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인의 종류와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견인의 종류

2. 견인장치를 한 환자간호

3. 견인장치 제거 후의 간호

본문내용

tic hypotension)의 증상을 관찰한다. 환자에게 처음엔 사지가 약하고 불안정함을 설명하고, 허용한도 내에서 체중부하를 가하고 활동하도록 격려한다.
☆견인의 적용☆ : 피부와 골격
◇ 피부견인
1. 테잎이나 스폰지 형태의 고무 혹은 특수기구를 피부에 부착하여 가벼운 힘을 가해준다.
2. 가해진 힘은 근골격계 구조로 전달
3. 근육 경련과 통증조절의 일시적 방법
4. 고관절골절과 대퇴골간 골절의 수술전처치로 사용
◇ 골격견인
1. 무균적 상태에서의 철사나 핀을 사용하는 견인
2. 대퇴골, 상완골, 비골, 경추골절시 흔히 사용
1) 신진대사 항진상태, 발한작용에 의한 수분 손실과 관련된 영양부족
2) 갑상선 염증과 관련된 통증
3) 혈청 칼슘농도의 상승과 관련된 체액 결핍
4) 저칼슘혈증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5) 염분정체로 인한 체액과다
☆견인 장치시에 특히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부위☆
:상지에 있어서는 주골, 뼈 돌출부, 주관절의 연골조직, 팔목의 뼈 돌출부, 손목의 손바닥 쪽이다. 하지에 있어서는 비골, 경골의 비골 신경 부위, 슬부 후면부의 Hamstring 건, 발 목의 뼈 돌출부, 뒤굼치 발진등의 연조직, 대전자 등이며 체부에 있어서는 돌출부, 견갑 골부 , 장골능, 천골등이다.
주관절이나 손목, 무릎 , 발꿈치등에 압박을 적게 하려면 padding을 잘하거나 넓은 홑이 불로 감싸주어야 하며 발목을 상승 시키고, 발뒤꿈치를 언제나 침요에 닿지 않도록 한다. 압박으로 인한 욕창 예방이 가장 중요함을 인식하여야 하며 환자는 반드시 앙와위로 눕 히고 손상 부위의 위치에 불필요한 긴장이 가지 않도록 체위의 상태를 적절히 유지한다. 어떠한 형태든지 견인 장치간에 마찰이 있으면 견인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추의 당김이 방 해를 받는다 . 그러므로 발판이나 견인줄 연결 장치는 침대가에 놓이지 않도록 하고 추가 땅에 닿지 않도록 하며 모든 매듭을 도르레에 직접 묶지 않도록 한다.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신재신外 1989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下) 현문사 전시자외4명 1998
참고사이트 : http://www.reportworld.co.kr/board/college/view_college.php?board_code=Y29sbGVnZV9rYW5obw==&idx=NDc2&page=1&mode=search&s_item=title&s_input=견인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1.18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3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