라서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힘들었다.
총 3 번씩 실험을 하며 수돗물에 쓰인 염화은 적정량 평균은 3.233mL이고, 증류수 적정량 평균은 0.683mL로 수돗물에 들어있는 염소이온을 적정하기 위해 쓴 순수 염화은의 양이 2.605mL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를 통해 수돗물에는 13.021mg/L의 염소이온이 들어있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 값은 음용수의 기준치인 150mg/L 보다 훨씬 적은 양이므로 염소이온의 양만 본다면 수돗물도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실험 결과 값이 정확하지는 않더라도 음용수의 기준치인 150mg/L를 넘을 정도로 오차가 크지는 않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