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브룩의 연극관과 《마하바라타》 제작의 의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피터 브룩의 연극관과 《마하바라타》 제작의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피터 브룩의 연극관과 《마하바라타》 제작의 의의
1. 피터 브룩의 연극관
1) `성스러운 연극`
2)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
3) 영적 교감
2. 《마하바라타》제작
1) 제작 의도
2) 연출 컨셉
3) 공연의 의의

Ⅲ. 결론

본문내용

《마하바라타》는 단순히 주제에 대한 신선함보다는 인간의 모든 경험 속에서 본질적인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객관적인 표현에 그 목적을 두었다.
그 작업은 세계의 진실한 감정 속에 있는 셰익스피어적인 것이다. 그것의
형식은 근본적으로 인도의 것이지만 우주적인 갈등과 이상에 기초한 것이다.
) Richard Schechner, 앞 의 글, 61쪽.
《마하바라타》는 인도라는 세계의 한 부분에만 머무는 것이 아닌 세계적이고도 동대적인 연극을 추구하였다. 브룩은 자신의 《마하바라타》에 대해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진실로 마하바라타는 파괴적인 것이다. 그것이 시작될 때 마하바라타는
분명히 신에 관한 문제이며, 실제로 우리와 관련되지 않은 상상적이고
유혹적인 이야기라는 인상을 준다. 그러나 조금씩 신화적 인물들이 하
강하면서 그들은 욕망 전투 사랑 자만심의 갈등을 포함하고 있다. 신화
는 연극이 되며, 인류가 존재하는 한 끝없이 계속되는 전쟁이다.....고로
《마하바라타》는 우리시대의 것이다.
) 위와 같음.
3) 공연의 의의
신화는 원형적, 상징적, 원초적인 것을 정의해 주고 인간의 공통된 행동, 꿈, 환상을 노출 시킴으로써 사람들을 하나의 인간군으로 결합시키며 인간에게 이상과 반이상을 제공하며 인간의 조건과 불변하는 인간의 속성을 묘사한다.
) Croyden,앞의 책, 90쪽 참조.
이러한 신화의 속성은 인간에게 '보이지 않는 세계'를 경험하게 하는데 중요한 원천이 된다. 인류의 원천적이고도 보편적인 세계를 나타내고 있는 신화를 통해 우리가 의식적으로 다가갈 수 없는 집단 무의식과 원형의 세계, '보이지 않는 세계'를 경험할 수 있게 된다.
피터브룩은 〈마하바라타〉가 신화의 원형적인 위치와 더불어 예언자적 위치도 지닌다고 보았다.
) Christopher Innes, 『아방가르드 연극의 흐름』, 김미혜 (역), (서울: 현대 미학사, 1996), 231쪽.
〈마하바라타〉에서 보여주는 전쟁의 파괴적인 양상이 현대 사회를 가장 잘 반추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브룩은 《마하바라타》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삶의 경이로움을 경험하게 하고 현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파괴에 관해 경각심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이것이 바로 그가 말한 '성스러운 연극'의 실현이었다. '성스러운 연극'에서 신화적 시간을 살아나게 한다면 배우와 관객은 거룩한 시간을 체험하게 되고 그 체험은 그들에게 삶의 활력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마하바라타〉에는 인도인들의 꿈, 환상, 무의식의 세계, 신의 세계가 잘 나타나 있기 때문에 현대인들은 그 신화를 통해 '보이지 않는 세계'를 경험하게 해줄 수 있는 좋은 소재인 것이다. 또한 〈마하바라타〉에서의 전쟁은 단순히 먼 나라의 신화 속의 얘기에 머무르지 않는다. 오늘날에도 세계 곳곳에서 자행되고 있는 전쟁과 파괴의 이야기인 것이다. 피터브룩은 이러한〈마하바라타〉의 메시지를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제시하고 싶었다. 《마하바라타》연극의 공연을 통해 현대인들이 현대사회의 위기를 직시하고 그 위기 가운데서 자신들의 길을 찾기를 바랬던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피터 브룩의 연극관과 '성스러운 연극'의 구체적인 노력의 산물인 《마하바라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브룩은 신화의 원형성을 지니면서 현대사회의 파괴성에 대해 반추해 볼 수 있는 <마하바라타>의 소재를 그대로 놔두지 않았다. 성서의 15배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을 연극화하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브룩은 자신이 추구하는 '성스러운 연극'을 실현하기 위해서《마하바라타》를 현대인에게 제시했다. 브룩은 '보이지 않는 세계'의 경험을 통해 현대사회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현대인이 자각하기를 원했던 것이다. 브룩은 연극을 관람하기 전과 관람하고 난 후에는 다른 사람이 되어 있기를 바랬던 것이다. 마치 원시시대의 제의처럼 모두가 그 속에 참여하여 '보이지 않는 세계'를 경험함으로써 같은 곳을 바라보기를 꿈꾸었던 것이다. 그에 대한 노력이 바로 《마하바라타》인 것이다.
참고 문헌
*1차 문헌
Brook, Peter ,『열린문』, 허순자 역,서울:평민사, 1996.
, 『빈 공간』, 김선 역, 서울: 청하 출판사, 1998.
,『The Shifting Point』, New York : Harper & Row ,1987 .
*2차 문헌
- 외 국 문 헌 -
Cohen, Paul B .「Peter Brook and the 'Two Worlds' of Theatre」,
New Theatre Quarterly, 26 , 1991년 5 월. .
Gibson , Michale . 「Brook's Africa」, The Drama Review,ⅩⅦ , 1973 년 9월.
Heilpern , John . 『Conference of the Birds: The Story of Peter B rook in Africa』 , Methuen,1994 .
Schechner , Richard . 「 The Mahabharata:Talking with Peter Brook 」 , The Drama Review , XXX ,1986 년 3 월. .
- 번 역 문 헌 -
Croyden , Margaret .『20세기 실험극』, 송혜숙(역), 서울: 현대미학사, 1994.
Innes ,Christopher. 『 아방가르드 연극의 흐름』, 김미혜 역, 서울: 현대 미학사, 1996.
-학위 논문-
김상교, 「피터 브룩의 연출특성에 관한 연구」,경성대 석사, 1993.
김용일, 「피터 브룩의 'orghast '공연분석을 통해 본 비 화술 언어의 의사소통」 한양대 석사, 1991.
배은영,「피터 브룩(Peter Brook)의[마하바라타 Mahabharata]공연에 나타난 연극언어(theatre language) 연구」,한양대 석사,1998.
손지나, 「피터 브룩의 셰익스피어에 대한 현대적 접근방법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한 여름밤의 꿈'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석사, 2000.
홍인표, 「피터 브룩의 '한 여름밤의 꿈'에 나타난 신체적 접근을 통한 역 할 창조 연구」동국대 석사, 1996.
  • 가격1,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3.11.28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51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