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성공-실패사례 비교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 기업 성공-실패사례 비교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이미 성공한 사례 (야놀자) P2
①고객 세분화
②가치 제안
③고객 관계
④유통 채널
⑤수익원
⑥핵심 자원
⑦핵심 활동
⑧핵심 파트너
⑨비용 구조

Ⅱ. 향후 성공 예상 사례 (발란) P4
①고객 세분화
②가치 제안
③고객 관계
④유통 채널
⑤수익원
⑥핵심 자원
⑦핵심 활동
⑧핵심 파트너
⑨비용 구조

Ⅲ. 향후 실패 예상 사례 (메가박스) P6
①고객 세분화
②가치 제안
③고객 관계
④유통 채널
⑤수익원
⑥핵심 자원
⑦핵심 활동
⑧핵심 파트너
⑨비용 구조

Ⅳ. 이미 실패한 사례 (맥시안) P9
①고객 세분화
②가치 제안
③고객 관계
④유통 채널
⑤수익원
⑥핵심 자원
⑦핵심 활동
⑧핵심 파트너
⑨비용 구조

Ⅴ. 비교 분석 P11

본문내용

례 ‘맥시안’ 총 4개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앞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성공(또는 성공예상)사례와 실패(또는 실패예상)사례에는 각각 공통점이 있다.
성공(또는 성공예상)사례의 공통점은 기술의 발전, 즉,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발전으로 인해 각광받은 사례라는 것이다. 두 기업 모두 직접 매장에 방문하지 않아도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편리하고 간편하다는 특성도 있지만 직접 매장에서 결제하는 것보다 해당 플랫폼으로 결제하면 각종 이벤트로 인해 더 저렴하게 결제할 수 있다. 기존에 지불하는 가격에 비해 더 많은 혜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방식을 더 선호하게 되었다.
실패(또는 실패예상)사례의 공통점은 기술 발달로 인해 새로운 대체품이 도입되면서 실패의 길을 걷게 되었다는 것이다. 두 기업 모두 대체품 등장 이전에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었다. IT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보다 더 나은 대체품들의 등장으로 인해 매출의 감소를 겪게 되었다. 대체품보다 뛰어난 기술이나 특별한 차별화 요소가 있지 않는 한 각 시장에서 살아남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앞으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대체품들이 나온다고 해서 기존에 있던 기업들이 무조건 실패하는 것은 아니다. 성공(또는 성공예상)사례를 분석하면서 알게 된 사실은 창업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각자의 무기를 바탕으로 남들과는 다른 각자의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고 생각한다. 그에 따른 충성고객을 확보하고 다른 기업들과 차별화되는 요소를 발휘하면 성공과 가까워질 수 있는 기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MBC뉴스, 적자나도 끊을 수 없어‥\"‘야놀자’의 노예\" (2021)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today/article/6304932_34943.html
뉴스토마토, \'사면초가\' 메가박스, 1000% 눈앞 부채비율에 IPO도 물건너가 (2021)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35062
더벨, 밀크파트너스, 야놀자-신세계를 블록체인으로 엮는다 (2021)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8260748226680108279&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동아비즈니스리뷰, 명품 쇼핑 온라인 플랫폼 ‘발란’ (2021)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2/article_no/10102/ac/r_best
디지털데일리, 명품 플랫폼 발란, ‘김혜수 효과’ 뒤 개발자들 숨은 노력 (2021)
https://www.ddaily.co.kr/news/article/?no=225588
디지털타임스, 맥시안-한라웰스텍, PMP 공급ㆍ판매 제휴 (2008)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8102402011132718003
매거진한경, 대표상품 ‘T600’ 기능·디자인 ‘굿’ (2006)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103034628b
매경프리미엄, 명품 수입몰 \'발란\'은 어떻게 100억원을 투자 유치했을까 (2020)
https://www.mk.co.kr/premium/behind-story/view/2020/01/27591/
머니투데이, \"명품을 왜 백화점에서?\" 김혜수 한마디에…발란 거래액 7배↑ (2021)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110215511690284
메가박스 공식 홈페이지
https://www.megabox.co.kr/megaboxinfo
바이라인네트워크, 온라인으로 명품 팔아서 월매출 50억원 만든 방법(feat. 발란) (2020)
https://byline.network/2020/08/24-80/
발란 공식 홈페이지
http://balaanofficial.com/home/pc_index.php#Page0
비즈한국, \'예약보다 광고\' 토종 숙박중개 플랫폼 야놀자가 사는 법 (2019)
http://www.bizhankook.com/bk/article/17614
서울경제, \"태블릿PC 성패 콘텐츠 확보가 관건\" (2010)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011&aid=0002092526
스포츠경향, PMP 코원 Q5 vs 맥시안 E900dic (2008)
https://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art_id=200805262104576
아이뉴스24, PMP, AS 강화 잰걸음 (2008)
https://www.inews24.com/view/319610
야놀자 공식 홈페이지
https://yanolja.in/
어패럴뉴스, 최형록 발란 대표 인터뷰 (2020)
http://www.apparelnews.co.kr/news/news_view/?idx=180473
위시켓, 야놀자vs여기어때, 국내 숙박 앱 강자는? (2021)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132/
이티뉴스, 코로나19에도 야놀자·여기어때 결제금액 역대 최대 (2021)
https://m.etnews.com/20210810000194?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
중앙일보, 영화 1편당 100원 수익, 토종 OTT 살리자고 영화업계 죽이나 (2020)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860391#home
한경증권, 매출 증가율 하락세…메가박스중앙 \'IPO 약속\' 지킬까 (2020)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0022019751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4.12.23
  • 저작시기202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22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