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평가사이트
Ⅱ. 평가기준과 측정방법
1. 검색성
2. 사용 용이성
3. 이용자 지원성
Ⅲ. 평가기준에 따른 검색결과
Ⅳ. 결론
1. 평가 결과 요약
2. 측정 기준에 따른 점수표
Ⅴ. 느낀점
Ⅱ. 평가기준과 측정방법
1. 검색성
2. 사용 용이성
3. 이용자 지원성
Ⅲ. 평가기준에 따른 검색결과
Ⅳ. 결론
1. 평가 결과 요약
2. 측정 기준에 따른 점수표
Ⅴ. 느낀점
본문내용
tracts에서 따로 제공하는 이용자 피드백은 없었다. 대신 화면 맨 위 프레임에는 항상 CSA에 대한 메뉴가 변하지 않고 페이지마다 등장하는데 이 메뉴 중에 'support'와 'contact CSA'에는 Technical service와 Customer service를 위한 담당자 e-mail 주소와 전화번호, 팩스번호가 명시되어 있고 각 부서와 부서의 책임자, 해외 지점의 연락처 등이 제시되어 있다. 도움말에 보면 'E-mail Support'라고 하여 이용자들을 위한 support form을 제시하고 있다.
[그림 4.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 'Help'의 'E-mail Support']
3) 사용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훈련 등 제공 여부
어디를 봐도 이러한 프로그램이나 이용자들을 위한 교육 기회 제공에 관련된 정보는 없었다. 단지 처음 사용하는 이용자들을 위한 시험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도에 그쳤다.
Ⅳ. 결론
1. 평가 결과 요약
1) 검색성
모두 8가지를 평가했는데 Advanced Search와 Quick Search, 그리고 Index Browse 모드까지 있었기 때문에 검색성에 있어서는 좋은 database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검색된 결과들을 자동으로 저장시켜 주고 나중에 그것을 다시 검색하지 않고도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 Save History 기능은 이용자 입장에서 편리한 기능이라고 생각되었다. 다양한 필드와 연산자, 검색방법으로 검색을 하는데 있어서 편리하고 쉽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색인이 다양하지 못하고 시소러스가 없고, 어휘통제가 잘 되지 않아 환경 database에서 '환경'이라는 단어에 철자 오류를 범하는 실수를 하기도 하였다. 즉, 검색성을 평가하면서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는 이용자에게 검색이 편리하도록 여러 가지 장치를 제시하지만 어휘를 통제하는 기술의 부족으로 부정확한 정보를 이용자들에게 제공해줄수도 있다는 큰 단점이 있는 database이다.
2) 사용 용이성
화면 구성에 있어서 색채도 깔끔하고 전문 사이트인 만큼 학술적인 분위기를 풍겼다. 프레임의 배열도 일관성이 있고 텍스트를 주로 사용함으로써 다운로드 하는 시간을 많이 단축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검색버튼의 용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일관성을 보이지 못하는 실수를 저질렀으며 사이트의 어떤 부분에서는 글씨 size가 너무 작아서 모든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읽을 수는 없을 것 같은 단점도 있었다. 하지만 상세한 도움말과 잘 짜여진 필드로 구성된 출력물은 처음 사용하는 이용자나 이러한 사이트에 익숙하지 못한 이용자들에게 이용하기 쉽도록 만들 수 있을 것 같았다.
3) 이용자 지원성
다른 데이터베이스들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이 부분에 있어서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는 매우 부족한 점이 많았다. DB에 대한 한 페이지 분량의 설명(수록범위)과 도움말 부분에 숨겨져있는 e-mail support form, 그리고 이용자들에게 피드백이 될 수 있는 담당자의 소속과 연락처가 있었지만 자세한 설명은 없어서 이 부분에 대해 업체에서 큰 신경을 쓰지 않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또한 사용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훈련과 같은 부분은 전혀 없었기 때문에 이용자 지원성 부분에서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는 큰 도움이 되지는 못할 것 같다.
정보서비스 측정기준
세부항목
점수(점)
검색성
데이터 검색 속도
75
검색 메뉴 체계성, 다양성, 완전성
100
검색 명령어 표준성, 다양성
75
색인 다양성, 정교성, 조합
25
어휘통제 여부
0
연산자 다양한 기능의 여부
100
용어집, 시소러스의 체계성, 정확성
0
검색 모드와 복귀 기동의 방법과 단계
75
합계
450
2. 측정기준에 따른 점수표
3가지 큰 측정기준에 세부항목들을 측정하여 보았다. 세부항목별로 0점에서 100점까지 점수를 매기고 이것을 평균화하여 각각의 측정기준에 대한 점수를 내어보기로 하였다.
