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안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상안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수상안전
1. 수상안전지식
2. 수상안전 일반상식
3. 선박해상안전

Ⅱ. 수상구조
1. 자연지물구조
2. 수영구조
3. 인명구조법

Ⅲ. 심폐소생술
1. 심폐소생술의 역사적 배경
2. 심폐소생술의 의의
3. 심폐소생술의 개념
4. 심폐소생술의 목적
5. 심폐소생술의 기본 3 단계
6. 심폐소생술 수기의 원칙
7. 방 법

본문내용

다른 곳의 자세도 똑같이 중요하다. 가슴에 댄 손이 제자리에 있도록 하고 팔을 곧게 뻗어 어깨 는 환자의 흉골 바로 직상방에 오도록 하며 이렇게 하면 흉곡에 가해 지는 압력이 수직으로 전달되어 환자의 생명을 유지할 수 있고 구조 자의 힘도 최소한으로 최대의 효과를 올릴 수 있다.
(나) 압박부위 선정
심폐 소생술에서 환자의 맥박이 없다면 즉시 흉부 압박을 실시해야 하 는데 이때 구조자의 손과 몸의 자세를 정확히 함으로써 흉부 압박의 효 과는 상승되고 환자에 부상의 위험성은 감소된다. 따라서 흉부 압박법의 정확한 압박 위치는 흉골의 하방 1/2 지점이다. 또한 흉부 압박을 할 때 는 검상돌기(xiph- oid)를 누르게 되면 간에 손상을 주어 심한 내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때 환자는 수평으로 하고 가능한 다리를 올려주어 혈액 순환이 잘 되도록 한다.
3) 흉부압박 (심장 마사지)
심장 맛사지에는 흉벽을 압박하는 외적 심장 맛사지와 개흉을 해서 심 장을 직접 맛사지하는 내적 심장 맛사지의 두 가지 있는데 특별한 경우 가 아니면 외적 심장 맛사지를 실시하는게 순환유지를 위해서 압박할 준 비가 되었다면 압박을 위해 흉골에 압력을 가한다. 성인은 1.5∼2 inches(4∼5 cm) 소아는 1∼1.5 inches(3∼4cm)정도 누른다. 흉부압박 을 규칙적으로 부드럽게 멈추지 말고 실시한다. 효과적인 혈액을 순환시 키기 위하여 압박 시간과 이완 시간을 같게 해야 하며 압박과 압박 사이 에 구조자의 손을 떼지 말고 그대로 두고 실시한다. 실시요령은 하나 그 리고 둘 그리고 셋 하는 식으로 큰 소리로 세어 가면서 속도와 박자를 유지해야 하며 이렇게 하므로써 압박 시간과 이완 시간을 똑같이 유지하 는데 도움이 되며 청각적으로도 효과를 올릴 수 있다.
흉골에서 손바닥이 떨어지면 안될 것이며 어떤 일이 있어도 손의 위치 가 변하거나 가슴에서 손이 떨어져서는 안된다. 만약 손이 움직였다면 다 시 정확한 위치에 손을 올려야 하고 반드시 제자리인가를 재확인해야 한 다.
심장 압박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환자를 단단한 바닥에 눕히며 부드러운 바닥은 가슴을 누를 때마다 압박의 효과를 떨어뜨린다. 환자가 침대 위에 있다면 환자 아래에 판자를 넣거나 환자를 방바닥에 눕혀야 한다. 압박을 잘 하더라도 정상적인 심장의 단지 1/4∼1/3 정도밖에 피 를 보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흉부압박은 대단히 중요하다. 압박은 부 드럽고 규칙적으로 박자를 맞추어서 하여야 하고 중단하여서는 안된다. 또한 일회 압박이란 압박과 이완을 한 번 의미하는 것이란 사실을 알아 야 한다.
소아와 성인에서 압박횟수는 분당 80∼100회의 속도로 하며 흉부압박을 더 빠른 속도로 압박을 하면 뇌와 심장으로 가는 혈류를 증가시키며 압 박시간과 이완시간을 같게 하기가 더 쉬우며, 천천히 숨을 불어 넣을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하겠다.
4)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의 결합
