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제작][공동제작사례][애니메이션][영화][드라마]애니메이션 공동제작 사례, 영화 공동제작 사례1, 영화 공동제작 사례2, 드라마 공동제작 사례1, 드라마 공동제작 사례2, 향후 공동제작의 제고 방안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동제작][공동제작사례][애니메이션][영화][드라마]애니메이션 공동제작 사례, 영화 공동제작 사례1, 영화 공동제작 사례2, 드라마 공동제작 사례1, 드라마 공동제작 사례2, 향후 공동제작의 제고 방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애니메이션 공동제작 사례
1. 주요 제작과정 주도형 소규모 지분참여형 한·미·일 공동제작
1) 큐빅스의 한․미․일 공동제작 구조 및 배급망
2) 큐빅스 수익 배분 방식
3) 미국 TV애니메이션의 투자유치 및 배급 추진 방식
2. 주요 제작과정 부분 참여형 소규모 지분 투자 형태의 공동제작

Ⅱ. 영화 공동제작 사례1
1. 공동작업
2. 실지조사연구에 대한 준비
3. 공동규약
4.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
5. 녹음재생

Ⅲ. 영화 공동제작 사례2
1. 공동제작 배경­시나리오 상의 요구
2. 공동제작 방식­투자 목적이 강한 공동파이낸싱
3. 공동제작 영화로 인정
4. 공동제작시 고려해야 할 점

Ⅳ. 드라마 공동제작 사례1

Ⅴ. 드라마 공동제작 사례2
1. 비천무 공동제작 현황
1) 프로덕션 현황
2) 기타 제작 특징
2. 비천무 공동제작 장점
1) 원작에 충실한 이야기 전개 가능
2) 중국 및 중화권으로의 시장 확대
3) 사전 전작제 첫 시도
4) 제작비 절감
3. 비천무 공동제작 단점
1) 사전 전작제에 대한 국내 방송사의 기우
2) 외국 배우와 이국적 배경에 보수적일 수 있는 한국 시청자
3) 중국 정부의 사전 심의제도
4) 배우간 언어 장벽 및 후시 녹음과 더빙으로 인한 후반 음향 비용 상승

