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근대 이전의 도시의 발달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2. 일제 강점기의 도시의 발달
(1) 도시의 발달
(2) 도시 내부 구조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2. 일제 강점기의 도시의 발달
(1) 도시의 발달
(2) 도시 내부 구조
본문내용
1. 근대 이전의 도시의 발달
(1) 삼국시대
고구려 - (국내성과 평양) 평양은 평지에 성을 쌓고 방어용 산성을 갖추었으며, 도시계획에 따라서 시가지를 구분하였다.
백제 - (위례성과 공주 및 부여) 금강의 하안지형을 이용하여 토성을 쌓고 계획적으로 방어용 도시를 구획하였다.
신라 - (경주) 하안에 반월성을 쌓고,
토지를 바둑판모양으로 질서 정연하게 구획하였다.
후에 신라가 삼국통일을 함으로써 경주는 더욱더 번성하여 전성기 때는 인구가 15~20만 명에 이르는 대도시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효율적인 통치를 위해 9주 5소경을 두었다.
삼국 시대에는 왕도를 중심으로 도시가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2) 고려시대
수도인 개경과 지방행정 중심지인 평양, 한양, 경주 등의 3경이 발전하였다. 이들 도시는 생산력을 갖춘 도시가 아니라 행정 중심지였으며, 하천 유역의 분지나 방어에 유리한 지역에 입지하였다.
(1) 삼국시대
고구려 - (국내성과 평양) 평양은 평지에 성을 쌓고 방어용 산성을 갖추었으며, 도시계획에 따라서 시가지를 구분하였다.
백제 - (위례성과 공주 및 부여) 금강의 하안지형을 이용하여 토성을 쌓고 계획적으로 방어용 도시를 구획하였다.
신라 - (경주) 하안에 반월성을 쌓고,
토지를 바둑판모양으로 질서 정연하게 구획하였다.
후에 신라가 삼국통일을 함으로써 경주는 더욱더 번성하여 전성기 때는 인구가 15~20만 명에 이르는 대도시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효율적인 통치를 위해 9주 5소경을 두었다.
삼국 시대에는 왕도를 중심으로 도시가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2) 고려시대
수도인 개경과 지방행정 중심지인 평양, 한양, 경주 등의 3경이 발전하였다. 이들 도시는 생산력을 갖춘 도시가 아니라 행정 중심지였으며, 하천 유역의 분지나 방어에 유리한 지역에 입지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사회과 교육의 발달과정
도시공간구조의 모형간의 비교 및 한계
미래도시의 대안
일제 강점기 트로트의 성립과 특성
바람직한 기업도시에 대한 분석
[행정중심복합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 원안 추진을 반대하는 이유 - 행정중심복합도시...
[행정중심복합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 수정안을 반대하는 이유 - 행정중심복합도시 수...
전자본주의기와 일제 강점기에 대한 한국경제사적 고찰
[서양중세도시][서양중세도시와 시장][서양중세도시와 길드]서양중세도시의 특색, 서양중세도...
독일 중세 말 발달사
[기업도시][기업][도시][기업역할][포항]기업도시의 특징, 기업도시의 필요성, 기업도시의 기...
[기업도시][기업도시 개발특별법][기업도시 노동권침해]기업도시의 유형, 기업도시의 진행과...
[영유아嬰乳兒발달] 아동연구의 역사와 발달단계 - 아동기의 구분, 인간 발달단계...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서구 태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