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 실습 사고과정 장애 진단 의사소통 과정 프로그램 참가 전문 분야간 협력관계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간호학 실습 사고과정 장애 진단 의사소통 과정 프로그램 참가 전문 분야간 협력관계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의사소통 과정 기록지
2. 프로그램 참가 보고서
3. 전문 분야간 협력 관계 관찰 보고서
4. 정신간호과정
A. 정신간호 진단
B. 정신 간호과정

본문내용

맞추도록 돕는다.
②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약물 치료 시 유의점을 설명하고 처방에 따라 약물을 올바르게 투여하도록 한다.
③1달마다 정기 검진을 통해 약물복용여부, 약물 부작용 여부에 대해 확인한다.
④한 달에 한 번씩 대상자의 가족구성원들에게 가족 치료 및 정신교육을 실시한다.
⑤대상자와 대화 시 경청, 반영, 공감 등 적절한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을 사용하여 라포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①망상을 경험하는 환자를 위한 간호수행의 목표는 정신병적 세계와 현실세계 사이를 구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임숙빈 외(2017). 수문사. 정신간호총론. p.315)
②항정신병약물은 보통 2주-6주 정도까지 복용한 후 효과와 부작용의 균형을 고려하여 복용량을 조정하게 된다. Risdon은 항정신용제로 정신분열증 시 나타나는 파괴적 행동(공격성, 충동적 행동)을 예방, 치료한다. Depakine은 뇌전증(소발작, 대발작)과 그에 뒤따르는 성격, 행동장애를 예방, 치료한다. Proimer은 진전, 강직, 피로, 무력증 등의 증상을 조절한다. Razepam은 불안, 긴장, 우울 증상을 조절한다. Ativan은 신경증에서의 불안, 긴장, 우울을 조절한다. (약학정보원. Risdon.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1120100008)
③Risdon은 졸음, 빈맥, 저혈압, 고혈당, 체중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Depakine은 체중증가, 우울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Proimer은 시야 불선명, 현기증, 몽롱감과 오심, 구토, 변비 등의 위장관 장애와 항콜린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Razepam은 진전, 불안정, 불면, 집중력 등이 금단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Ativan은 졸음, 어지러움, 휘청거림, 두통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의학검색엔진, Proimer
http://www.kmle.co.kr/viewDrug.php?inx=34620&c=1c4db17fe359195e6b72d714de829e87)
④조현병 환자를 직접 돌보는 가족들은 병의 급성기 증상과 잔존 증상에 대처하기 위해 상당한 어려움을 견뎌내야 하고, 환자와 그 가족들은 친척들, 지역사회, 지지체계로부터 고립되기 쉽다. 조현병의 추후 관리에 있어 가족의 역할이 중요하기에 가족체계의 지지, 재발과 예방의 지연 등이 필요하다. (임숙빈 외(2017). 수문사. 정신간호총론. p.350)
⑤ 조현병 환자와의 치료적 의사소통을 통해 환자의 불안감 감소, 명확한 의사소통 격려, 자기 인식 증진, 현실 검증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임숙빈 외(2017). 수문사. 정신간호총론. p.314)
교육적
①환자의 기능수준에 적합한 활동 또는 프로그램을 함께 찾고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②환자와 보호자에게 불안을 조절하는 전환요법에 대해 교육하고 스스로 시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심호흡, 음악요법, 미술요법, 여가활동 등)
①환자의 기능수준에 적합한 공동체를 경험하는 것은 위축을 감소시키고, 직원과 동료로부터 지지와 피드백을 촉진하며, 사회적 기능을 증진시킨다. (임숙빈 외(2017). 수문사. 정신간호총론. p.313)
②그림, 시읽기, 신문읽기, 음악 듣기 등은 대화에 초점을 두게 하고 감정의 인식과 표현을 증진지킨다. 맡은 일을 완성할 수 있는 기회와 성공 확률이 높은 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 (임숙빈 외(2017). 수문사. 정신간호총론. p.313)
참고문헌
임숙빈 외(2017).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p. 337-350
성미혜 외(2018).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p.249-325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4.12.23
  • 저작시기202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25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