매우 불만족
어느 정도 만족
매우 만족
0점 25점 50점 75점 100점
위와 같이 0점부터 100점까지 점수를 다섯 등분하여 각각의 세부 항목에 대한 평가를 만족한 정도에 따라 점수를 매기기로 하였다. 이렇게 합산한 점수들을 각각의 측정기준에 따라 평균을 내어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에서는 어떤 정보서비스가 제일 좋았는지 또 어떤 서비스는 불만족스러웠는지 점수화하기로 하였다.
정보서비스 측정기준
세부항목
점수(점)
사용 용이성
전체화면 구성
75
용어 사용의 용이성, 일관성
50
도움말 구성
100
오류 메시지 제공여부와 적절성
50
화면구성
75
결과물
75
합계
425
정보서비스 측정기준
세부항목
점수(점)
이용자
지원성
제공 정보 및 DB에 대한 설명, 운영지침
50
이용자 피드백
50
사용자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훈련 등 제공여부
0
합계
100
<결과>
측정기준
검색성
사용 용이성
이용자 지원성
전체
합계
450
425
100
975
평균
56.25
70.83
33.33
57.35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 정보 서비스 평가표]
Ⅴ. 느낀점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는 CSA IDS에 속한 database이기 때문에 이번 평가를 하면서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 정보서비스 평가를 한다기 보다는 CSA를 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지난 번 정보 품질 평가를 할 때도 느꼈던 것이지만 내가 선택한 database는 추천하고 싶은 데이터베이스는 아닌 것 같다. CSA하면 이름 있고 많은 database들을 보유한 곳이라 여러 가지 이용자들을 위한 지원이나 서비스가 많을 것 같았는데 그러한 점들이 너무나 부족했다. 한 학기동안 시간적으로는 여유가 있었지만 어떤 것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서 너무나 많은 시간을 허비했던 것 같다. 그렇지 않았다면 여유 있게 더 잘 평가할 수 있었을 것 같은데 말이다.
[그림 4.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 'Help'의 'E-mail Support']
3) 사용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훈련 등 제공 여부
어디를 봐도 이러한 프로그램이나 이용자들을 위한 교육 기회 제공에 관련된 정보는 없었다. 단지 처음 사용하는 이용자들을 위한 시험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도에 그쳤다.
Ⅳ. 결론
1. 평가 결과 요약
1) 검색성
모두 8가지를 평가했는데 Advanced Search와 Quick Search, 그리고 Index Browse 모드까지 있었기 때문에 검색성에 있어서는 좋은 database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검색된 결과들을 자동으로 저장시켜 주고 나중에 그것을 다시 검색하지 않고도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 Save History 기능은 이용자 입장에서 편리한 기능이라고 생각되었다. 다양한 필드와 연산자, 검색방법으로 검색을 하는데 있어서 편리하고 쉽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색인이 다양하지 못하고 시소러스가 없고, 어휘통제가 잘 되지 않아 환경 database에서 '환경'이라는 단어에 철자 오류를 범하는 실수를 하기도 하였다. 즉, 검색성을 평가하면서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는 이용자에게 검색이 편리하도록 여러 가지 장치를 제시하지만 어휘를 통제하는 기술의 부족으로 부정확한 정보를 이용자들에게 제공해줄수도 있다는 큰 단점이 있는 database이다.
2) 사용 용이성
화면 구성에 있어서 색채도 깔끔하고 전문 사이트인 만큼 학술적인 분위기를 풍겼다. 프레임의 배열도 일관성이 있고 텍스트를 주로 사용함으로써 다운로드 하는 시간을 많이 단축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검색버튼의 용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일관성을 보이지 못하는 실수를 저질렀으며 사이트의 어떤 부분에서는 글씨 size가 너무 작아서 모든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읽을 수는 없을 것 같은 단점도 있었다. 하지만 상세한 도움말과 잘 짜여진 필드로 구성된 출력물은 처음 사용하는 이용자나 이러한 사이트에 익숙하지 못한 이용자들에게 이용하기 쉽도록 만들 수 있을 것 같았다.
