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 론
1.1 조사 목적
1.1 조사 개요
2. 본 론
(1)트랜싯의 용도
(2)트랜싯의 구조
(3)트랜싯의 조정
(4)트랜싯 측량시 주의사항
1) 트랜싯의 기능에 관련된 각종 계산
2) 트랜싯에 의한 직선의 연장과 각의 측설
(5) 측량방법
1) 트랜싯의 기능에 관련된 각종 계산
2) 트랜싯에 의한 직선의 연장과 각의 측설
3) 트랜싯에 의한 측각
가) 트랜싯에 의한 수평각의 측정
나) 트랜싯에 의한 수직각의 측정
(6) 측각시에 발생되는 오차
1) 트랜싯측량의 오차의 원인
(7) 현재의 트랜싯 사용
3. 결 론
1.1 조사 목적
1.1 조사 개요
2. 본 론
(1)트랜싯의 용도
(2)트랜싯의 구조
(3)트랜싯의 조정
(4)트랜싯 측량시 주의사항
1) 트랜싯의 기능에 관련된 각종 계산
2) 트랜싯에 의한 직선의 연장과 각의 측설
(5) 측량방법
1) 트랜싯의 기능에 관련된 각종 계산
2) 트랜싯에 의한 직선의 연장과 각의 측설
3) 트랜싯에 의한 측각
가) 트랜싯에 의한 수평각의 측정
나) 트랜싯에 의한 수직각의 측정
(6) 측각시에 발생되는 오차
1) 트랜싯측량의 오차의 원인
(7) 현재의 트랜싯 사용
3. 결 론
본문내용
므로 수평오차는 α-ε=DD′이다.
⑤ 점 P를 통과하여 XOY에 평행한 평면으로 ZX선을 절단한 점을 Q라 하면,
ε=PQ=XD′=ZZ′, DP=h, PZ=90。+h, 구면삼각형(球面三角形) △ZPQ와 △ ZDX는 닮은꼴이므로
DX/ZD=PQ/PZ, sinα/sin 90。=sinε/sin(90。-h)
sinα=sinε·secH
α=ε·secH (보통 α, ε가 매우 작으면 sinα≒α sinε≒ε)
⑥ 따라서 수평면에는 DD′=C=α-ε=ε·(secH-1)의 오차가 발생하며, 두 점 P1(h1)과 P2(h2)를 관측해서 수평각을 구했을 때의 오차는 C1-C2=ε·(secH1-secH2)이다.
⑦ 이 식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시준점의 표고가 같을 경우에는 ε의 영향이 수평각 에는 미치지 않으며, 망원경을 정·반위의 두 위치에서 관측한 평균치를 취한다면 두 오차의 부호가 상반되므로 시준축오차에 의한 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라) 수평축오차에 의한 오차의 제거
이 오차는 수평축의 조정의 불완전으로 수평축과 연직축에 직교하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거한다.
① 그림에서 정확한 수평축 XY에 대하여 η만큼 수평축이 기울어져 X′Y′의 위치에 있다고 하면, 이때 수평축에 직각으로 되어있는 시준축을 X′Y′의 주위에 회전하면 정확한 연직면 CZA에 대하여 η만큼 기울어진 CZ′A면을 그리게 된다.
<수평축오차 제거> ② 이 평면에 포함된 한 점 P의 높이를 h로 하고 이 점을 시준하면 수평분도원의 잣눈은 점 C를 가르키게 된다. 그러나 정확한 수평축에 직각인 시준축에 의하여 점 P를 시준하면 수평분도원의 잣눈은 점 P를 포함하는 연직면 ZPD가 수평면과 교차하는 점 D를 가르키게 된다.
③ 따라서 CD=∠COD 의 오차가 생기게 된다. CD=b이면 sin b=tan η·tan h이고, b, n은 극소치므로 sin b≒b, tan η≒η가 되어 b=n·tan η이며, 수평각에 미치는 영향은 b1-b2=η(tan h1-tan h2)이다.
