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에 열광하는 10대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청소년 심리와 대중문화
① 청소년기의 정체혼미와 집단 정체성
② 동일시(同一視)와 투사(投射)대상으로서의 스타
③ 청소년의 자아 중심성
2. 연예인 추종 현상을 통해 드러나는 청소년들의 도덕성 결여 양상
3. 사례

-결론

본문내용

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보고, 현실에 존재하는 스타들에 대한 열망을 자신이 쓰는 소설 속에서 자신의 마음대로 말하고 행동하게 함으로써 현실에서 채우지 못한 불만 등을 해소하고 충족되지 못한 욕구를 해소하는 한 방편으로 이용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소설 속에서 스타들이 가지게 되는 이미지라는 것은 팬픽 작가 개인이 보는 어떤 이미지가 가수가 가지고 있는 성격(personality) 사실여부와는 관계없이 극대화되어 표현되기 때문에 도리어 스타들의 이미지가 한 부분으로 치우쳐 훼손되는 경향이 크다고 말한다.
-결론
오늘날 여러 가지 대중매체들에 의해 창출되고 보급되는 대중문화는 청소년들의 옷차림, 말투, 행동양태들을 동일하게 유행시키며 가치 체계와 의식의 단일화까지 만들어 내고 있다. "선생님, 집에 다녀오겠습니다"로 표현되는 학교생활은 청소년들에게 공부, 시험, 성적을 통한 경쟁의 공간이다. 이들은 순응적인 학생으로 공부를 선택하거나, 입시제도에서 억압되는 육체적 정신적 박탈을 학교 밖의 영화, 비디오, 팝송, 텔레비전 등의 문화상품을 소비하는 것으로 해소한다.
이렇게 청소년들이 기성세대에 의한 대중문화, 소비 중심적 문화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은 청소년의 왕성한 소비문화 양식에 필적할 만한, 자아실현을 위한 문화적 활동이 존재하지 않으며, 다양한 사회적 활동에의 참여가 봉쇄되어 있기 때문이다. 학교교육의 중압에 비례하여 소비와 대중문화의 자극성에 의존하는 경향은 증대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콘서트장이나 텔레비전 방송 녹화장에서, 농구장에서의 오빠부대들에 대해서도 청소년기의 행위특성으로 "그럴 수 있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하였으나, 문제는 이들이 동일시하는 우상들이 오로지 일부 연예인에 편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소년들이 연예인에 대해 무비판적이고 맹목적인 추종하면서 배타적인 성향을 보이고 도덕성에 혼란을 느끼게 된 것이 오늘날 커다란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 원인 중의 하나는 입시위주의 교육제도로 인해 학교교육이 지식전달에만 치중하고 도덕교육에 소홀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민주시민으로서 가지고 있는 권리와 의무, 타인에 대한 배려가 제대로 가르쳐지고 있지 않은 것이다. 여기에 혼란스러운 청소년들을 노린 상업주의가 가세하여 그 정도를 심화하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들에게는 올바른 도덕적 가치를 정립시키고 그것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가 분명히 필요하다.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모델을 발굴하고 소개하여 이들이 자신만의 올바른 모델을 정립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또한 이들이 개성적이라고 믿는 것들이 사실은 대중매체와 상업주의가 만들어낸 몇몇의 획일적인 것임을 깨닫게 하여 자신들의 진정한 관심사를 찾아내고 그것을 건강하게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동아리 활동이나 놀이문화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또한 이와 함께 연예인들은 그들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공인으로서의 자각, 책임감을 갖도록 해야 할 것이며 기성세대들은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모델을 보여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1.19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5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