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계 이병도와 두계사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두계 이병도와 두계사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두계의 한국사 입문

Ⅲ.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수회’활동

Ⅳ.두계와 진단학회

Ⅴ.해방 후 두계의 활동

Ⅵ.맺음말

본문내용

장관을 이병도가 맡게 되었다. 이 과도정부는 사태수습을 위해서 5대 정책을 발표하는데 그 중에 특이한 것은 '한일관계의 정상화, 일본인 기자의 입국허용' 등을 주요내용으로 내세웠다는 점이다. 실제 정책을 실행하지는 못했으나 한일관계의 정상화를 들고 나온 과도정부는 그들의 인맥이 친일 세력에 뿌리를 둔 내각이라는 의문을 낳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과도정부는 신구파간의 대립으로 인해 4개월로 단명하였고, 그에 따라 이병도의 정계 진출도 4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으로 막을 내렸다.
또한 1960년도에 들어서면서 그는 학술원 회장을 비롯하여 각종 대학의 명예교수를 지내기도 하였다. 한국사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그는 충무무공훈장, 서울시문화상, 문화훈장대한민국장, 학술원상, 국민훈장무궁화장, 인촌문화상, 5·16민족상 등을 수여받는 등 화려한 경력을 자랑하는 학계의 대부로 자리를 굳혔다. 그런 이유로 이병도에 대한 비판의 소리는 제대로 고개를 들 수 없었다.
Ⅵ.맺음말
지난 시기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던 斗溪史學에 대하여 긍정이나 부정의 이분법적인 평가는 옳지 않다고 본다. 그보다는 시대적 상황 아래에서 두계사학의 특징을 밝히고 방법론상의 한계를 밝혀내는 것이 필요하다. 그 결론과는 상관없이 학문적으로 타당성, 객관성, 정확성이 인정되면 평가할만한 것이다. 이익의 여부는 연구결과가 정확하고 공평한가, 체계적인 지식을 제시하였는가에 있는 것이지 도덕적인 선악에 있는 것은 아니다.
두계사학이 있었기에 오늘의 한국사연구는 그것을 극복할 필요가 있는 것이며, 그러한 과정에서 역사학의 발전이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키워드

  • 가격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1.18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3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