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에서본 창조론과 진화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창조론과 진화론.

<본론>
*창조와 진화 논쟁의 중요성
*우주와 그 가운데 있는 생명체는 진화한 것인가, 아니면 창조된 것인가?
*창조론이란?
* 창조에 관한 이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 간격이론(Gap theory)
2) 날-시대 이론 (day-age theory)
3) 골격 가설(frame work hypothesis)
4) 유신론적 진화론(theistic evolution)
5) 진행론적 창조론(progressive creation)
6) 성숙한 창조물의 출현이론 (Appearance of age theory)
7) 성서적 창조론(biblical creation)*창조론에 관한 증거자료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진화론이란?
*진화에 관한 학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 다윈 이전의 진화설
2) 다윈의 진화설: 자연선택설
3) 다윈 이후의 진화설
*진화론에 관한 증거자료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결론

본문내용

도가 보다 적다고 한다. 여기서 진화론자들은 그 침전물의 양은 그 동물과 사람의 진화적 친연의 정도 여하에 의해 변하는 것이라 단언한다.
7. 지리학적 분포의 증거
어떤 동식물은 남미에만, 그리고 어떤 것은 호주에만, 이렇게 특수 지대에 특수 종류의 동식물이 발견된다고 하며, 한 나라 안에서도 어떤 지방에 있는 종류는 다른 지방에 있는 종류와 크게 다르며, 그 두 지방의 중간 지대에는 두 종류의 중간 계단을 의미하는 종류가 살고 있다고 한다. 어떤 종류의 동물이나 식물이 어떤 지방에서 발생하여 그곳을 중심으로 하고 다른 지방으로 분포된 다른 지방으로 멀리 갈수록, 그리고 긴 세월을 보낼수록 점점 더 변해서 마침내 모든 면에서 전혀 다른 종류로 진화했다고 한다.
8. 실험사육의 증거
잡종을 만드는 방법과 다른 사육의 기술에 의해 나타낸 여러 동식물의 새 품종은 산 유기체 안에 잠재해 있는 진화 가능성의 근거가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진화의 가능성은 자연도태 방식에 의해 지질학적 연대를 지나오면서 실현되었는데, 인위적 도태가 새 품종을 생산키 위해 사용된 것과 같은 이치라는 것이다.
9. 화석학적 증거
지각의 변동에 의해 퇴적되어 암석 가운데 보존된 화석을 토하여 생물의 진화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유기진화론의 가장 강력한 지원 증거로써 지질연대가 가장 오래된 고생대의 암석들은 비교적 단순한 유기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보다 더 늦은 중생대의 발달된 생물체의 화석을 내포하고 있다. 이 같은 사실로 보아 진화가 있었다는 사실적 증거가 된다는 것이다.
10. 돌연변이의 증거
돌연변이란 멘델 법칙에 반대되는 사상으로 유전하는 요소 중에서 발생하는 진기하고 돌발적으로 출현하는 유전적 변이를 주장하는 것이다. 환언하면 어떤 개체가 그 선조에서 없던 신성질원을 획득한다던가 혹은 선조에서 있던 성질원을 유실함으로써 변이가 발생하여 후손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전자를 진행돌연변이, 후자는 퇴행돌연변이라 한다. 그런데 이 같은 돌연변이 현상은 자연도태(적자생존)의 양식에 의해 보존될 것이며 장기 진화 과정에서 공헌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결론
결론은 결론이 없다는 것이다. 위에서 말한 진화론과 창조론. 둘다 이론일뿐이다.
사람들에게 인정받은 법칙이 아니라 이론이다. 그러기에 쉽게 결론을 내릴수 없다.
성서중심의 창조론. 성서 과학이라는 한계성으로 과학적 입증을 내놓은 진화론에 성서에 쓰여있다는 말로 반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과학적 접근이라는 진화론. 과학적 입증으로 창조론을 반박하지만, 과학적으로 풀리지 않는 신비스러운 의문에 대해서 반박할 수가 없다.
창조론과 진화론.
알이 먼저냐? 닭이 먼저냐?와 같은 이치이다. 지금은 섣불리 결론을 내릴수가 없다.
어쩌면, 영원히 풀리지 않을 의문일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성서 중심의 해석으로, 과학적 해석으로 인한 편견으로 바라보면 안된다는 것이다. 중용의 자세로 객관적인 입장에서 바라보는것이고 자신의 주장만 내세우지 말고 남의 주장에도 귀를 기울일 줄 알아야 한다. 그것이 현재는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1.22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