④ 이때 두 시준점의 표고가 같을 경우는 그 수평각은 수평축오차에 의한 오차는 없고, 망원경을 정·반위 두 위치에서 관측하면 그 오차의 부호가 상반되므로 이 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마) 연직축오차에 의한 오차의 제거
이 오차는 평반기포관의 조정이 불완전했을 때 또는 기계상의 결함이 있을 때에 발생한다.
① 연직축이 ψ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α방향으로 고도 h인 점을 시준했을 때 수평각이 생기는 오차(a)는 a=ψ·tan h·sinα가 된다.
② 그 방향을 시준하였을 때 그 각도의 차이는 a1-a2=ψ·(tan h1·sinα1-tan h2· sinα2)의 오차를 갖는다.
따라서 식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오차는 망원경을 정·반위로 관측을 하여 그 관측치의 평균을 취하여도 제거할 수 없다.
(7) 현재의 트랜싯 사용
트랜싯측량(transit survey)은 트랜싯 또는 데오도라이트를 사용하여 행하는 측량으로서 데오도라이트측량(theodolite survey)이라고도 한다. 트랜싯과 데오도라이트와 그 기능과 구조상으로 큰 차이가 없으므로 최근에는 서로 큰 구별을 두지 않는다.
현재의 데오도라이트는 전자식, 레이저식등으로 과거의 트랜싯과 데오도라이트보다 더욱 정확한 값을 알려준다.
현재
트랜싯 대신 흔히 광파기라고 하는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수직거리, 경사거리, 좌표, 지반고(표고)등 디지털화 된 기계로 단추의 조작만으로 쉽게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수 있고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더욱더 진보된 토탈 스테이션은 노트북이나 전자 야장을 통해 연결해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고 받을수 있다.
< 토 탈 스 테 이 션 > < 전 자 데 오 도 라 이 트 >
또 GPS측량(인공위성에 의한 측량), 항공사진측량(사진을 판독해 데이터를 얻는측량), GIS(지리정보 시스템)등 첨단의 측량기술이 나날이 발전되고 있다.
또 측량의 결과치를 계산할수 있도록 장비로는 종전에는 계산기로만 이용했지만 현재 토탈스테이션, 공학용계산기, 전자야장, 컴퓨터 프로그램등 많은 방법으로 원하는 데이터의 결과치를 구할수 있다.
3. 결 론
지금까지 트랜싯의 용도 및 구조, 측량 방법등을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그래서 측량시 트랜싯의 오차 수정하는 것까지 다루었다. 트랜싯 측량시 이론도 중요하지만 이 이론을 바탕으로 측량의 숙련도를 높여야 좀더 정확한 측량값을 얻을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앞에서도 말했듯이 요즘에는 트랜싯이 그리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오늘날 사용되는 토탈스테이션이나 전자데오도라이트같은 최신장비가 나오기까지 구형 트랜싯은 토목공사 전반에 걸쳐 만능 측량기기라고 까지 불리우면서 꾸준히 사용되었고 또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토탈스테이션이나 전자데오도라이트에 드는 비용은 트랜싯의 비용과 비교가 되지않을 정도로 비싸다. 그래서 비싼장비를 구입하여 사용하다보니 트랜싯이 많이 사장되기도 하지만 일단 비용면에서 좀 경제적이어서 아직까지 사용되는 듯하다. 또한 최신장비들의 기본은 역시 트랜싯에서 시작되었으므로 트랜싯에 대한 조사는 필수적이며 또 트랜싯에 대해서 알아야 최신장비에 대한 원리도 이해하기 쉬을 것이다.
하지만 점차 GPS측량, 항공사진측량, GIS등이 발전 보급됨으로써 트랜싯은 육분의 같이 점차 사장되어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트랜싯같은 기본적인 측량기기의 이론 및 사용방법은 알아야겠지만 더 나아가 새로운 측량방법에 관심을 기울이고 기술 습득에 더 중점을 두어야겠다.
