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어의 변화와 국어사의 시대 구분
2-1. 시대 구분
2-2. 시대 구분
3.1. 음운의 변화(모음)
3.2. 음운의 변화(자음)
3.3. 음운의 변화(비분절 음운)
4. 어휘의 변화
2-1. 시대 구분
2-2. 시대 구분
3.1. 음운의 변화(모음)
3.2. 음운의 변화(자음)
3.3. 음운의 변화(비분절 음운)
4. 어휘의 변화
본문내용
국어의 변화와 국어사의 시대 구분
1. 언어는 사회적 약속으로 개인이 임의적으로 바꿀 수 없다(사회성).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서서히 변해 가는데(역사성), 국어도 역사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2. 국어의 형성
: 부여·한조어┌원시 부여어(북방) → 고구려어
└원시 한어(남방)┌백제어
└신라어
→중세 국어
2-1. 시대 구분
(1) 고대 국어(상고 시대∼통일 신라) : 경주 지방의 방언을 중심으로 한반도의 언어적 통일이 성취됨.
(2) 중세 국어(고려의 건국∼16세기 말) : 개성 지방의 방언으로 바뀜. 대체로 신라어를 계승하였으며 이 시기에 훈민정음이 창제되어 비로소 우리 말을 우리 글로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게 됨.
2-2. 시대 구분
(3) 근대 국어(17세기 초∼19세기 말) :모음 체계상 변화(/ · /의 음가 소멸과 /ㅔ,ㅐ/의 단모음화) 등 음운, 문법, 어휘의 여러 변화로 인해 앞 시대의 언어와 전반적으로 다른 모습을 띰.
(4) 현대 국어(개화기∼현대) :전 시기에 비해 어휘면의 차이가 두드러짐. 한자로 번역된 서구의 신문명어가 대량으로 도입됨.
1. 언어는 사회적 약속으로 개인이 임의적으로 바꿀 수 없다(사회성).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서서히 변해 가는데(역사성), 국어도 역사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2. 국어의 형성
: 부여·한조어┌원시 부여어(북방) → 고구려어
└원시 한어(남방)┌백제어
└신라어
→중세 국어
2-1. 시대 구분
(1) 고대 국어(상고 시대∼통일 신라) : 경주 지방의 방언을 중심으로 한반도의 언어적 통일이 성취됨.
(2) 중세 국어(고려의 건국∼16세기 말) : 개성 지방의 방언으로 바뀜. 대체로 신라어를 계승하였으며 이 시기에 훈민정음이 창제되어 비로소 우리 말을 우리 글로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게 됨.
2-2. 시대 구분
(3) 근대 국어(17세기 초∼19세기 말) :모음 체계상 변화(/ · /의 음가 소멸과 /ㅔ,ㅐ/의 단모음화) 등 음운, 문법, 어휘의 여러 변화로 인해 앞 시대의 언어와 전반적으로 다른 모습을 띰.
(4) 현대 국어(개화기∼현대) :전 시기에 비해 어휘면의 차이가 두드러짐. 한자로 번역된 서구의 신문명어가 대량으로 도입됨.
키워드
추천자료
영상 매체 및 컴퓨터를 활용한 국어과 프로그램
국어과 교육사에 대한 고찰
[교육의 역사와 철학 Term Paper] 매체를 활용한 국어 교육 - 시 교육 중심으로
국어과 교육 과정의 변천
중세국어의 음운
중세국어의 음운
현대국어정서법
[국어교과수행평가][국어교육]국어과 수행평가의 배경, 국어과 수행평가의 전제와 국어과 수...
15세기 고대국어(고대한국어)의 음절체계와 문자체계, 15세기 고대국어(고대한국어)의 음운구...
[음절][국어][음절화][운율음운론][고대국어][영어 음절화]국어 음절의 구성, 국어 음절의 제...
한글(우리글, 국어, 우리말)의 성격과 우수성, 한글(우리글, 국어, 우리말)의 지위와 구조, ...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교육의 대중문화 수용을 위한 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