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TV드라마속의 여성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TV드라마속의 여성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인식

2. 분석
1)착한여자형
2)수퍼우먼형
3)신데렐라형
4)외모지향형

3. 결론(대안)
1)개인적관점
2)사회적관점

본문내용

자를 주체적이지 않고 수동적인 것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전통적인 이데올로기에 기인한다. 외모지향적인 의식이란 여성의 주체적인 성의 표현이 아니다. 그것은 오직 남성에게 아름다운 외모에 의해서 선택받고 싶은 욕망에서 기인한다.
여성들의 외모 콤플렉스는 자본주의 시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여성억압 이데올로기로 구축된다. 상품경제 원리가 지배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여성의 가치를 규정하는 외모 콤플렉스는 곧 이러한 콤플렉스를 극복하려는 욕구를 자극하는 자본과 결합하여 엄청난 미의 산업을 창출함으로써 더욱 엄청난 여성억압 기제로 작용하게 되었다.
자본주의와 매스미디어와의 결합은 여성을 성적인 존재로 재생산해낸다. 여성을 '섹스의 도구'로 표상한다. 그래서 섹시한 외모 추구 의식을 강화시킨다. 결국 드라마는 많은 여주인공들이 유능하고 전문직에 종사함에도 불구하고 아름답고 섹시한 몸매를 은연중에 과시하며 인생 최대의 목적을 남자의 사랑 얻기에 두도록 만든다. 즉 여성들의 자아실현은 남성 안에서 이루어질 때 바람직하다는 이데올로기만이 강화되고 있다.
예시)
SBS
TV ‘라이벌’
정다인(소유진)과 정채연(김민정)은 이 드라마의 주인공이다. 두 사람은 빼어난 외모와 몸매를 지니고 있다. '라이벌'이라는 제목처럼 이 둘은 빼어난 용모와 능력으로 라이벌 관계로서 이 드라마를 이끌어간다. 하지만 정다인의 친구로 나오는 고은세(박경림)는 남성같은 성격에 털털하고 남성들에게서 인기도 얻지 못하는 역으로서 드라마의 재미를 위해 등장한 역할로 부수적이고 주변적인 인물묘사에 그친다.
이 드라마를 본 남성들은 미모가 뛰어나야지 능력 있는 여성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여성들 또한 예쁜 여자들만이 남자에게서 사랑 받을 수 있고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결론」
▣ 대안
1. 개인적 관점
1) 가장 중요한 것은 여성 자신들의 노력이다. 여성문제를 여성자신들이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바꾸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이다. 여성들은 불평등하고 비합리적인 일인지 알면서도 가부장적인 가치관에 묶여서 침묵하는 경우가 있다. 기존의 잘못된 악습은 여 성 한명 한명의 적극적인 해결노력이 있을 때 바꿔질 수 있을 것이다.
2) 드라마를 실제로 만들어 내는 미디어 종사자들의 의식개혁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들은 실제로 드라마 제작에 관여하기 때문에 적절한 의식개혁 운동이나 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드라마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2. 사회적 관점
1) 여성운동 단체를 통한 적극적인 활동을 펼쳐야 할 것이다. 각종 세미나, 강연회, 캠페인 등을 통해서 여성문제의 심각성을 사회적 쟁점으로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2) 앞으로는 이러한 잘못을 범하지 않기 위해서 어린이, 청소년 시절부터 학교나 가정에서 일정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절한 교육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3) 각종 심의기구, 통제기구를 통한 규제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드라마의 경우는 방송심의 위원회 등을 통하여 여성의 인권침해나 불평등을 강력하게 항의해서 이를 시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1.25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4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