♣ 수고 하셨습니다 ♣
◀ 참 고 문 헌 ▶
저 자
책 제 목
출 판 사
참 고 페 이 지
安哲浩, 崔在和
일선 측량학
문 운 당
280 ∼291P
양용일외 4명 편저
측 량 학
동 화 기 술
99 ∼123 P
정화철외 4명 공저
측 량 학
구 미 서 관
115 ∼126P
인 터 넷 참 고 주 소
1
삼림청 ▶ http://www.foa.go.kr:9100/EXT/IY/kisul/34205.htm
2
Fiber Optic Products, Inc.™ ▶ http://www.tpub.com/engbas/11-11.htm
⑤ 점 P를 통과하여 XOY에 평행한 평면으로 ZX선을 절단한 점을 Q라 하면,
ε=PQ=XD′=ZZ′, DP=h, PZ=90。+h, 구면삼각형(球面三角形) △ZPQ와 △ ZDX는 닮은꼴이므로
DX/ZD=PQ/PZ, sinα/sin 90。=sinε/sin(90。-h)
sinα=sinε·secH
α=ε·secH (보통 α, ε가 매우 작으면 sinα≒α sinε≒ε)
⑥ 따라서 수평면에는 DD′=C=α-ε=ε·(secH-1)의 오차가 발생하며, 두 점 P1(h1)과 P2(h2)를 관측해서 수평각을 구했을 때의 오차는 C1-C2=ε·(secH1-secH2)이다.
⑦ 이 식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시준점의 표고가 같을 경우에는 ε의 영향이 수평각 에는 미치지 않으며, 망원경을 정·반위의 두 위치에서 관측한 평균치를 취한다면 두 오차의 부호가 상반되므로 시준축오차에 의한 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라) 수평축오차에 의한 오차의 제거
이 오차는 수평축의 조정의 불완전으로 수평축과 연직축에 직교하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거한다.
① 그림에서 정확한 수평축 XY에 대하여 η만큼 수평축이 기울어져 X′Y′의 위치에 있다고 하면, 이때 수평축에 직각으로 되어있는 시준축을 X′Y′의 주위에 회전하면 정확한 연직면 CZA에 대하여 η만큼 기울어진 CZ′A면을 그리게 된다.
<수평축오차 제거> ② 이 평면에 포함된 한 점 P의 높이를 h로 하고 이 점을 시준하면 수평분도원의 잣눈은 점 C를 가르키게 된다. 그러나 정확한 수평축에 직각인 시준축에 의하여 점 P를 시준하면 수평분도원의 잣눈은 점 P를 포함하는 연직면 ZPD가 수평면과 교차하는 점 D를 가르키게 된다.
③ 따라서 CD=∠COD 의 오차가 생기게 된다. CD=b이면 sin b=tan η·tan h이고, b, n은 극소치므로 sin b≒b, tan η≒η가 되어 b=n·tan η이며, 수평각에 미치는 영향은 b1-b2=η(tan h1-tan h2)이다.
④ 이때 두 시준점의 표고가 같을 경우는 그 수평각은 수평축오차에 의한 오차는 없고, 망원경을 정·반위 두 위치에서 관측하면 그 오차의 부호가 상반되므로 이 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마) 연직축오차에 의한 오차의 제거
이 오차는 평반기포관의 조정이 불완전했을 때 또는 기계상의 결함이 있을 때에 발생한다.
① 연직축이 ψ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α방향으로 고도 h인 점을 시준했을 때 수평각이 생기는 오차(a)는 a=ψ·tan h·sinα가 된다.
② 그 방향을 시준하였을 때 그 각도의 차이는 a1-a2=ψ·(tan h1·sinα1-tan h2· sinα2)의 오차를 갖는다.
따라서 식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오차는 망원경을 정·반위로 관측을 하여 그 관측치의 평균을 취하여도 제거할 수 없다.
(7) 현재의 트랜싯 사용
트랜싯측량(transit survey)은 트랜싯 또는 데오도라이트를 사용하여 행하는 측량으로서 데오도라이트측량(theodolite survey)이라고도 한다. 트랜싯과 데오도라이트와 그 기능과 구조상으로 큰 차이가 없으므로 최근에는 서로 큰 구별을 두지 않는다.
현재의 데오도라이트는 전자식, 레이저식등으로 과거의 트랜싯과 데오도라이트보다 더욱 정확한 값을 알려준다.
현재
트랜싯 대신 흔히 광파기라고 하는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수직거리, 경사거리, 좌표, 지반고(표고)등 디지털화 된 기계로 단추의 조작만으로 쉽게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수 있고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더욱더 진보된 토탈 스테이션은 노트북이나 전자 야장을 통해 연결해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고 받을수 있다.