Ⅵ. 향후 공동제작의 제고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에서도 다음과 같은 의견들이 제일 많았다. ①감동적인 드라마였다. 재방송이나 비디오를 제작했으면 좋겠다. ②원빈의 e-mail 주소를 알고 싶다. ③원빈은 멋있는 한국인이다. ④한글을 몰라서 아쉽다. 이제부터 한글을 배우겠다는 등등의 내용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방영직후 지명관 한일문화교류자문위원회 위원장이 사퇴를 발표하는 일이 벌어졌다. 지 위원장은 사퇴의 변으로 ‘우리 정부와 방송의 원칙 없는 일본문화 수용조치에 항의한다’고 발표했다. 그는 또, 드라마 속에 일본말이 여과 없이 그대로 방영된 데 대하여 MBC 측에도 유감을 표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와는 별도로 한국측 시청자의 반응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첫째로, ①감동적인 드라마였다. 둘째, ②원빈의 매력적인 연기가 좋았다. 셋째, ③빨리 제2의 한일 합작드라마가 기대된다. 넷째, ④후가다교코(深田恭子)가 귀여웠다. 미숙하지만 한국말을 하는 것을 보고 감동을 받았다는 등등의 내용이었다.
이번에는 프렌즈와는 반대로 일본의 남성과 한국의 여성이 결혼하기까지의 과정을 엮은 드라마로 이나가키고로(稻垣吾郞)가 주연으로 등장한 ‘결혼의 조건’이 ‘TV아사히’에 방영되어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한다. 그 밖에도 월드컵을 앞두고 한국의 문화나 생활을 소개하는 특집 프로그램으로는 ‘후지TV’가 아침에 방송하는 ‘와이드 쇼’와 같은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 이미 지난해이긴 하지만 탤런트 윤손하가 NHK에서 ‘다시 한번 키스를’, 후지TV에서 ‘파이팅 걸’에 각각 주연으로 출연하는 한편, 3월에는 NHK의 월드컵 특집프로인 ‘윤손하의 한국기행’에 진행자로 출연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이와 같은 일본 언론의 태도변화에는 신년초 일본천황이 한국계라는 사실을 언론에 직접 털어놓은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고 본다. 이는 월드컵을 겨냥한 다분히 정치적인 발언일 수도 있지만, 신성불가침적으로 일왕을 숭배하는 우익들의 과격한 행동들을 잠재우는데는 상당한 효력을 발휘했다고도 할 수 있다. ‘교과서 문제’에서도 보았듯이 우익집단들은 한국보도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집단으로, 일왕에 대한 보도태도에 따라 언론사에 테러나 폭력을 서슴지 않는 가장 껄끄러운 존재이다. 일본 언론이 일왕 발언에 자극 받아 한국보도가 많아지고 있는 것인지는 속단하기 어렵다. 아무튼 월드컵공동개최가 일본인의 정서를 변화시키고 언론을 변화시켜 한일간의 앙금을 털어 내는데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우호관계가 월드컵 이후에도 지속될 수 있기 위해서는 일본 언론들의 진정한 반성이 전제가 되어야만 가능하다고 본다.
Ⅴ. 드라마 공동제작 사례2
1. 비천무 공동제작 현황
1) 프로덕션 현황
- 자본:한국 제작사/창투사에서 제작비 투자, 중국에서 현물 및 배급권 선 매입을 통한 제작비 투자
- 제작:한국 연출/작가/드라마편 카메라 스탭/ 후반(편집, 음악, 음향, CG작업 등)
홍콩 와이어 액션팀/ 액션편 카메라 스탭
중국 기타 스탭 및 100% 현지 로케이션
- 출연진:주, 조연급(5:5), 엑스트라 중국, 무술팀 홍콩
2) 기타 제작 특징
- 100% 사전 전작제 도입
- 100% 후시 녹음
- 디지털 콘텐츠(HD 영상, 돌비디지털 5.1채널, 데이터방송 채택)
2. 비천무 공동제작 장점
1) 원작에 충실한 이야기 전개 가능
원작 내용이 원나라에 살고 있던 고려 유민들의 이야기
2) 중국 및 중화권으로의 시장 확대
- 중국:프라임 타임대 방영이 가능함으로 인지도 및 수익의 극대화 가능
-중화권 국가:중국 배우와 중국 로케이션으로 문화할인율 최소화, 시청자층 확대
⇒ 한국드라마의 완성도와 한류 스타 출연으로 작품에 대한 기대감 상승 효과
3) 사전 전작제 첫 시도
시간에 쫓기는 열악한 기존 외주제작 시스템에서 탈피, 다양한 시도와 작품의 퀄리티 제고
4) 제작비 절감
- 중국의 저렴한 미술비, 인건비 이용 가능
- 100% 해외 로케이션으로 한국 시청자들에게 이국적이고 다양한 볼거리 제공
- 원작의 내용상, 또한 무협장르 특성상 한·중 합작이 가장 적합한 제작 형태로 판단
3. 비천무 공동제작 단점
1) 사전 전작제에 대한 국내 방송사의 기우
방송 편성권만 확보하는 거래에 대한 반감
2) 외국 배우와 이국적 배경에 보수적일 수 있는 한국 시청자
국적 없는 드라마에 대한 우려
3) 중국 정부의 사전 심의제도
100% 완성본을 심의, 기본적으로 심의 이전에는 해외 방영이 불가하다.
또한, 한국 선 방영 시 해적판 난립 문제 → 이러한 이유로 국내 편성 영업 차질
4) 배우간 언어 장벽 및 후시 녹음과 더빙으로 인한 후반 음향 비용 상승
퀄리티는 상승
Ⅵ. 향후 공동제작의 제고 방안
분명한 목적의식 없이 단순 시장 확대나 수익 극대화를 위해 진행하는 공동제작에는 많은 리스크들이 있다.(ex. 국적 불명의 드라마, 소재의 제약성, 언어 문제, 해외 심의 등…)
하지만, 한류의 지속/확대 및 좁은 국내 시장의 극복을 위해서는 해외 공동 제작이 하나의 솔루션이다.
보수적인 한국 시청자들이 좀 더 외국 배우들과의 협연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면 보다 많은 공동 제작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는 한국 드라마의 일방적 수출로 인해 많은 규제로 대응하고 있는 중국 정부에 우호적으로 작용하여 한국의 자본과 제작 기술이 전 세계가 노리고 있는 세계 최대 시장, 중국 및 중화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분명한 계기가 될 것이다.(2008년 올림픽을 계기로 미디어 시장도 전면 개방)
이에, 한국 방송사들도 좀 더 열린 시각으로 해외 공동 제작 작품에 대해 바라볼 필요가 있으며, 오히려 적극적으로 공동제작에 더 많은 투자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닛케이BP, 변화하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산업, 한울아카데미, 2001
도동준, 영화산업 인수합병 현황, 영화진흥위원회 정책연구팀, 2004
스크린쿼터제와 한국영화산업, 1998
작자다수, 이것은 애니메이션이 아니다, 문학과 경계사, 2002
최용배 외, 온라인 영화시장의 유통현황과 수익구조 개선을 위한 연구, 영화인회의, 2005
황선길, 애니메이션 영화사, 범우사, 1998
  • 가격6,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10.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9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