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내 출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두개내 출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경막상 출혈

2. 경막하 출혈

3. 지주막하 출혈

4. 뇌내 출혈

5. 뇌동맥류
1)정의, 빈도
2) 증상
3) 진단
4) 치료 및 간호
(1) 내과적
(2) 외과적
5) 합병증

6. 두개내압 모니터

7. 경막하/지주막하 장치

8. 뇌실내 장치

9. 섬유성변환기 장치

본문내용

우 측뇌실의 전두각에 삽입
radiopaque catheter에 stylet을 정착시켜 burr hole을 통해 뇌실로 삽입
특 성: 뇌실의 압력을 직접 측정하기 때문에 두 개내 압력이나 뇌탄성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뇌척수액의 수집 및 배액이 가능
뇌실내 약물이나 진단적 시약의 투여가 가능함
삽입하기 가장 어려움. 특히 뇌실이 전위되어 잇거나 허탈된 경우에는 더욱 어렵다
합병증: 뇌감염의 위험이 가장 높다
뇌손상(뇌출혈, 도관 주위의 뇌부종)의 위험
과도한 뇌척수액 제거시 뇌실의 허탈가능성
삽입부위로 뇌척수액의 누출위험
뇌실을 적절히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 뇌실로 공기유입의 위험
조직, 혈액, 뼈로 인해 기구가 막혀 부정확한 결과를 낳을 수 있음
섬유성 변환기 장치(Fiberoptic tranceducertipped deviser-tripped device)
위 치: 뇌실내, 지주막하강, 경막외, 직접 실질 부위 측정에 사용할 수 있음
(센서는 도관 끝의 압력 민감성 격막(pressure-sensitive diaphragm)으로부터 반사된 빛의 양 에 따라 변함)
특 성: 덜 인공적, 분명하고 정확한 두 개내압의 곡선을 그림
뇌실질 조직에 까지 장착시킬수 있음
변환기 조정이 필요없음
정확한 뇌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배액을 억제할 수 있도록 잠금 장치(stop-coke)를 설치함
합병증: 삽입 후 눈금을 재조정 할 수 없음
압력이동이 발생될 수 있음
쉽게 깨지거나 전위될 수 있음-약한 유리 섬유로 만들어지기 때문
삽입부위로 뇌척수액의 유출이 가능
실질 조직과 뇌실압 사이의 관계에 대해 아직 밝혀진바 없음
  • 가격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1.18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