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에이지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뉴에이지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뉴에이지 음악이란

2. 뉴에이지의 기본 사상

3. 뉴에이지 운동

4. 일상생활속의 뉴에이지 운동

5. 특성에 의한 뉴에이지음악의 구분

6. 기독교와의 관계

7. 뉴에이지의 개념

8. 뉴에이지 영화

본문내용

. 이러한 뉴에이지의 운동의 흐름은 현대인의 생활 속에도 자연스럽게 파고들어 확산되는측면이있다. 예를 들면, 클래식과 팝뮤직의 조화를 이루고 있는 뉴에이지음악은 심리치료, 스트레스해소,명상음악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인간 의식의 무한한가능성을 확장개발함으로써 신격화된 비신앙적 내용을 담고 있는 《배꼽》
《히말라야 성자들》 등의 뉴에이지 계열의 책들도 일반 대중에게 널리 읽히고 있다.
무드음악, 또는 환경음악, 더 나아가 듣기에도 부담 없고 청소년들의 정서에도 해가 되지않는다는 점에서 무공해 음악이라고까지 부른다. 또는 비트가 없는 서정성 깊은 음악,동양적 명상음악으로 설명되기도 하지만 그 음악적 특성상정확한 정의를 내리기에는 무리가 있다. 오늘날 대중음악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감각적인 록(rock) 음악에 반감을 느낀음악가들이 동양의 신비적이고 즉흥적인 음악에 매료되어 그러한 동양적 신비감과 정적인 분위기를 주로 고전음악이나 포크음악에 사용되는 어쿠스틱 악기나 신시사이저와 같은 최첨단 전자악기를 이용해 동서양의 교감을 실현하고자노력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1980년대 초부터 시작된 뉴에이지 음악은 고전음악의 위선성과 대중음악의 경박성을 넘어선 음악, 다른 말로 고전음악의 난해함과 대중음악의 기계음을 탈피한 자연의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음악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재즈의자연스런 리듬과 멜로디와 결합해 형성된 뉴에이지 음악도 있는데 그 중 재즈의 요소가 강한 것은 또다시 퓨전 재즈(fusion jazz)로 분류된다.
대표적인 연주가로는 피아니스트 조지 윈스턴, 플루트 주자 폴 혼, 하프 주자 안드레아스 폴렌바이더 등이 있다. 1986년부터 그래미상에 '뉴에이지 음악' 부문이 신설됨으로써 하나의 음악 장르로 정착되었다.
8. 뉴에이지 영화
*뉴에이지 영화를 구별하는 법
1. 성령이 아닌 어떤 영혼과의 만남을 시도하는 영화.
(코미디이든 아니든 간에 접신을 강조한 영화는 조심)
2. 성서의 내용을 주제로 하거나 소재로 하되 전혀 다른 내용을 다룬 영화.
(레이더스- 하나님의 법궤에서 악령이 나옴 . 오멘-계시록의 666을 오히려 사탄이 승리하는
쪽 으로 묘사)
3. 구원에 대한 그릇된 가르침을 내포한 영화.
(인간의 노력이나 다른 종교를 통해 구원에 이를수 있다는 내용이 담긴영화)
4. 부활이 아닌 환생을 보여 주는 영화.
5. 그리스도를 부인하거나 왜곡시키는 영화.
(프랑스의 자존심을 걸고 만들었다는 "아름다운 이야기"나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
"몬트리올 예수" 같은 영화)
6. 하나님만이 할 수 있는 일을 인간이나 다른 신이 할수 있음을 보여주는 영화.
(미녀와 야수- 여자의 눈물이 죽은 인간을 살림 . E.T가 손의 빛으로 상처를 치유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경우)
* 뉴에이지 영화를 평가하는 중요한 판단 근거- ccm look 97년 3월호 발췌
1) 작가나 제작자의 사상적 배경을 검토해 볼 것/
작가나 제작자가 분명한 뉴에이저인지 아닌지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판단근거가 됩니다.혹자는 뉴에이지적인 요소를 영상에 표현했을지라도 그 자신은 뉴에이저가 아닌, 단순한 모방의 차원에서 그런 표현들을 사용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작가나 제작자가 분명한 뉴에이저로서 의도를 가지고 그런 표현들을 사용했다면 문제는 달라집니다. 3부작 드라마로 방영되었던 "Out on a Limb"(한국에서는 '셜리맥클라인의 사랑과 예술'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음)의 경우, 원작자이며 그 드라마의 실제 주인공ㅇ니 셜리 매클레인은 전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뉴에이저 중의 한 사람입니다. 채널링(접신술), 촛불 명상, 유체이탈 등이 나오는 이 작품은 그녀가 어떤 경로로 뉴에이지 운동에 몰입하게 되었는지를 알려줍니다.
2) 작품 속에 표현된 뉴에이저 요소들이 단순히 유행하는 그 시대 문화의 한 단면을 반영한 것인지 아니면 뉴에이지 사상을 전파하기 위한 의도적인 것인지를 구별할 것'라이온 킹'의경우 원숭이 래피키가 이소룡 흉내를 내며 무찌르고, 손가락을 동그랗게 한 채 앉아서 참선하는 장면이 등장합니다. 전체적인 맥락에서 볼 때 이런 모습들은 뉴에이지 사상을 전파하기 위한 의도라기 보다는 서구 사회에 유행하는 동양무술의 인기를 코믹하게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일부에서는 이 영화의 줄거리를 적 그리스도적인 시나리오와 관련하여 평가하지만 그것은 설득력이 약해보입니다)
3) 작품속의 뉴에이지 요소가 출연자나 감독에 의해 어느 만큼 실제적으로 표현되 었는지를 살펴볼 것/
'사랑과 영혼'의 경우 여주인공 데미무어는 영화 속의 채널링(접신술)을 표현하기 위해 파파페트로스라는 유명한 뉴에이저를 만나 실제적인 채널링을 훈련받았습니다. 그러므로 이 영화에서 표현되는 채널링은 단순한 모방이 아닌 실제적인 것이고 이런 것은 그 영화의 뉴에이지 성향을 더욱 강하게 합니다.
4) 작품 전체의 줄거리가 무엇을 지향하는지를 살펴볼 것/
어떤 작품은 부분적으로 뉴에이지적인 요소가 있어도 전체적인 줄거리는 뉴에이지와 무관한 반면, 어떤 것은 뉴에이지적인 요소가 별로 없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줄거리를 볼 때 뉴에이지적인 세계관을 반영합니다. 영화 'E.T'의 경우 부분적인 뉴에이지 요소의 표현보다는 뉴에이지적인 세계관을 지향하는 전체적인 줄거리에 초점을 두고 감상해야 합니다. 호주의 한 잡지는 'E.T'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합니다.
"'E.T'는 차라리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재치있게 비유했다. 갓 태어난 아이처럼 'E.T'는 자신이 낯선 세계에 홀로 있음을 발견한다. 'E.T'에게는 죄가 없지만 관원들은 'E.T'를 죽이려고 애를 쓴다. 'E.T'는 만나는 사람들에게 사랑과 연민을 안겨준다. 결국 'E.T'는 소년 엘리어트를 위해 자기 생명을 바치며, 부활의 기쁨을 누리면서 자기 적들의 손아귀에서 벗어나 조상들에게로 올라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를 뉴에이지라고 분류하는데 점수를 낮게 주는 것은 제작자 스티븐스필버그가 명백한 뉴에이저는 아니라는 것, 또 그가 이 영화를 뉴에이지 사상을 전파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만든것이 아닌, 단순한 흥미의 차원에서 만들었다는 것을 고려할 때입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11.26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6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