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회화
Ⅱ. 가정환경
1. 다양한 가족 구조
2. 긍정적 가족 기능
3. 사회적 힘과 정책이 가족 체계에 미치는 영향
4. 가족 체계의 역동
Ⅲ. 가족 생활주기
Ⅳ. 학습이론
1. 반응적 조건형성(respondent conditioning) or 고전적 조건형성
2. 모방(modeling)
3. 조작적(도구적, 작동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
Ⅴ. 학습이론의 적용
1. 정적 강화의 사용
2. 처벌의 사용
Ⅱ. 가정환경
1. 다양한 가족 구조
2. 긍정적 가족 기능
3. 사회적 힘과 정책이 가족 체계에 미치는 영향
4. 가족 체계의 역동
Ⅲ. 가족 생활주기
Ⅳ. 학습이론
1. 반응적 조건형성(respondent conditioning) or 고전적 조건형성
2. 모방(modeling)
3. 조작적(도구적, 작동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
Ⅴ. 학습이론의 적용
1. 정적 강화의 사용
2. 처벌의 사용
본문내용
등에 적용.
① 두려워하는 대상에 점진적 노출
② 두려움과 양립할 수 없는 반응 학습.
2. 모방(modeling)
3. 조작적(도구적, 작동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
1) 행동의 ABCs
·선행사건(antecedents)
·행동(behavior)
·결과
2) 강화
. 정적 강화
. 부적 강화
3) 처벌
4) 소거
Ⅴ. 학습이론의 적용
1. 정적 강화의 사용
1) 정적 강화의 유형
. 일차 강화물 (primary reinforcers)
. 이차 강화물 (secondary reinforcers)
① 물질(구체적) 강화물과 비식품 소모품
② 활동
. 선호행동의 위계(Premack)
. Premack Principle
③ 사회적 강화물
. 언어적 칭찬
. 신체적 칭찬
④ 토큰
2) 강화 vs 보상
3) 정적 강화 사용을 위한 제안
(1) 정적 강화의 질(quality)
(2) 정적 강화의 즉각성(immediacy)
(3) 정적강화의 빈도(frequency)
. 간헐적 강화(intermittent reinforcement)
(고정간격계획, 변화간격계획, 고정비율계획, 변화비율계획)
(4) 행동 형성(shaping behavior)
2. 처벌의 사용
1) 처벌의 부정적 결과
① 부정적 감정을 일으킬 수 있음. 학습 상황을 싫어하게 될 수 있음.
② 처벌한 사람이나 그 상황을 회피하게 됨.
③ 아이들이 공격적으로 될 수도 있음.
④ 신체적 처벌의 경우 신체적 해를 입힐 수 있음. .
⑤ 처벌은 하지 말아야 할 것은 가르쳐 주지만 무엇을 해야할 지에 대한 지침을 주지 못함.
2) 처벌의 효과
3) 처벌의 특성
① 처벌이 가해진 직후 행동의 빈도가 감소.
② 처벌의 효과는 오래 지속되지는 못함.
③ 처벌하는 상황에서만 효과가 있음. 처벌이 일어난 구체적 상황이나 처벌한 사람의 경우에만 효과가 있음.
4) 처벌의 선별적 사용
① 자기파괴적 행동 즉, 아이에게 위험한 행동을 제거하는데 사용
② 적절한 행동을 강화할 수 있도록 특정 문제 행동을 멈추게 할 만한 다른 방법이 없을 때.
5) 처벌 사용에 대한 제안
① 초기에 개입해야 함. 즉, 처벌할 만한 행동을 하면 즉시 처벌해야 함.
② 처벌 대상 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처벌.
③ 처벌을 하는 동안에 조용하고 차분하게.
④ 처벌과 동시에 다른 적절한 행동을 강화시키기 위한 보조 프로그램이 같이 사용되어야 함.
① 두려워하는 대상에 점진적 노출
② 두려움과 양립할 수 없는 반응 학습.
2. 모방(modeling)
3. 조작적(도구적, 작동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
1) 행동의 ABCs
·선행사건(antecedents)
·행동(behavior)
·결과
2) 강화
. 정적 강화
. 부적 강화
3) 처벌
4) 소거
Ⅴ. 학습이론의 적용
1. 정적 강화의 사용
1) 정적 강화의 유형
. 일차 강화물 (primary reinforcers)
. 이차 강화물 (secondary reinforcers)
① 물질(구체적) 강화물과 비식품 소모품
② 활동
. 선호행동의 위계(Premack)
. Premack Principle
③ 사회적 강화물
. 언어적 칭찬
. 신체적 칭찬
④ 토큰
2) 강화 vs 보상
3) 정적 강화 사용을 위한 제안
(1) 정적 강화의 질(quality)
(2) 정적 강화의 즉각성(immediacy)
(3) 정적강화의 빈도(frequency)
. 간헐적 강화(intermittent reinforcement)
(고정간격계획, 변화간격계획, 고정비율계획, 변화비율계획)
(4) 행동 형성(shaping behavior)
2. 처벌의 사용
1) 처벌의 부정적 결과
① 부정적 감정을 일으킬 수 있음. 학습 상황을 싫어하게 될 수 있음.
② 처벌한 사람이나 그 상황을 회피하게 됨.
③ 아이들이 공격적으로 될 수도 있음.
④ 신체적 처벌의 경우 신체적 해를 입힐 수 있음. .
⑤ 처벌은 하지 말아야 할 것은 가르쳐 주지만 무엇을 해야할 지에 대한 지침을 주지 못함.
2) 처벌의 효과
3) 처벌의 특성
① 처벌이 가해진 직후 행동의 빈도가 감소.
② 처벌의 효과는 오래 지속되지는 못함.
③ 처벌하는 상황에서만 효과가 있음. 처벌이 일어난 구체적 상황이나 처벌한 사람의 경우에만 효과가 있음.
4) 처벌의 선별적 사용
① 자기파괴적 행동 즉, 아이에게 위험한 행동을 제거하는데 사용
② 적절한 행동을 강화할 수 있도록 특정 문제 행동을 멈추게 할 만한 다른 방법이 없을 때.
5) 처벌 사용에 대한 제안
① 초기에 개입해야 함. 즉, 처벌할 만한 행동을 하면 즉시 처벌해야 함.
② 처벌 대상 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처벌.
③ 처벌을 하는 동안에 조용하고 차분하게.
④ 처벌과 동시에 다른 적절한 행동을 강화시키기 위한 보조 프로그램이 같이 사용되어야 함.
추천자료
아동발달전북과학대(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인지발달을 읽고 Piaget의 인지발달에 대해 설명...
프로이드, 에릭슨, 피아제 이론의 각 발달단계의 특성을 신생아기, 유아기, 아동기, 성인기로...
유아기 & 초기아동기 이상행동
유아기 & 초기아동기 이상행동
유아기, 아동기에 처음으로 진단되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미시...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인지발달을 읽고 Piaget의 인지발달에 대해 설명.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태내기, 영유아기, 학년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성인기, 중...
교육심리 -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의 인지발달에 대하여
에밀 교육론 비판 (에밀 독후감,에밀 독서감상문,에밀 줄거리,에밀 분석,에밀을 읽고,에밀 ...
(유아교육과레포트)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정신장애의 특징과 지도에 대해 자...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중 한 단계를 선택해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아동안전관리(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안전사고관리)
자녀의 발달단계별 부모역할(태내기,영아기,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성인기 자녀의 부모역할)
소개글