< 토 탈 스 테 이 션 > < 전 자 데 오 도 라 이 트 >
또 GPS측량(인공위성에 의한 측량), 항공사진측량(사진을 판독해 데이터를 얻는측량), GIS(지리정보 시스템)등 첨단의 측량기술이 나날이 발전되고 있다.
또 측량의 결과치를 계산할수 있도록 장비로는 종전에는 계산기로만 이용했지만 현재 토탈스테이션, 공학용계산기, 전자야장, 컴퓨터 프로그램등 많은 방법으로 원하는 데이터의 결과치를 구할수 있다.
3. 결 론
지금까지 트랜싯의 용도 및 구조, 측량 방법등을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그래서 측량시 트랜싯의 오차 수정하는 것까지 다루었다. 트랜싯 측량시 이론도 중요하지만 이 이론을 바탕으로 측량의 숙련도를 높여야 좀더 정확한 측량값을 얻을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앞에서도 말했듯이 요즘에는 트랜싯이 그리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오늘날 사용되는 토탈스테이션이나 전자데오도라이트같은 최신장비가 나오기까지 구형 트랜싯은 토목공사 전반에 걸쳐 만능 측량기기라고 까지 불리우면서 꾸준히 사용되었고 또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토탈스테이션이나 전자데오도라이트에 드는 비용은 트랜싯의 비용과 비교가 되지않을 정도로 비싸다. 그래서 비싼장비를 구입하여 사용하다보니 트랜싯이 많이 사장되기도 하지만 일단 비용면에서 좀 경제적이어서 아직까지 사용되는 듯하다. 또한 최신장비들의 기본은 역시 트랜싯에서 시작되었으므로 트랜싯에 대한 조사는 필수적이며 또 트랜싯에 대해서 알아야 최신장비에 대한 원리도 이해하기 쉬을 것이다.
하지만 점차 GPS측량, 항공사진측량, GIS등이 발전 보급됨으로써 트랜싯은 육분의 같이 점차 사장되어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트랜싯같은 기본적인 측량기기의 이론 및 사용방법은 알아야겠지만 더 나아가 새로운 측량방법에 관심을 기울이고 기술 습득에 더 중점을 두어야겠다.
♣ 수고 하셨습니다 ♣
◀ 참 고 문 헌 ▶
저 자
책 제 목
출 판 사
참 고 페 이 지
安哲浩, 崔在和
일선 측량학
문 운 당
280 ∼291P
양용일외 4명 편저
측 량 학
동 화 기 술
99 ∼123 P
정화철외 4명 공저
측 량 학
구 미 서 관
115 ∼126P
인 터 넷 참 고 주 소
1
삼림청 ▶ http://www.foa.go.kr:9100/EXT/IY/kisul/34205.htm
2
Fiber Optic Products, Inc.™ ▶ http://www.tpub.com/engbas/11-11.htm
추천자료
공채에대하여
M&A에대하여
기업윤리에대하여
M&A에대하여
지역사회복지를_실천하는데_있어서_사회복지사의_역할과_실천기술에_대하여_논하시오1
노동기본권(근로기본권)의 중요성, 요건, 노동기본권(근로기본권)의 노동법, 국가별 제도, 노...
[사회복지실천론] <사례관리(case management)> 사례관리의 개념, 원칙, 개입과정, 사례관리...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에서의 사례관리의 필요성에 대하여 서술하고, 사례관리의 핵심적 ...
[한국사회문제 D형] 왜 현재 한국사회의 청년실업문제가 단순히 실업율의 문제가 아닌지에 대...
삼성(삼성그룹)의 역사, 성장, 삼성(삼성그룹)의 소유구조, 삼성(삼성그룹)의 인터넷 고객관...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의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논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는 이유와 지...
정신역동상담_청소년기 이성교제가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효과에 대하여 관련서적 줄거리 및...
1. 노인복지실천에 있어 사례관리의 과정(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각 과정 중에서 본...
[숲과 삶 A형] 우리나라 국토에서 국립공원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최근 논란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