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에 관한 조사자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요에 관한 조사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가) 산발적 조사에 의한 민요 조사 성과물
(나) 개괄적 조사에 의한 민요 조사 성과물
(다) 집약적 조사에 의한 민요 조사 성과물
(라) 체계적 조사에 의한 심층적 민요 조사 성과물

3. 결론

본문내용

서의 일부다.
김영대 『제주도민요연구』(上)(일조각, 1965)
저자가 직접 수집한 제주도 민요 1,403편을 노동요, 타령, 동요의 세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편마다 찬자를 밝히고, 제주도 특유의 어법과 단어들을 표준어로 대역하여 놓았다.
강원도에서 실시한 『강원의 민요』Ⅰ(춘천 : 2001)
삼척문화원에서 실시한 『삼척민속지』1-5(삼척 : 삼척문화원, 1990-1997)
제주도청에서 실시한 『제주의 민요』(제주 : 제주도청, 1990)
남제주군청에서 실시한 『우리 고장 전래 민요』(서귀포 : 남제주군청, 1995)
강등학·이영식의 『양양군의 민요자료와 분석』(서울 : 민속원, 2002)
등은 체계적 조사를 표방하고 심층적 차원의 조사성과물을 드러낸 대표적 성과물이다.
(라)의 성과물은 텍스트를 보일 것인가 아니면 텍스트와 콘텍스트를 동시에 보여주어야 하는가 자료 조사와 정리의 방법적 차원에 고민을 안겨준다. 전자의 사례로 『한국민요대전』을 들 수 있고, 후자의 사례로 『양양군의 민요자료와 분석』을 꼽을 수 있다.
결론
앞으로의 연구는 철저한 현지조사에 입각해서 연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하자면 위의 자료조사 가운데 단일한 주제를 선정해서 집약적인 조사에 의한 연구와 보편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주제를 선정해서 체계적인 연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국적인 차원의 조사와 특정 지역 차원의 조사를 겸용해서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단계에서 할 수 있는 최상의 조사 방법은 성실하고 내실이 있는 연구 주제를 선정해서 지속적이고 밀착적인 현지조사를 신중하게 하는 것이 유일한 대안이다.

키워드

민요,   조사,   공무도하가,   구지가,   민요,   한국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1.27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