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전통 건축의 실정)
기와
<그림1>
기와의유래
지붕
지붕의종류
①맞배지붕
<그림2>
②팔작(합각)지붕
<그림3>
③우진각지붕
<그림4>
④솟을지붕
<그림5>
ꊍ기타
기와
<그림1>
기와의유래
지붕
지붕의종류
①맞배지붕
<그림2>
②팔작(합각)지붕
<그림3>
③우진각지붕
<그림4>
④솟을지붕
<그림5>
ꊍ기타
본문내용
기와집의 경우에 있어서 지붕의 모양은 집의 격식을 대변해 준다. 지붕의 모양은 가구(架構)에따라 달라진다. 맞배지붕은 삼량식으로도 가능하지만 팔작지붕의 경우에는 오량식가구 구조를 갖아야만 만들 수 있는 지붕이다. 지붕의 형태에는 기본적으로 맞배 지붕,팔작지붕,우진각 지붕, 솟을지붕이 있다
①맞배지붕
<그림2>
맞배지붕은 삼량가구식으로 구성된지붕으로 두 개의 지붕면이 용마루를 사이에 두고 A자형태로 구성된 지붕으로 주로 행랑이나,헛간과 같은 부속채에 주로 사용 한다.
②팔작(합각)지붕
<그림3>
의장적인 요소가 강한 팔작지붕은 건물의 규모가 크거나 격식을 차릴 때 사용하는 지붕의 형태로 사변에 추녀가 만들어지면서 지붕 측면에 합각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색이다. 주로사랑채,사당등에 사용 하였다.
③우진각지붕
<그림4>
우진각지붕은 건물의 4면에 처마를 두는 형식이다. 용마루의 길이가 짧고 측면에서 보면 경사가 완만한 사다리꼴 모양을 하고 있다.은 것이 특징이다.
④솟을지붕
<그림5>
팔작지붕과 맞배지붕이 결합한 형태의 지붕이다.
기타
이외에도 용마루가 한곳에서 만나는 삿갓지붕,육모,팔모지붕이 있으나 이런 형태의 지붕은 일반 주택에서는 사용 되지 않았다.r
①맞배지붕
<그림2>
맞배지붕은 삼량가구식으로 구성된지붕으로 두 개의 지붕면이 용마루를 사이에 두고 A자형태로 구성된 지붕으로 주로 행랑이나,헛간과 같은 부속채에 주로 사용 한다.
②팔작(합각)지붕
<그림3>
의장적인 요소가 강한 팔작지붕은 건물의 규모가 크거나 격식을 차릴 때 사용하는 지붕의 형태로 사변에 추녀가 만들어지면서 지붕 측면에 합각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색이다. 주로사랑채,사당등에 사용 하였다.
③우진각지붕
<그림4>
우진각지붕은 건물의 4면에 처마를 두는 형식이다. 용마루의 길이가 짧고 측면에서 보면 경사가 완만한 사다리꼴 모양을 하고 있다.은 것이 특징이다.
④솟을지붕
<그림5>
팔작지붕과 맞배지붕이 결합한 형태의 지붕이다.
기타
이외에도 용마루가 한곳에서 만나는 삿갓지붕,육모,팔모지붕이 있으나 이런 형태의 지붕은 일반 주택에서는 사용 되지 않았다.r
추천자료
기후지역에 따른 건축사례 (토속 건축)
박물관 건축(김수근 건축가)
국내 건축가 10인 국외 건축가 20인 조사
(세계의도시와건축)[건축의 사회사 - 산업혁명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 서평
(건축)고대그리스 건축과 조각의 연대별 보고서(사진파일 포함)
[신고전주의 건축][신고전주의][신고전주의 조각][신고전주의 미술][르네상스]신고전주의의 ...
[건축] 대학에서의 건축교육의 이상적인 방향
[공간][건축공간][사찰공간][도시공간][공간배경][공간구조][공간혁명][공간배열][공간에너지...
[생태보전, 접경지역, 청소년수련관, 국방부, 친환경건축, 생태]생태보전과 접경지역, 생태보...
[서양, 식탁매너(식사예절), 주거환경, 건축, 교육, 도서관, 국가관]서양의 식탁매너(식사예...
[생태, 민주주의, 건축활동, 소비생활, 교육개혁, 자율자치공동체, 동양사상]생태적 민주주의...
[건축역사_식민지시대 이후 주거의 역사]개항과 서구 건축양식의 유입, 식민지시대 토막민의 ...
[현대건축] 건축가, 알바로 시자 (Alvaro Siz) & 에두아르도 소토 드 모라 (Eduardo Sout...
프랭크 게리의 건축 Technology,Process 그리고 건축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