성공적이고 효과적인 심폐 소생술을 실시하려면 먼저 인공호흡을 같이 해야 그 효과를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산소가 포함되지 않는 혈액을 흉부 압박으로 순환을 시켜도 별 의의가 없다. 인공호흡을 겸용해서 흉부 압박 을 실시해야 소정의 효과를 올릴 수 있다.
(가) 1인 심폐 소생술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장소에 따라 구조자가 혼자일 때가 더 많을 수도 있다. 예기치 않았던 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당황할 필요가 없다. 응급구조자는 평소대로 기호순(A, B, C)으로 심폐 소생술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실시한다면 환자의 생명을 구조할 수 있을 것이다.
1인 심폐 소생술에는 인공호흡대 흉부압박을 2:15의 비율로 실시한다. 먼저 응급 구조자는 기도 유지와 이물을 제거하고 인공호흡을 2회 실시 하고 곧 흉부압박을 15회 실시한다.
인공호흡을 하는 동안 흉부압박은 멈추게 되므로 흉부압박의 횟수는 80∼100회/분의 속도로 실시해야 최소한 분당 60회 정도의 흉부압박을 제공할 수가 있다. 따라서 1인 심폐소생술의 실시 요령은 다음과 같다.
① 일정한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위하여 흉부압박을 할 때마다 적당 한 구령을 붙인다.
② 3∼5초에 걸쳐 2회의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③ 인공호흡 2회 실시 후 곧 15회 흉부압박을 연속 실시한다.
④ 수분마다 심폐 소생술을 중단하고 호흡 및 경동맥의 맥박을 확인한 다.
(나) 2인 심폐 소생술
1인 심폐 소생술의 호흡과 압박을 2인이 서로 분담하는 형태로 2인 심 폐 소생술은 병원 또는 응급의료에 종사자들이 많이 사용되는 기법이다. 심폐 소생술을 교육받은 일반인이나 응급구조자가 두 사람씩이나 동시 에 현장에 있을 확률은 아주 적다. 따라서 1인 심폐 소생술을 완벽히 익 혀두는 것이 중요하다. 2인 심폐 소생술은 두 사람의 응급 구조자가 있 을 때 즉 현장에 도착했을 때 실시하는 기법으로 이미 기본 소생술은 숙달했다고 가정했을 때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① 기도 확보 : 기도 확보는 먼저 인공 호흡자 번인 사람이 한다. 번 사람은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똑바로 눕히고 기도를 확보한다. 기 도 확보는 두부 후골법(head tilt - neck lift)이나 턱밀어 올리기법 (jaw-thrust) 또는 경추의 부상이 의심될 때는 변형 턱밀어 올리기법 (modified jaw - thrust)을 사용한다.
② 호흡 : 번 구조자는 환자에게 두 번 천천히 숨을 불어 넣고 가슴이 올라가는지를 관찰하고 인공호흡과 인공호흡 사이에 폐에서 공기가 빠져 나가도록 한다.
③ 순환 : 구조자 번은 흉부 압박을 80∼100회/분당 실시한다. 이때 인공 호흡대 흉부압박은 1 : 5의 비율로 실시한다.
④ 구조자의 위치 : 구조자는 번 사람이 번 사람과 같은 쪽에서도 할 수 있고 그 반대쪽에서도 즉 양쪽에서도 할 수 있다.
⑤ 임무 교대 : 번 사람이 지치면 임무 교대를 요청하며 번 사람은 임 무 교대라고 소리치며 하나 그리고 둘, 그리고 셋, 그리고 넷, 그리 고 다섯, 그리고 호흡이라고 말한다. 이때 번 사람은 다음 호흡에 임 무 교대를 하고 이와 비슷하게 박자를 맞추어 한 주기가 끝날 때 임 무 교대를 한다(1회 호흡/5회 압박).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03.11.27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7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