3) 이용자 지원성
다른 데이터베이스들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이 부분에 있어서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는 매우 부족한 점이 많았다. DB에 대한 한 페이지 분량의 설명(수록범위)과 도움말 부분에 숨겨져있는 e-mail support form, 그리고 이용자들에게 피드백이 될 수 있는 담당자의 소속과 연락처가 있었지만 자세한 설명은 없어서 이 부분에 대해 업체에서 큰 신경을 쓰지 않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또한 사용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훈련과 같은 부분은 전혀 없었기 때문에 이용자 지원성 부분에서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는 큰 도움이 되지는 못할 것 같다.
정보서비스 측정기준
세부항목
점수(점)
검색성
데이터 검색 속도
75
검색 메뉴 체계성, 다양성, 완전성
100
검색 명령어 표준성, 다양성
75
색인 다양성, 정교성, 조합
25
어휘통제 여부
0
연산자 다양한 기능의 여부
100
용어집, 시소러스의 체계성, 정확성
0
검색 모드와 복귀 기동의 방법과 단계
75
합계
450
2. 측정기준에 따른 점수표
3가지 큰 측정기준에 세부항목들을 측정하여 보았다. 세부항목별로 0점에서 100점까지 점수를 매기고 이것을 평균화하여 각각의 측정기준에 대한 점수를 내어보기로 하였다.
매우 불만족
어느 정도 만족
매우 만족
0점 25점 50점 75점 100점
위와 같이 0점부터 100점까지 점수를 다섯 등분하여 각각의 세부 항목에 대한 평가를 만족한 정도에 따라 점수를 매기기로 하였다. 이렇게 합산한 점수들을 각각의 측정기준에 따라 평균을 내어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에서는 어떤 정보서비스가 제일 좋았는지 또 어떤 서비스는 불만족스러웠는지 점수화하기로 하였다.
정보서비스 측정기준
세부항목
점수(점)
사용 용이성
전체화면 구성
75
용어 사용의 용이성, 일관성
50
도움말 구성
100
오류 메시지 제공여부와 적절성
50
화면구성
75
결과물
75
합계
425
정보서비스 측정기준
세부항목
점수(점)
이용자
지원성
제공 정보 및 DB에 대한 설명, 운영지침
50
이용자 피드백
50
사용자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훈련 등 제공여부
0
합계
100
<결과>
측정기준
검색성
사용 용이성
이용자 지원성
전체
합계
450
425
100
975
평균
56.25
70.83
33.33
57.35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 정보 서비스 평가표]
Ⅴ. 느낀점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는 CSA IDS에 속한 database이기 때문에 이번 평가를 하면서 Environmental Engineering Abstracts 정보서비스 평가를 한다기 보다는 CSA를 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지난 번 정보 품질 평가를 할 때도 느꼈던 것이지만 내가 선택한 database는 추천하고 싶은 데이터베이스는 아닌 것 같다. CSA하면 이름 있고 많은 database들을 보유한 곳이라 여러 가지 이용자들을 위한 지원이나 서비스가 많을 것 같았는데 그러한 점들이 너무나 부족했다. 한 학기동안 시간적으로는 여유가 있었지만 어떤 것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서 너무나 많은 시간을 허비했던 것 같다. 그렇지 않았다면 여유 있게 더 잘 평가할 수 있었을 것 같은데 말이다.
추천자료
서비스와 정보기술
색인, 초록 및 전문서비스의 선택과 평가
U-특허청을 향한 특허행정의 정보화 과정과 정책평가
BSC를 활용한 ITO공급사 선정기준과 IT아웃소싱서비스 평가방안
범죄정보체계론(인터넷상의 정보에 대한 행정법적 평가와 경찰의 정보적 자기결정권)
[의료정보]병원에서의 전자차트시스템에 대한 평가 및 기대효과
[ASP][ASP활용]ASP의 정의, ASP의 특징, ASP의 구조, ASP의 등장배경, ASP를 이용한 기업의 E...
[KERIS][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한국교육학술정보원)서지DB의 품질평가, KERIS(한국교육학...
공공서비스의 개념, 공급유형, 공공서비스의 공급대안, 민간위탁, 공공서비스의 간접고용, 공...
정보수집과 정보사회, 정보수집과 시장정보, 정보수집과 학생정보, 정보수집과 교육정보, 정...
[공공서비스, 공공의료서비스]공공서비스의 정의, 공공서비스와 공공의료서비스, 공공서비스...
[품질][품질과 경쟁력][품질과 수익성][품질과 정보][정보기술][브랜드][고객서비스][고객만...
[품질, 품질경영, 품질경영전략, 총체적품질관리]품질과 품질경영, 품질과 품질경영전략, 품...
[정보자원][지식정보자원][인터넷정보자원][공공부문정보자원][정보자원조사][정보자원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