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전략 무기 수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전략 무기 수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북한의 전략무기 개발수준
1) 핵 개 발
2) 화생무기
3) 중·장거리 무기

[북한의 전략무기: 미사일편]-스커드/대포동
1. 스커드 B/스커드 C
2. 노동 1호
3. 대포동 1호
4. 북한의 미사일 기술수준

북한의 화학무기 보유 세계 3위 (조선일보 2000/05/10)

북한의 무기밀매

미국 무기 `악의 축`에 밀수출

본문내용

카의 분쟁지역과 전세계의 범죄집단에 밀수출 하고있다.
북한은 지난 80년대부터 사거리 300~500km스커드 B.C 미사일을 제조, 중동지역등에 밀수출 해 왔으며 러시아 이즈베스티야지 보도(99.9.14)에 의하면, 북한이 99년초 이란과 시리아 파키스탄 등지에 기술자를 파견하여 미사일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고 한다
이와같이 북한정권이 무기밀매에 주력하는 것은 무기 수출이 총 수출액의 30% 이상을 점유하여 주요한 외화획득 수단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무기 '악의 축'에 밀수출
USA 투데이 보도
미국 내 무기 밀매업자들이 조지 W 부시 미대통령이 '악의 축'으로 지목한 이란.이라크.북한 3국에 수백만달러 상당의 무기를 불법 수출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미국 일간지 유에스에이 투데이가 19일 보도했다.
신문은 "1995년 이후 미연방 법원에 접수된 40여건의 관련 사건을 검토한 결과 이란.이라크.북한에 무기를 공급하는 미국 내 밀수출업자들이 F-14 전투기 부품.피닉스 공대공 미사일 부품 등을 확보했거나 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또 "90년대 중반 이후 불법무기 거래규모는 대략 1천만달러로 추정되며, 이 가운데는 1천2백만달러 어치의 미군 헬리콥터 노후기종 34대를 밀수입하려는 대형 사건도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무기 밀매업자들은 위장 외국회사를 내세워 최종 목적지를 속이는 수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기밀매를 단속하기 어렵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미국 관세청의 러버트 보너 국장은 "9.11 테러 이후 테러범이나 적성국에 무기가 유출되지 못하도록 단속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1.27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